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SO_4$

검색결과 2,926건 처리시간 0.031초

물리, 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한 염색폐수의 색도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Color in Dye Wastewaters by Physico-chemical Processes)

  • 이준석;김민호;김영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35
    • /
    • 199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optimal conditions for reduction of color in dye wastewaters using coagulation-sedimentation processes with redox reactions. The reduction of color as well as organic matters variation was observed after coagulation-sedimentation processes using FeSO$_4$ $\cdot$ 7H$_2$O and NaOCl. Coagulation-redox reaction was done with the dose of Coagulant and oxidant at various pH values. Redox reaction was done through jar-mixing and aeration.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coagulation-sedimentation processes using FeSO$_4$ $\cdot$ 7H$_2$O, color reduction was heigher at pH 3. With variance of dosage of FeSO$_4$ $\cdot$ 7H$_2$O, color reduction was higher at 250 mg/l. When coagulation-sedimentation using FeSO$_4$ $\cdot$ 7H$_2$O 250 mg/l was added at pH 3, the reduction of color, COD$_{Mn}$, and COD$_{Cr}$ showed 47.6%, 21.3% and 22.1%, respectively. 2. When NaOCI was added at level of 100 ppm in raw wastewater at pH 3, the reduction of color, COD$_{Mn}$, and COD$_{Cr}$ showed 30.2%, 5.5% and 6.2%, respectively. 3. After coagulation-sedimentation processes by addition of FeSO$_4$ $\cdot$ 7H$_2$O, when NaOCl was added at level of 250 mg/l in supernant, color reduction was 47.8% in aeration and 37.5% in jar-mixing. 4. Color reduction by aeration was higher than that by jar-mixing.

  • PDF

삼보광산 하류 수계의 계절별 수질변화와 오염도 평가 (Monitoring of Seasonal Water Quality Variations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Sambo Mine Creek, Korea)

  • 정구복;이종식;김원일;류종수;윤순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8-336
    • /
    • 2008
  • 폐금속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로 인한 수계의 수질오염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삼보광산 광미댐 침출수 및 하류 하천수의 화학성분 및 미량금속을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보광산 주변 광미댐 침출수의 pH 값은 $5.8{\sim}6.9$ 사이로 중성에 가까운 약산성이였다. 주 광미댐 침출수의 주요 용존 화학성분 평균치는 EC 1.77 dS/m, $SO_4^{2-}$ 929, $K^+$ 14.6, $Ca^{2+}$ 263.3, $Mg^{2+}$ 46.9 mg/L 이였다. 특히 화학성분 중 EC 값과 $SO_4^{2-}$ 농도는 벼의 농업용수 피해한계 농도 (EC 1.0 dS/m, $SO_4^{2-}$ 54.0 mg/L)를 상회하였다. 광산 침출수의 Cd 평균 농도($0.016{\sim}0.021\;mg/L$)는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0.01 mg/L을 초과하였고, Cd 최고치는 수질기준의 4배정도 높았다. 또한 미량금속 중 Zn, Fe 및 Mn 농도는 FAO의 관개용수 최대 권고치(Cd 0.01, Zn 2.0, Fe 5.0, Mn 0.2 mg/L)를 초과하였고, 특히 Zn 및 Mn 평균 농도는 권고치의 $8{\sim}26$배, $45{\sim}313$배 이상 높았다. 본 조사결과에서 광산배수에 의한 수계의 수질오염은 하류 1 km 이상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산배수와 하천수의 수질항목 중 pH 값은 용존 Cd, Zn, Al 및 Mn 농도와 부의 상관을, 주 오염성분인 EC 값, $SO_4^{2-}$$Ca^{2+}$ 농도는 각각의 Cd, Zn, Al 및 Mn 농도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주요 화학성분 중에서는 pH 값이 EC 값 및 $SO_4^{2-}$ 농도와 부의 상관을 보였다.

