• 제목/요약/키워드: $NF-{\kappa}B$ activity

검색결과 718건 처리시간 0.028초

돼지 말초혈액 단핵구세포에서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의 TNF-${\alpha}$ 생산에 대한 nuclear factor-${\kappa}B$ p65 활성 조절 효과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Modulates Nuclear Factor-${\kappa}B$ p65 Activity on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Porc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김영범;이일우;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0-195
    • /
    • 2011
  • 본 연구에서 돼지 PBMC에 t10c12-CLA 처리는 TNF-${\alpha}$생산을 증가시켰으나, LPS 자극 PBMC에서는 TNF-${\alpha}$생산을 감소시켰다. t10c12-CLA 처리는 PBMC의 inhibitory ${\kappa}B$ ($I{\kappa}B$)-${\alpha}$ 단백질 분해를 증가시키고 NF-${\kappa}B$ p65 활성 수준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LPS 자극 PBMC에서는 상반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특히, LPS 비자극 PBMC에서 t10c12-CLA는 NF-${\kappa}B$ 저해제인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처리한 경우 NF-${\kappa}B$ p65 활성 수준을 증가시켰으나 반대로 LPS로 자극한 CAPE 처리 PBMC에서는 NF-${\kappa}B$ p65 활성 수준을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t10c12-CLA가 돼지 PBMC에 있어 LPS 자극 유무에 따라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NF-${\kappa}B$ p65 활성도의 변화와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Lipopolysaccharide로 처리 된 RAW264.7 세포에서 고마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ersicaria thunbergii Extracts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 김상보;성영애;장희재;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689-1697
    • /
    • 2011
  • 본 연구는 고마리 추출물이 가지는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쥐의 대식세포(RAW264.7 cell)에 Lipopolysaccharide (LPS)를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이때 발생되는 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에서 중요하게 알려져 있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단백질들의 발현을 비교하였고, 추가적으로 NF-${\kappa}B$ 단백질의 핵 내부로의 이전 및 활성을 확인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은 NO 생성 및 iNOS, COX-2, NF-${\kappa}B$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고,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는 Heme oxygenase-1 (HO-1)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n-butanol, hexane, ethyl acetate 용매를 이용한 추가적인 분획을 실시하였다. 이들 분획 중 고마리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Prostaglandin $E_2$ ($PGE_2$), NO 생성을 억제 하였으며, iNOS, COX-2 단백질들의 발현을 감소, NF-${\kappa}B$의 핵 내부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마리 식물이 좋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지속적인 분획으로 고마리 식물이 가지는 항염증 활성 물질을 선별하여 그 작용기작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PI3-Kinase and PDK-1 Regulate HDAC1-mediated Transcriptional Re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 NF-κB

  • Choi, Yong Seok;Jeong, Sunjoo
    • Molecules and Cells
    • /
    • 제20권2호
    • /
    • pp.241-246
    • /
    • 2005
  • PDK-1 activates PI3-kinase/Akt signaling and regulates fundamental cellular functions, such as growth and survival. NF-${\kappa}B$ is involved in the induction of a variety of cellular genes affecting immunity, inflammation and the resistance to apoptosis induced by some anti-cancer drugs. Even though the crucial involvement of the PI3-kinase/Akt pathway in the anti-apoptotic activation of NF-${\kappa}B$ is well known, the exact role of PDK-1 as well as PI3-kinase/Akt in NF-vactivation is not understood. Here we demonstrate that PDK-1 plays a pivotal role in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NF-${\kappa}B$ by dissociating the transcriptional co-repressor HDAC1 from the p65 subunit of NF-${\kappa}B$. The association of CBP with p65 was not directly modulated by PDK-1 or by PI3-kinase. Etoposide activated NF-${\kappa}B$ through PI3-kinase/Akt, and the transcription activation domain (TAD) of p65 was further activated by wild-type PDK-1. Overexpression of a dominant negative PDK-1 mutant decreased etoposide-induced NF-${\kappa}B$ transcription and further down-regulated the ectopic HDAC1-mediated decrease in NF-${\kappa}B$ transcriptional activity. Thus activation of PDK-1 relieves the HDAC1-mediated repression of NF-${\kappa}B$ that may be related to basal as well as activated transcription by NF-${\kappa}B$. This effect may also explain the role of the PI3-kinase/PDK-1 pathway in the anti-apoptotic function of NF-${\kappa}B$ associated with the chemoresistance of cancer cells.

