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_1-B_4$

검색결과 5,635건 처리시간 0.031초

수확 후 블루베리의 미생물학적 품질향상을 위한 세척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ashing System for Improving Microbiological Quality of Blueberry after Postharvest)

  • 천호현;박석호;최승렬;송경빈;박승종;이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86-1891
    • /
    • 2013
  • 본 연구는 블루베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 및 상품성 향상을 위해서 버블-이산화염소수 세척시스템을 개발 및 적용하여 저장 중 블루베리의 품질변화를 분석하였다. 버블-이산화염소수 세척시스템으로 처리된 블루베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가 1.0 log CFU/g 이상 감소하였다. 그리고 저장기간 동안 버블-이산화염소수 세척에 의한 미생물 감균효과는 일정하게 유지함을 보였다. 한편 Hunter L, a, b 값 및 중량 감소율의 결과에 있어서 대조구, 버블-물 세척구, 버블-이산화염소수 세척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농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버블-이산화염소수 세척시스템은 블루베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향상 및 고품질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오미자 등 다른 기능성 소과류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AW 264.7 대식세포와 궤양성 대장염 마우스 모델에서의 들깨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Seed in RAW 264.7 Macrophages and an Ulcerative Colitis Mouse Model)

  • 이유나;송보람;주지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1-6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생 들깨와 볶은 들깨의 염증매개물질 감소 효과를 RAW 264.7 대식 세포와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LPS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들깨의 에탄올 추출물은 볶음 여부와는 관계없이 NO, IL-6, TNF-${\alpha}$와 같은 염증매개물질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대조군 대비 45-85% 수준)가 있었다. 반면 DSS 처리에 의해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에서는, 볶은 들깨 식이(1%)만이 대장의 $PGE_2$, $LTB_4$와 같은 염증매개물질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각각 대조군 대비 34%, 58% 수준)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볶은 들깨는 in vitro 항염성 뿐 아니라 in vivo 항염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들깨의 볶음 과정에서 생성된 항염 기능 성분들을 분리 동정하는 연구와 볶은 들깨의 항염성과 관련된 기전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볶은 들깨가 대장염을 포함한 여러 염증관련 질병 예방에 유용한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arthenogenetic Activation of Porcine Oocytes and Isolation of Embryonic Stem Cells-like Derived from Parthenogenetic Blastocysts

  • Xu, X.M.;Hua, J.L.;Jia, W.W.;Huang, W.;Yang, C.R.;Dou, Z.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0호
    • /
    • pp.1510-1516
    • /
    • 2007
  •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optimize the parameters of electrical activation, methods of parthenogenetic activation and embryo culture in vitro and meanwhile to isolate embryonic stem cells-like (ESCs) derived from porcine parthenogenetic blastocysts (pPBs). These results showed that, a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increased from 1.0 to 2.7 kV/cm, the cleavage rate of parthenogenetic embryos increased gradually but the rate of oocyte lys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using 2.7 kV/cm field strength. The rate of cleavage in 2.2 and 2.7 kV/cm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1.0 kV/cm group. A voltage field strength of 2.2 kV/cm DC was used to investigate blastocyst development following activation with a single pulse of 30 or $60-{\mu}sec$ pulse duration. The optimum pulse duration was 30-${\mu}sec$, with a blastocyst rate of 20.7%. Multiple pulses were inferior to a single pulse for blastocyst yield (8.0% vs. 29.9) (p<0.05). For porcine oocyte parthenogenetic activation methods, the rates of cleavage (79.0% vs. 59.8%) and blastocysts (19.4% vs. 3.4%)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lectrical activation in contrast to chemical activation with ionomycin/6-DMAP (p<0.05). Rates of cleavage and blastocyst formation in NCSU-23 and PZM-3 embryo media were higher than those of G1.3/G2.3 serial culture medi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The total cell number of blastocysts in PZM-3 embryo culture media containing $5{\mu}g/ml$ insul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no insulin) ($44.3{\pm}9.1$ vs. $33.9{\pm}11.7$). For isolation of PESCs-like, the rates of porcine blastocysts attached to feeder layers and ICM colony formation in Method B (nude embryo culture) were better than those in Method A (intact embryo culture).

사육수 비교환방식을 이용한 포장 사육지에서의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의 초고밀도양식 (Super-intensive Culture of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 in HDPE-lined Ponds with no Water Exchange)