미생물비료 생물자원인 불용성인산 가용화 세균의 분리, 동정 및 생리적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ofertilizer Resources, Insoluble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 손홍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1-55
    • /
    • 2003
  • 환경친화적인 미생물인산비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불용성 인산을 가용화 시킬 수 있는 세균을 콩의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균주의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한 결과, Pantoea agglomerans로 동정되었다. 불용성 인산인 $Ca_{3}(PO_{4})_{2}$)로부터 가용성 인산을 생성하기 위한 최적 배지 및 배양조건은 glucose 3%, $NH_{4}NO_{3}$ 0.1%, $MgSO_{4}\cdot\7H_{2}O$ 0.02%, $CaCl_{2}\cdot\2H_{2}O$, 0.06%,초기 pH 7.5, 배양온도 $30^{\circ}C$이었으며, 최적조건에서 배양 5 일 후,898 mg/L의 인산이 생성되었다. 불용성 인산 가용화 기작은 유기산 생성에 의한 배양액의 pH감소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분리균주는 $CaHPO_{4}$, hydroxyapatite로부터 각각 698,912 mg/L의 가용성 인산을 생성하였으나 $FePO_{4}\cdot\4H_{2}O$, $AIPO_{4}$로부터는 각각 28,19 mg/L.의 가용성 인산을 생성하였다.

청송약수를 이용한 두부응고에 관한 기초연구 (The Basic Study of Cheong-song Mineral Water for Tofu Coagulant)

  • 이성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86-292
    • /
    • 2009
  • 청송 달기, 신촌약수의 Ca, Mg 등의 풍부한 미네랄 성분을 두부 응고제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하였다. 비교 응고제로는 많이 사용하고 있는 $CaCl_2,\;CaSO_4,\;MgCl_2,\;MgSO_4$를 이용하였다. 두유 2 mL에 일정량의 약수와 각종 응고제를 첨가하여 $80\;{^{\circ}C}$에서 전체 용액량을 10 mL로 하여 응고한 다음 여과한 상층액인 두부청의 퍼센트 투과도[T(%)]를 600 nm에서 구한 응고력 시험결과, 약수는 8 mL 이 상이 요구되었다. 비교 응고제의 경우 각각 0.4, 1, 0.8, 0.8 mL를 첨가한 경우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Ca, Mg의 첨가량은 각각 66.14, 232.83와 95.68, 78.88 mg이다. 달기 및 신촌약수를 8 mL를 첨가한 경우 의 T(%) 값이 50.74와 58.52값을 보였으며, 첨가된 미네랄 양으로 볼 때에 Ca, Mg의 합한 양으로 2.41, 2.48 mg에 해당된다. 이 값은 비교 응고제보다 매우 적은 양임을 알 수 있으며, 적은 양에 비하여 상당한 응고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유기인계(有機燐系) 살충제(殺?劑)가 Acetylcholinesterabe 활성저해(活性沮害)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on the Inhibition of the 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 김정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92-99
    • /
    • 1988
  • Terbufos 및 phorate와 그 대사물(代謝物)에 대(對)한 각각(各各)의 급성경구독성(急性經口毒性) $LD_{50}$값 및 효소활성저해율(酵素活性沮害率)과 투여량반응(投與量反應)과의 관계(關係)를 규명(糾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병아리에 대(對)한 terbufos의 급성경구독성(急性經口毒性) $LD_{50}$은 1.82mg/kg이었으며, $P=S,SO_2$는 2.85mg/kg, P=S,SO, P=O,S, P=O,SO, 및 $P=O,SO_2$$0.30{\sim}0.79mg/kg$ 범위(範圍)이었다. 또한 phorate는 1.02mg/kg 이었으며, $P=S,SO_2$는 1.73mg/kg, P=S,SO, P=O,S, P=O,SO 및 $P=O,SO_2$$0.36{\sim}0.63mg/kg$범위(範圍)이었다. 약제(藥劑)를 경구투여(經口投與)하고 60분(分) 후(後)에 측정(測定)한 뇌(腦) AChE 및 혈장(血漿) ChE 활성(活性) 저해(沮害) 해율(害率)과 투여용량(投輿用量)과는 Y=a+b(-log X)[Y=효소활성(酵素活性)(%), X=투여량(投與量)]식(式)에 잘 적용(適用)되었다. Terbufos 및 phorate와 그 대사물(代謝物)에 대(對)한 각각(各各)의 투여반응곡선(投與反應曲線)에서, 뇌(腦) AChE 활성(活性) 및 혈장(血漿) ChE 활성(活性)의 50%를 저해(沮害)시킬 수 있는 투여량(投與量)은 각각(各各) 급성경구독성(急性經口毒性) $LD_{50}$$35.3{\pm}6.8%$$17.4{\pm}3.6%$이었다. 또한 각각(各各)의 화합물(化合物)에 대(對)한 급성경구독성(急性經口毒性) $LD_{50}$ 투여량(投與量)에서는 뇌(腦) AChE 및 혈장(血漿) ChE 활성저해(活性沮害)가 각각(各各) $83.7{\pm}3.9%$$93.3{\pm}2.2%$이었다.

