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H-{\beta}$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2초

분화중인 흰쥐 유선내 Luteinizing Hormone (LH) 유전자 발현의 생리적인 조절 (Physiological Regulation of Luteinizing Hormone(LH) Expression in Rat Mammary Gland during Differentiation)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75-180
    • /
    • 2001
  • 태반이나 생식소 등 시상하부 이외의 조직에서도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GnRH)과 그 수용체가 발현되어 조직 특이적인 기능을 담당함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 GnRH와 그 수용체 유전자가 흰쥐 유선에서도 발현됨이 증명되었고, LH $\alpha$-와 $\beta$-subunit와 LH 수용체에 대한 전사체 역시 흰쥐 유선에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흰쥐 유선 LH의 발현과 유선의 분화과정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 생식주기, 임신, 수유, 이유기에 걸쳐 얻은 유선을 재료로 LH 함량 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동물에서 얻은 RNA를 사용한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과 Southern blot analysis를 통해 전사수준에서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난소 steroid에 의한 유선 LH의 발현조절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난소 제거(ovariectomy, OVX)후 steroid 처리 실험동물 모델을 사용하였다. 생식주기중인 흰쥐의 혈중 LH수준과 유선 내 LH 함량의 변화는 공히 proestrus 시기에 가장 높고 diestrus I 시기에 최저 수준을 보였다. 임신 17일 경으로부터 이유기까지 혈중 LH 수준은 등락을 보였으나, 유선 LH 함량은 수유기 중 현저히 감소한 후 이유기에 상승하였다. Southern blot analysis에서 흰쥐 유선 내 GnRH와 LH의 발현은 대체로 diestrus I 시기에 가장 낮고 이후 diestrus II, proestrus, estrus 시기를 거치며 증가하였고 임신 이후 수유기와 이유기까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됨이 확인되었다. 한편 OVX 실험 동물모델에서 혈중 LH 수준은 예상한 바처럼 estrogen에 의한 negative feedback의 작용으로 OVX+OIL 실험군(418.6$\pm$73.4 ng/ml)에 비해 OVX+E$_2$ 실험군(125.9$\pm$45.4 ng/ml)에서 감소하였으며, 유선 내 LH 함량 역시 OVX+OIL 실험군(1.48$\pm$0.20 na/mg)에 비해 OVX+E$_2$ 실험군(1.07$\pm$0.13 ng/mg)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선 LH가 생식주기, 임신, 수유, 이유 등의 생리적인 변화에 맞물려 조절되고, 특히 estrogen에 의해 유선 LH 합성이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유선 LH의 기능으로는 모유의 생산ㆍ분비와 유선 상피세포의 분화와 같은 유선의 기능과 생리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Lactobacillus brevis LH8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Ginsenoside Rd의 Compound K로의 전환 (Conversion of Ginsenoside Rd to Compound K by Crude Enzymes Extracted from Lactobacillus brevis LH8)

  • 전림호;양지제;김호빈;김세화;김세영;노영덕;양덕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26-231
    • /
    • 2008
  • 인삼사포닌 ginsenoside는 인삼의 주요한 약리성분으로 인삼을 경구투여 시 major 사포닌의 생체 내에서의 흡수는 매우 낮아 인삼사포닌의 약효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기존에 많이 존재하는 major 사포닌을 상대적으로 흡수도 잘 되며 약효도 더 뛰어난 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beta}-glucosidase$ 활성균주 L. brevis LH8이 분비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ginsenoside Rd를 compound K로 전환시켰다. L. brevis LH8의 효소액은 반응 온도 $30^{\circ}C$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좋았고 $35^{\circ}C$이상에서는 활성이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pH $6.0{\sim}12.0$ 사이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좋았고, pH 5.0 이하 및 pH 13.0 이상에서는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ginsenoside Rd는 반응 48시간부터 ginsenoside F2로 전환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72 시간 이후에는 대부분 compound K로 전환되었다.