  • 조영록;김봉래;장인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1-339
    • /
    • 2010
  • Shrimp farming is the most important mariculture industry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However, it has suffered from mass mortality due to viral disease outbreaks and coastal pollution due to water discharge. This study developed an intensive shrimp culture method for outdoor ponds, without water exchange, which minimizes the chance of viral transmission from the environment, reduces coastal pollution by water discharge and enhances shrimp production. A culture trial was conducted in two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lined ponds with a $550\;m^2$ surface area. The ponds were stocked with postlarvae of Litopenaeus vannamei, the major farmed shrimp species in Korea, on July 10, 2007, and cultured for 90 days with no water exchange. The stocking density of the postlarvae (B.W. 0.0015 g) was $272\;ind./m^2$, which is eight times higher than in traditional pond culture in Korea. At harvest, the total production of ponds 1 and 2 was 1,362kg ($2.48\;kg/m^2$) and 1,282 kg ($2.33\;kg/m^2$), respectively. This is 20~22 times higher than the mean farmed shrimp production ($0.112\;kg/m^2$) in Korea and about eight times higher than in traditional ponds with a good harvest. Although there was no water exchange throughout the culture period, the mean concentrations of unionized ammonia and nitrite-nitrogen were as low as 0.038 and 6.0 mg/L, respectively. The feed conversion rate (FCR) was 1.38, which is 20~45% lower than that of traditional pond cultures. The high efficiency of the diet in this study is thought to be due to a well-managed feeding strategy and well-developed bioflocs used as diet additions for the shrimp. The final body weight of the shrimp at harvest was low (12.2~12.5 g), compared with that of traditional pond culture. This may have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a short culture period, high density of shrimp, and low tempera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super-intensive shrimp pond culture method using biofloc technology with no water exchange can minimize viral transmission via water exchange, reduce coastal pollution, and enhance shrimp production.

맥문동 국수의 제면적성 및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Containing Roasted Liriopis Tuber)

  • 박성희;류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96-1102
    • /
    • 2013
  • 본 연구는 볶음 처리를 한 맥문동 첨가 국수의 제면적성 및 품질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생면을 제조한 후 최적의 맥문동 첨가비율을 밝히고자 하였다. 볶음 처리를 한 맥문동 분말을 밀가루 중량 대비 1%, 3%, 5%, 7% 및 9%를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제면적성과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맥문동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조리 후 중량과 부피 및 수분흡수율은 맥문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탁도는 증가하였다. 색도는 생면과 조리면 모두 맥문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L값은 감소하였으며 a, b값은 증가하였다.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부서짐성 등의 조직감은 모두 맥문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맥문동 분말 7% 첨가국수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맥문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고형분의 용출로 인한 탁도 증가와 조직감의 저하가 나타났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품질개량제인 활성글루텐을 첨가하여 품질 향상을 시도하였다. 품질특성 실험결과 기능성과 관능 등에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선정된 맥문동 7% 첨가군에 활성글루텐 1%, 2%, 3%, 4% 및 5%를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이 결과 조리 후 중량, 부피, 수분흡수율은 글루텐 첨가량과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탁도는 감소하였다.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부서짐성 등의 조직감도 모두 향상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활성글루텐 3% 첨가구가 관능적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맥문동 분말 7%에 활성글루텐 3%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맥문동 첨가 국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퍼짐형 간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eadable Liver Sausage during Storage Period)

  • 홍근표;이성;민상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6-62
    • /
    • 2003
  • 본 실험은 타조와 돼지의 간과 육을 이용한 간소시지를 3 주간 4$^{\circ}C$ 에서 냉장보관하면서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걸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장기간에 따른 pH는 간소시지 제조후 7일까지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으면 7일 후부터는 약간의 증가나 감소는 있었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처리구별로 비교할 경우 타조육 처리구가 돈육 처리구보다 pH가 높았다. 2. L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각 처리구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a값은 저장기간의 결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 7일까지는 돈육처리구가 높았지만 그 이후에는 타조육 처리구가 더 높은 a값을 나타내었다. b값에서는 저장기간간의 종류 및 육의 종류에 의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3. 모든 처리구의 초기 평균 TBA값은 0.1 mg/kg 미만이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TBA값도 증가하여 저장 7일째에 0.63 mg/kg, 저장 21일째에서는 0.77 mg/kg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각 처리구별 TBA값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4 경도는 타조육 처리구가 돈육 처리구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돼지간 처리구가 타조간 처리구보다 크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의한 경도변화는 OLPM 간소시지를 제외한 처리구는 저장 14일까지는 경도가 감소하다가 저장 21일째는 다시 증가하였다. 탄력성과 응집성은 저장기간에 따라 거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서짐성은 경도와 유사한 변화를 나타냈다.

드래찬 쌀 품종의 도정도를 달리한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with Different Milling Degree of Rice Cultivar "Deuraechan")