폐암세포주에서 NFκ 활성 억제를 통한 Proteasome 억제제 MG132의 TRAIL-유도성 Apoptosis 감작 효과 (The Proteasome Inhibitor MG132 Sensitizes Lung Cancer Cells to TRAIL-induced Apoptosis by Inhibiting NF-κ Activation)

  • 서필원;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6호
    • /
    • pp.476-486
    • /
    • 2008
  • 연구배경: 정상세포는 보호되고 종양세포에 독성을 보인다고 알려진 TNF유전자족으로 새로이 확인된 TRAIL이 폐암세포에서 보이는 아포프토시스 효과를 확인하고, 아포프토시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전사인자 $NF-{\kappa}B$가 TRAIL에 의하여 활성화 되는 정도를 평가하여 MG132의 $NF-{\kappa}B$활성억제가 TRAIL 유도성 아포프토시스를 감작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A549(wt p53) 및 NCI-H1299(null p53) 폐암세포주를 사용하였다. 세포독성 검사는 MTT assay를 이용하였고 아포프토시스는 Annexin V assay와 FACS 분석을 이용하였다. $NF-{\kappa}B$ 전사활성은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를 이용하였고 $I{\kappa}B{\alpha}$ 분해는 western blot을 이용하였으며, TRAIL에 의해 활성화된 $NF-{\kappa}B$와 DNA 결합은 electromobility shift assay와 anti-p65 antibody를 이용한 supershift assay로 확인하였다. 결과: 1) TRAIL 100 ng/ml 농도에서 wild-type p53인 A549 폐암세포는 34.4%, p53 null인 NCI-H1299 폐암세포는 26.4%의 세포사를 관찰하였다. 2)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로서 TRAIL에 의한 $NF-{\kappa}B$의 활성이 A549 $IgG{\kappa}B-luc$세포에서 2.45배 증가하고 NCI-H1299 $IgG{\kappa}B-luc$세포에서는 1.47배 증가함을 관찰하여 TRAIL에 의하여 $NF-{\kappa}B$가 활성화됨을 확인하였다. 3) MG132의 전처치로 TRAIL에 의한 $NF-{\kappa}B$의 활성이 A549 세포와 NCI-H1299 세포에서 각각 기저수준의 0.24, 0.21배로 강력히 억제되었다. 4) TRAIL단독으로 30% 전후의 세포독성이 MG132 전처치 후 TRAIL을 투여하면 두 세포주 모두에서 80% 이상의 세포독성이 관찰되어 MG132가 TRAIL유도성 아포프토시스에 감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TRAIL에 상대적인 내성을 보이는 폐암세포주에서 MG132가 $NF-{\kappa}B$ 활성억제로서 TRAIL유도성 아포프토시스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폐암치료에 있어서 TRAIL유도성 아포프토시스가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기초자료가 된다고 생각된다.

폐 상피세포에서 PI3K/Akt 경로가 IκB/NF-κB 경로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Role of PI3K/Akt Pathway in the Activation of IκB/NF-κB Pathway in Lung Epithelial Cells)