Alteraation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d Luteinizing Hormone ${\beta}$-Subunit mRNA Levels in Neonatally Estrogenized Female Rats

  • 송은섭;강상수;조세형;;금동호;최돈찬;김경진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595-602
    • /
    • 1997
  • Treatment of newborn female rats with gonadal steroids induces permanent sterility in adulthood. We investigated the alteration in expression pattern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d luteinizing hormone (LH) in neonatally estrogenized sterile rats (ESR). Newborn female rats received daily injections of 17${\beta}$-estradiol (E, 10 ${\mu}$g) from the day of birth (day 1) to postnatal day 5. Controls were subjected to vehicles over the same period. All animals were sacrificed on week 7 after birth. Hypothalamic GnRH mANA levels were markedly higher in all ESR than in controls, while hypothalamic GnRH contents in ESR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frequency of daily administration of E. However, both pituitary LH6 mRNA and serum LH levels were inversely decreased by the same treatment. The data indicate that neonatal exposure of E equally elevates the expression of GnRH gene, but reduces the secretion of GnRH, accordingly leading to attenuation of LH6 gene expression and circulating LH levels. The temporal effect of E and/or progesterone (P) on GnRH and LH6 mRNA levels was also examined in ESR. Newborn female rats were daily injected with E (10 ${\mu}$g) or vehicle for five successive days from day 1 and ovariectomized at week 5. They were implanted with E (235 ${\mu}$g/ml) two days prior to week 7, injected with P (1 mg) 42 h later, and sacrificed 7 h after P administration. In ovariectomized controls, hypothalamic GnRH mRNA levels were dropped to half by treatment of E and restored by subsequent treatment of P. The negative feedback action of E on GnRH mRNA levels observed in ovariectomized rats was completely blocked by neonatal exposure of E. The change in pituitary LH mRNA levels was similar to that in hypothalamic GnRH mRNA levels.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neonatal treatment of E alters the synthesis and release of GnRH in adulthood and furthermore blocks the negative feedback regulation of E which occurs normally after ovariectomy.

  • PDF

Function of the Tethered rec-eCG in Rat and Equine Receptors

  • Park, Jong-Ju;Jargal, Naidansuren;Yoon, Jong-Taek;Min, Kwan-Sik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3권4호
    • /
    • pp.229-236
    • /
    • 2009
  • The glycoprotein hormone family represents a class of heterodimers, that includes the placental hormone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eCG) and the anterior pituitary hormones- follitropin (FSH), lutropin (LH), and thyrotropin (TSH). The 4 hormones are heterodimers, with a common $\alpha$-subunit and unique $\beta$-subunits. eCG is the most heavily glycosylated of the known pituitary and placental glycoprotein hormones. Recent observations using single chain glycoprotein hormone analogs in which, the $\beta$-and $\alpha$-subunits are linked, implied that heterodimeric-like quaternary configuration is not a prerequisite for receptor/signal transduction. To study the function and signal transduction of tethered rec-eCG, a single chain eCG molecule was constructed and rec-eCG protein was produced. Molecular mass of the single chain is about 45 kDa. All mice were ovulated by tethered rec-eCG treatment. The dual activity of tethered rec-eCG was determined in receptor cell lines of nonequid species; in fact, this dual activity was proven in species other than horse. Tethered rec-eCG in equids does not bind to FSH receptors, suggesting that eCG is primarily an LH-like hormone in the horse.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tethered rec-eCG has dual activity in nonequid species in vitro. However, it has only LH-like activity in equid species in vitro.

Long Photoperiod Affects Gonadal Development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Kim, Byeong-Hoon;Lee, Chi-Hoon;Hur, Sang-Woo;Hur, Sung-Pyo;Kim, Dae-Hwan;Suh, Hae-Lip;Kim, Sung-Yeon;Lee, Young-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3호
    • /
    • pp.241-246
    • /
    • 2013
  • To effects of sex maturation in olive flounder by regulating long photoperiod, gonadal development and GTH mRNA expression in the pituitary were investigated. Photoperiod was treated natural photoperiod and long photoperiod (15L:9D) conditions from September 2011 to March 2012. Th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photoperiodic group showed a higher gonadosomatic index (GSI) than long photoperiodic group during the spawning season (March 2012). The histological analysis of ovarian tissue showed that natural photoperiod group of ovaries contained vitellogenic oocytes, but long photoperiod group of ovaries mainly contained perinucleolus staged oocyte and oil-drop staged oocytes. The FSH mRNA of olive flounder, under natural photoperio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under long photoperiod group. The $LH{\beta}$ mRNA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 only under natural photoperiod group.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long photoperiodic information regulates secretion of pituitary FSH and LH and maintain early growing stage of gonadal development in this species.