  • 정희남;최옥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9-145
    • /
    • 2014
  • 본 연구는 가공용 쌀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초다수성 가공용 쌀인 드래찬을 현미, 3분도미, 5분도미, 7분도미, 백미로 각각 도정하여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정도에 따른 드래찬 쌀의 수분 함량은 12.92~13.07%, 조단백 함량은 6.62~8.47%, 조지방 함량은 0.84~2.52%, 조회분 함량은 0.51~1.17% 그리고 조섬유 함량은 0.30~1.16%로 나타났으나, 수분 함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쌀가루의 색도에서 L값은 88.08~93.72로 백미에서 가장 높았고, a값과 b값은 현미에서 가장 높았다. 쌀가루의 수분결합력은 백미가 127.44%로 가장 높았고, 현미가 114.31%로 가장 낮았다. Amylogram 호화특성에서는 백미가 최고점도, 냉각점도, breakdown 및 setback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차열량 주사계에 의한 호화엔탈피 측정 결과, 호화개시온도는 $63.49{\sim}65.75^{\circ}C$이고, 호화정점온도는 $70.72{\sim}73.10^{\circ}C$, 호화종료온도는 $77.99{\sim}79.58^{\circ}C$이었고, 호화엔탈피는 현미에서 9.98 J/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전압 UHF TV 튜너용 바렉터 다이오드의 제작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Varactor Diode for UHF TV Tuner Operated within Low Tuning Voltage)

  • 김현식;문영순;손원호;최시영
    • 센서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5-191
    • /
    • 2014
  • The width of depletion region in a varactor diode can be modulated by varying a reverse bias voltage. Thus, the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depletion capacitance can obtained by the change in the width of depletion region so that it can select only the desirable frequencies. In this paper, the TV tuner varactor diode fabricated by hyper-abrupt profile control technique is presented. This diode can be operated within 3.3 V of driving voltage with capability of UHF band tuning. To form the hyperabrupt profile, firstly, p+ high concentration shallow junction with $0.2{\mu}m$ of junction depth and $1E+20ions/cm^3$ of surface concentration was formed using $BF_2$ implantation source. Simulation results optimized important factors such as epitaxial thickness and dose quality, diffusion time of n+ layer. To form steep hyper-abrupt profile, Formed n+ profile implanted the $PH_3$ source at Si(100) n-type epitaxial layer that has resistivity of $1.4{\Omega}cm$ and thickness of $2.4{\mu}m$ using p+ high concentration Shallow junction. Aluminum containing to 1% of Si was used as a electrode metal. Area of electrode was $30,200{\mu}m^2$. The C-V and Q-V electr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using impedance Analyzer (HP4291B). By controlling of concentration profile by n+ dosage at p+ high concentration shallow junction, the device with maximum $L_F$ at -1.5 V and 21.5~3.47 pF at 0.3~3.3 V was fabricated. We got the appropriate device in driving voltage 3.3 V having hyper-abrupt junction that profile order (m factor) is about -3/2. The deviation of capacitance by hyper-abrupt junction with C0.3 V of initial capacitance is due to the deviation of thermal process, ion implantation and diffusion. The deviation of initial capacitance at 0.3 V can be reduced by control of thermal process tolerance using RTP on wafer.

국내 시판 육제품의 이화학적, 조직적 특성 및 미생물의 성상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and Microbial Counts of Meat Products Sold at Korean Markets)

  • 진구복;김경훈;이홍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8-105
    • /
    • 2006
  •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육가공품들을 구입하여 이화학적 및 조직적 특성 및 미생물 검사를 통해서 소비자들의 기호성과 적합한 육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측정한 19가지 육제품은 소시지와 햄으로 pH는 $5.46{\sim}6.69$, 수분은 $47.6{\sim}65.3%$, 지방은 $14.2{\sim}34.7%$, 그리고 단백질은 $9{\sim}20%$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고 햄의 단백질 함량이 소시지에 비하여 높았다. 진공감량은 $2.40{\sim}7.44%$ 범위로 나타났고 원심분리에 의한 유리수분의 함량은 $6.10{\sim}28.3%$의 범위로 독일형 소시지의 보수력이 비교적 낮았다. 육색은 명도가 $59.6{\sim}75.7$, 적색도는 $11.6{\sim}21.1$, 그리고 황색도는 $2.30{\sim}11.4$로 나타났으며 조직감은 각 제품 별로 다양한 수치를 보여 부서짐성, 경도, 탄력성은 계육으로 제조한 Frank A가 가장 높은 반면 응집성, 검성, 저작성은 로인햄과 Beershinken이 비교적 높아 단백질 함량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미생물 검사 결과 총균수는 대부분에서 3.00 log CFU/g 이하이었고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2.00 log CFU/g).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시중에서 판매되는 육제품은 매우 다양하고 비교적 위생적이지만 현대 소비자들의 용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능성 저지방, 저염 기능성 웰빙 육제품의 개발이 필요로 된다.

대추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jujube powder)

  • 김민정;최지은;이준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6-150
    • /
    • 2014
  • 대추 분말의 첨가량을 0~20%로 달리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 화학적 품질, 항산화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pH는 6.69~6.16 범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수분함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추 분말을 첨가할수록 퍼짐성과 손실률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손실률의 경우 5~15% 시료 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한편 명도($L^*$)는 대추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a^*$)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황색도($b^*$)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0~20%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경도와 DPPH radical 소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일부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소비자 선호도 검사결과, 5% 첨가군이 대부분 높은 평점을 받았지만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이 측정되지 않아, 생리적 활성과 관능적 품질을 고려하면 첨가농도로 5~10% 사이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