  • 이상민;김윤경;황윤하;이창훈;이희석;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551-562
    • /
    • 2003
  • 연구배경 : NF-${\kappa}B$는 많은 염증 유발성 물질들을 발현시키는데 필요한 전사 인자로서, 염증성 폐질환 발병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NF-${\kappa}B$의 활성화에는 여러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으며 최근 PI3K/Akt 경로도 NF-${\kappa}B$ 활성화에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실험 대상 세포주마다 활성화 기전이 다르고 호흡기 상피세포에 대한 결과도 알려져 있지 않아 호흡기 상피세포에서의 NF-${\kappa}B$ 활성화에 PI3K/Akt 경로가 관여하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BEAS-2B와 폐암 세포주인 A549, NCI-H157을 사용하여 Akt 활성화와 $I{\kappa}B{\alpha}$ 분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Wortmannin, LY294002 및 DN-Akt를 이용하여 Akt 경로를 억제하였고, NF-${\kappa}B$ 활성화와 전사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EMSA와 luciferase assay를 시행하였다. 결과 : BEAS-2B, A549 및 NCI-H157 세포주에 TNF-$\alpha$ 및 insulin을 처리한 경우 Akt 활성화가 유도되었다. Insulin 으로 Akt 경로를 활성화시킨 경우 $I{\kappa}B{\alpha}$ 분해가 일어나지는 않았다. Wortmannin, LY294002 및 DN-Akt 를 이용하여 Akt 경로를 억제한 경우 TNF-$\alpha$에 의한 $I{\kappa}B{\alpha}$ 분해 및 IKK 활성화가 억제되지는 않았으며, NF-${\kappa}B$ 활성화도 억제되지 않았다. Wortmannin을 처리한 경우 TNF-$\alpha$에 의한 NF-${\kappa}B$ 전사 활성이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DN-Akt 이입시킨 경우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인체 호흡기 상피세포에서는 $I{\kappa}B$/NF-${\kappa}B$ 경로의 활성화는 PI3K/Akt 경로와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농도의 당에 노출된 RAW 264.7 세포에서 conjugated linoleic acid의 TNF-${\alpha}$ 생산과 NF-${\kappa}B$의 활성 효과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 of Glucose)

  • 이민지;강병택;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61-367
    • /
    • 2012
  • 고혈당으로 야기된 염증은 당뇨병에서 합병증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면역세포에서 TNF-${\alpha}$ 같은 염증성 cytokine의 과도한 생성은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시킨다고 한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는 TNF-${\alpha}$ 생산에 관여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고농도의 당으로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TNF-${\alpha}$ 생산, NF-${\kappa}B$의 활성과 $I{\kappa}B-{\alpha}$ 분해에 대한 CLA 효과를 검토하였다. 고농도의 당에 노출된 RAW세포는 저농도의 당에 노출된 RAW 세포보다 NF-${\kappa}B$의 활성과 $I{\kappa}B-{\alpha}$ 분해가 증가되었으며 RAW 세포의 배양 상층액 중에 TNF-${\alpha}$ 생산을 증가시켰다. CLA와 고농도 또는 저농도의 당을 같이 처리한 군은 당만 단일 처리한 군보다 TNF-${\alpha}$ 생산, NF-${\kappa}B$의 활성 및 $I{\kappa}B-{\alpha}$ 분해가 증가되었다. 그리고 고농도의 당과 CLA를 처리한 군에서 저농도의 당과 CLA 처리군에 비해 NF-${\kappa}B$의 활성과 $I{\kappa}B-{\alpha}$ 분해가 증가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TNF-${\alpha}$의 양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LA는 고농도의 당에 노출된 RAW 세포에서 NF-${\kappa}B$의 활성을 높이고 TNF-${\alpha}$ 생산을 증가시키며 이는 고혈당으로 유발되는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Melittin Inhibits Human Prostate Cancer Cell Growth through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 Park Hye-Ji;Lee Yong-Kyung;Song Ho-Seub;Kim Goon-Joung;Son Dong-Ju;Lee Jae-Woong;Hong Jin-Tae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31-37
    • /
    • 2006
  • It was previously found that melittin inhibited $NF-{\kappa}B$ activity by reacting with signal molecules of $NF-{\kappa}B$ which is critical contributor in cancer cell growth by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We here investigated whether melittin inhibits cell growth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s through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and the possible signal pathways. Melittin ($0{\sim}1\;{\mu}g/ml$) inhibited prostate cancer cell growth in a dose dependent manner. Conversely related to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melittin increased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in a dose dependent manner. Melittin also inhibited DNA binding activity of $NF-{\kappa}B$, an anti-apoptotic transcriptional factor. Consistent with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and inhibition of $NF-{\kappa}B$, melittin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ro-apoptotic proteins caspase-3, and Bax but down-regulated anti-apoptotic protein Bcl-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littin could inhibit prostate cancer cell growth, and this effect may be related with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RAW 264.7 세포에 있어 t10c12-CLA의 ROS를 통한 TNF-${\alpha}$ 생산 및 NF-${\kappa}B$ 활성 조절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Modulates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and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Through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 박소영;강병택;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69-476
    • /
    • 2014
  • 본 연구는 염증상태에서의 CLA의 효과와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LPS-자극 RAW 264.7 macrophages에 있어 ROS 생성과 TNF-${\alpha}$ 생산, NF-${\kappa}B$$PPAR{\gamma}$ 활성을 검토하였다. t10c12-CLA는 LPS로 자극하지 않은 비염증시의 RAW 세포에서는 ROS 생성을 증가시켜 TNF-${\alpha}$ 생산을 유도하였으며, 이 효과는 $PPAR{\gamma}$ 활성화에 의존해서 NF-${\kappa}B$ 활성 증가에 의해 매개되었다. 반면, LPS로 자극한 염증조건의 RAW 세포에서는 t10c12-CLA가 $PPAR{\gamma}$ 활성화에 의존하지 않는 경로로 ROS 생성 및 과도한 TNF-${\alpha}$ 생산을 억제하였다. 본 결과로부터 CLA는 ROS 생성을 통해 TNF-${\alpha}$ 생산 및 NF-${\kappa}B$ 활성을 염증 유무에 따라 조절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A Cell-Based Assay System for Monitoring NF-$\kappa$B Activity in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A Screening Tool of the Antioxidants and Anti-inflammatories for Dermatological Purpose