미경산돈(未經産豚)의 발정주기(發情週期) 및 임신기간(妊娠期間)에 따른 성(性)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of Sex Hormone Levels throughout the Estrous Cycle and Pregnancy in the Gilts)

  • 이장형;박창식;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3-243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Landrace순종(純種)의 미경산돈(未經산豚) 6두(頭)를 가지고 발정주기(發情週期) 및 임신기간(妊娠期間)동안의 혈청중(血淸中) 성(性) hormone수준(水準)의 변화(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으며, 이정맥(耳靜脈)에서 혈액(血液)을 채취(採取)하여 혈청(血情)을 분리(分離)한 다음, 이를 시료(試料)로 하여 LH, FSH, prolactin, progesterone, $estradiol-17{\beta}$ 및 cortisol을 radioimmunoassay 방법(方法)으로 분석(分析)하였는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Landrace순종(純種) 미경산돈(未經産豚)의 성성숙도달일령(性成熟到達日齡)은 179.5일(日), 성성숙도달체중(性成熟到達體重)은 88.2kg, 발정주기(發情週期) 21.3일(日), 임신기간(妊娠期間)은 114일(日)이었고, 복당산자수(腹當산仔數)는 9.5두(頭)였다. 2. 발정주기중(發情週期中)의 LH농도(濃度)는 1.56mIU/ml 이하(以下), prolactin 농도(濃度)는 2.4ng/ml 이하(以下)로 분석한계수준이하(分析限界水準以下)였다. FSH농도(濃度)는 발정열시후(發情閱始後) 6일(日)부터 15일(日)까지 1.50~2.20 mIU/ml 범위(範圍)였으며, 발정시(發情時)와 발정전후(發情前後) 3일(日)에는 1.25 mIU/ml 이하(以下)였다. 3. 발정주기중(發情週期中)의 progesterone 농도(濃度)는 발정일(發情日)에 1.90ng/ml를 나타냈으나, 발정열시후(發情閱始後) 3일(日)에 13.10ng/ml 증가(增加)하였고 9일(日)에 최고수준(最高水準)에 도달(到達)하였다. $Estradiol-17{\beta}$농도(濃度)는 발정일(發情日)과 발정개시후(發情開始後) 18일(日)에 27.2pg/ml을 나타냈고, 그밖의 기간(期間)에서는 27.2pg/ml 이하(以下)였다. Cortisol 농도(濃度)는 발정일(發情日)에 최고수준(最高水準)에 도달(到達)했으며, 황체기(黃體期)동안에는 24.65~28.57ng/ml 범위(範圍)에 있었다. 4. 임신기간중(姙娠期間中)의 LH농도(濃度)는 3.10~4.37 mIU/ml, FSH농도(濃度)는 1.30~1.80 mIU/ml, 그리고 prolactin 농도(濃度)는 2.60~6.70ng/ml의 범위(範圍)를 나타냈다. 5. Progesterone 농도(濃度)는 전임신기간(全姙娠期間)에 38.90~16.85ng/ml 범위(範圍)에 있었으나 분만시(分娩時)에는 1.96ng/ml로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다. $Estradiol-17{\beta}$의 농도(濃度)는 임신후(姙娠後) 15일(日)에 27.2pg/ml을 나타냈으며, 그후 계속(繼續) 증가(增加)하여 분만시(分娩時)는 620.17pg/ml을 나타냈다. Cortisol 농도(濃度)는 전임신기간(全姙娠期間)에 걸쳐 13.58~24.35ng/ml의 범위(範圍)를 나타냈다.

  • PDF

수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호르몬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6-Hydroxydopamine(6-OHDA)의 영향 (Effect of 6-Hydroxydopamine (6-OHDA) on the Expression of Hypothalamus-Pituitary Axis Hormone Genes in Male Rats)