  • PDF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우지지방산을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의 분리

  • 이옥섭;김점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4-41
    • /
    • 1984
  • Tallow fatty acid consists of mixtures of fatty acids differing in chain length and saturation. In separation of tallow fatty acid, the effects of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detergents and electrolytes were studied. And the changes of acid composition of particular fractions were determined by gas-chromatography. Sodium lauryl sulfate (SLS), sodium lauryl ether sulfate (SLES) and sodium lauryl benzene sulfonate (SLBS) were used as detergents and NaCl, Na2SO4 and MgSO4 were used as electrolytes. At low concentration of detergent, the tallow fatty acid was not fully wetted, and at high concentration, the emulsion was so stable that the tallow fatty acid was not well separated. The addition of proper amount of electrolyte increased the separation efficiency by the decrease of interfacial tension and by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adsorbed detergent on the surface of solid fatty acid crystals. The optimum range of detergent was 0.4-0.6% (wt.) in SLS, 0.2-0.4% in SLES and 2.0-) .0% in SLBS. And the optimum range of electrolyte was 2.0-2.5% in NaCl, 3.0-4.0% In Na2SO4 and 0.5-1.0% in MgSO4 respectively.

  • PDF

Exopolysaccharide생산 유산균주의 분리 및 배양조건 (Isolation Of Latobacillus Producing Exopolysaccharide and Optimization of its Production)

  • 배인휴;허정원
    • KSBB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69-175
    • /
    • 2002
  • 원유로부터 다당류를 생산하는 유산균을 분리, 선발하여 균의 배양조건을 조사하고 Lactobacillus ssp. SCU-M으로 동정, 명명된 최적배지의 탄소원은 galactose 1.5% 첨가시 553 mg/L의 EPS를 생성하였으며 whey의 이용성 검토를 위한 deproteinized whey와 lactic acidified whey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각각 639, 550 mg/L를 생성하였다.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1.5%, peptone 0.5%를 첨가한 경우 934 mg/L, 미량성분으로 , 0.15% $K_2$HPO, 0.15% 첨가시 1,076 mg/L의 다당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 결과를 종합하여 galactose 1.50%, yeast extract 1.00%, peptone 0.25%, MgSO$_4$, 7$H_2O$ 0.15%, $K_2$HPO$_4$0.15%, tween 80, 0.10%를 적정 배지로 하여 PH 6.5, 배양온도 37$^{\circ}C$에서 배양시 1,680 mg/L의 EPS를 생성하였다.