  • Moon, Ki-Young;Hahn, Bum-Soo;Lee, Jinseon;Kim, Yeong-Shik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7
    • /
    • 2001
  • A cell-based assay system for monitoring NF-$textsc{k}$B activity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activated NF-$textsc{k}$B in human HaCaT cells. The pNF-$textsc{k}$B-SEAP-NPT plasmid that permits expression of the secreted alkaline phosphatase (SEAP) reported gene in response to the NF-$textsc{k}$B activity and contains neomycin phosphotransferase (NPT) gene for the geneticin resistance in host cells was constructed and transfected into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Human HaCaT transfectant cells secreted the SEAP enzyme into the culture medium in a time-dependent manner until 72h. NF-$textsc{k}$B activities were measured in the SEAP reporter gene assay using a fluorescent detection method. The treatment of HaCaT cell transfectants with known antioxidants [e.g., N-acetyl-L-cysteine and vitamin C] showed inhibition of NF-$textsc{k}$B activity in a time-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known as a stimulator of NF-$textsc{k}$B expression demonstrated that it increased NF-$textsc{k}$B activity in a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is assay system could be used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NF-$textsc{k}$B activity in the human skin and allow the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agents from various synthetic chemicals and natural products for dermatological purpose. Abbrevitions used: NF-$textsc{k}$B, nuclear factor kappa B; I-$textsc{k}$B, Inhibitory kappa B; SEAP, secreted alkaline phosphatase; NPT, neomycin phosphotransferease;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dNTP, deoxynucleoside triphosphates;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FBS, fetal bovine serum; PBs, phosphate-buffered saline; MUP, 4-methylumbellifery phosphate; NAC, N-acetyl-L-cysteine; DMSO, dimethyl sulfoxide; PMA,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 PDF

악액질 완화를 위한 안전한 Nuclear Factor-kappa B 전사인자 제어 물질 발굴 (Safe Nuclear Factor-kappa B Inhibitor for Cachexia Management)

  • 박정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129-138
    • /
    • 2012
  • Purpose: Cachexia is a complex metabolic syndrome associated with wasting of skeletal muscle which contributes to nearly one-third of all cancer deaths. Cachexia lowers the frequency of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radiation and ultimately can impact survival as well as quality of life during treatment. NF-kappa B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lecular mediators of cachexia. In this study, therefore, possible candidates for inhibitors of NF-kappa B were searched. Methods: Amino acids that regulate cellular redox potential by adjusting the level of NAD/NADH ratio, such as aspartate, pyruvate, and isocitrate were selected. Results: Pyruvate effectively inhibited luciferase activity in TNF-stimulated 293T cells transfect with an NF-kB dependent luciferase reporter vector. Pyruvate also showed protective effect on muscle atrophy of differentiated C2C12 myocyte induced by TNF/IFN. Conclusion: We might be able to develop the nutritional management strategy for cancer cachexia patients with pyruvate sup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