CuSO4에 의한 geosmin 유발조류(Anabaena macrospora)의 제거 (Removal of Geosmin Forming Alga (Anabaena macrospora) by Copper Sulfate)

  • 박재충;박재범;송성일;김현숙;박정원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21-526
    • /
    • 2006
  • We have studied the possibility of removing Anabaena macrospora by injecting copper sulfate ($CuSO_4{\cdot}5H_2O$) into the raw water of a drinking water purification plant. Anabaena macrospora caused the unpleasant geosmin odor of drinking water in August 2001. The cell break-point of A. macrospora was 0.3 mg/L of $CuSO_4$. We were able to reduce the standing crops of A. macrospora effectively because $CuSO_4$ could break A. macrospora selectively. Because 0.3 mg/L of $CuSO_4$ could break both cells and akinetes, it reduced the possibility of a recurrent problem for them to meet a favorable condition. When $CuSO_4$ was injected in the early growth phase of algae and the mixing intensity was high, A. macrospora could be removed most effectively. The odor caused by A. macrospora was sustained for a while without any sudden ch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 Therefore, we hope that it could shorten the period of obstacle by injecting the optimal amount of 0.3 mg/L of $CuSO_4$. The water quality, alkalinity, conductivity, hardness and pH didn't changed by the injection of $CuSO_4$.

고령지역 지하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y on the Groundwater in Goryeong Area)

  • 이재영;김철호;이인호;고인석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2-170
    • /
    • 1998
  • 고령지역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징은 34개 지하수 시료의 분석결과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및 고령화강암의 광물조성에 따라 다르고 대부분 용질의 농도는 퇴적암층의 지하수가 화강암의 지하수보다 현저히 높다. $Ca^{2+}$ 농도는 주로 탄산수와 방해석 및 풍화된 사장석과의 반응의 결과이며 진주층의 평균 지하수는 방해석에 대하여 과포되어 있다. 지하수의 주요 형은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의 지하수는 경도가 각각 155 mg/1,150 mg/1,140 mg/1인 경수질의 Ca(HCO$_3$)$_2$내지 CaSO$_4$형이며 고령화강암의 지하수는 경도가 90 mg/l의 연수질의 Ca(HCO$_3$)$_2$형이다. Ca(HCO$_3$)$_2$형은 방해석과 사장석의 분해와 관련되고 CaSO$_4$형은 황철석의 분해 및 일부 생활오수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aSO$_4$형은 퇴적층 지하수가 화강암 지하수보다 지화학적으로 더 진화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으나 황철석의 분해와 생활오수의 영향 때문에 확실치는 않다. 황철석은 환원환경의 회색 내지 흑회색 알코스 사암 중에서 안정한 황화물로서 산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 of Exogenous Sulfur on Hydrogen Peroxide, Ammonia and Proline Synthesis in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L.)

  • Baek, Seon-Hye;Muchamad, Muchlas;Lee, Bok-Rye;Kim, Tae-Hwa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5-200
    • /
    • 2022
  • Sulfur is an essential element in plants, including amino acids, vitamin synthesis, and acting as an antioxidant.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endogenous sulfur and proline synthesis has not been yet fully documented.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L.) is known as a species highly sensitive to sulfate supp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role of sulfur in regulating proline metabolism in relation to ammonia detoxification and hydrogen peroxide (H2O2) accumulation in white clover. The detached leaves of white clover were immersed in solution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 of sulfate (0, 10, 100, and 1000 mM MgSO4). As MgSO4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H2O2 increased up to 2.5-fold compared to control, accompanied with H2O2 detection in leaves. Amino acid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at higher levels (100 and 1000 mM MgSO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rotein concentration. Proline and ∆1-pyrroline-5-carboxylate (P5C) concentrations slightly decreased at 10 and 100 mM MgSO4 treatments, whereas it rapidly increased over 1.9-fold at 1000 mM MgSO4 treatment. Ammonia concentrations gradually increased up to 8.6-fol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ogenous sulfur levels are closely related to H2O2 and ammonia synthesis but affect proline biosynthesis only at a higher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