  • 허현진;안련섭;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257-264
    • /
    • 2009
  • 6-hydroxydopamine(6-OHDA)는 파킨슨 질환 동물 모델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신경독소로 도파민성 뉴런에 대한 특이적인 독성을 나타낸다. 도파민 신호는 중추신경계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데, 이에 따라 파킨슨병 환자와 6-OHDA를 처리한 동물들의 신경내분비 활성에 극심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6-OHDA 주사 모델에서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회로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6-OHDA에 의한 뇌 카테콜아민 합성의 차단이 성체 수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 호르몬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에 일으키는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생후 3개월의 수컷 흰쥐(SD strain)에 개체 당 $200{\mu}g$의 6-OHDA를 $10{\mu}\ell$의 생리식염수에 녹여 뇌실 내 주사(icv)하였고, 2주 후에 모든 실험동물들을 희생시켰다. 시상하부-뇌하수체 호르몬 유전자들의 mRNA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total RNA를 추출하여 반-정량적 RT-PCR을 시행하였다. 카테콜아민 생합성에서 속도조절효소로 작용하는 tyrosine hydroxylase(TH)의 경우 6-OHDA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고(대조군:6-OHDA군=1:0.72${\pm}$0.02AU, p<0.001), 이를 통해 6-OHDA 주사의 효력을 확인 하였다. 시상하부에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nRH)과 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CRH)의 mRNA 수준은 6-OHDA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GnRH, 대조군:6-OHDA군=1:0.39${\pm}$0.03AU, p<0.001; CRH, 대조군:6-OHDA군=1:0.76${\pm}$0.07AU, p<0.01). 뇌하수체에서 glycoprotein hormone들의 공통적인 alpha subunit(Cg$\alpha$)과 LH beta subunit(LH-$\beta$) 그리고 FSH beta subunit(FSH-$\beta$)의 mRNA 수준의 경우 모두 6-OHDA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Cg$\alpha$, 대조군:6-OHDA군=1:0.81${\pm}$0.02AU, p<0.001; LH-$\beta$, 대조군:6-OHDA군=1:0.68${\pm}$0.04AU, p<0.001; FSH-$\beta$, 대조군:6-OHDA군=1:0.84${\pm}$0.05AU, p<0.01). 이와 유사하게, 6-OHDA군에서의 뇌하수체 adrenocorticotrophic hormone(ACTH) 전사 수준 역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대조군:6-OHDA군=1:0.86${\pm}$0.04AU, p<0.01).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로의 도파민 신경독소 주입에 의해 두 가지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회로인 GnRH-성선자극호르몬 회로와 CRH-ACTH 회로의 전사 활성이 하향 조정됨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상하부로의 CA 입력은 시상하부-뇌하수체 기능 조절을 통해 생식소와 부신의 활성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는 것으로, 파킨슨병 환자들에게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성 기능 장애와 열악한 스트레스 반응을 설명할 단서를 제공한다.

  • PDF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성성숙(性成熟), 발정주기(發情週期) 및 임신기간(姙娠期間)에 따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III) -임신(姙娠) 및 분만(分娩)에 따른 혈청(血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 (Studies on the Sex Hormone Levels in Korean Native Goat during Puberty, Estrous Cycle and Pregnancy(III) -Serum Levels of Sex Hormones during the Gestation and Parturition-)

  • 박창식;이규승;서길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70-74
    • /
    • 1985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에 대하여 혈청(血淸) LH, FSH, prolactin, estradiol-$17{\beta}$ 및 progesterone의 농도(濃度)를 교배일(交配日)로부터 20일간격(日間隔)으로 140일(日)까지와 분만당일(分娩當日) 및 분만후(分娩後) 10일(日)과 20일(日)에 조사(調査)하였다. 혈청(血淸) LH의 농도(濃度)는 임신(姙娠) 60일(日)에 1.95mIU/ml로 최고치(最高値)였고, 임신(姙娠) 100일(日0까지는 높은 수준(水準)이었으나 그 후(後)로는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여 분만시(分娩時)에는 0.02 mIU/ml를 나타냈다. Prolactin의 농도(濃度)는 임신(姙娠) 140일(日)부터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여 분만시(分娩時)에는 29.75 ng/ml로 최고치(最高値)였으며, 분만후(分娩後)에는 다시 감소(減少)하였다. FSH는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분절하한치(分折下限値)인 1.25 mIU/ml 이하(以下)의 수준(水準)이었다. 혈청(血淸) estradiol-$17{\beta}$의 수준(水準)은 임신기간(姙娠期間)이 경과(經過)할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분만시(分娩時)에는 159.62 pg/ml로 최고치(最高値)였고, 분만후(分娩後)에는 월등(越等)히 감소(減少)하였다. 혈청(血淸) progesterone은 임신(姙娠) 120일(日)에 6.62 ng/ml로 최고치(最高値)였고, 그 후(後)로는 감소(減少)하여 분만시(分娩時)에는 1.25 ng/ml로 매우 낮은 수준(水準)이었다.

  • PDF

Apigenin Derivati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Leaves

  • Si, Chuan-Ling;Kim, Jin-Kyu;Kwon, Dong-Joo;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83-87
    • /
    • 2006
  • The lea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were extracted with acetone-$H_2O$ (7:3, v/v),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actionated successively with n-hexane, methylene chloride and ethyl acetate, leaving residual water soluble fraction. A portion of the resulting aqueous soluble powder was chromatographed on a Sephadex LH-20 column using aqueous methanol and ethanol-hexane as washing solvents. Three apigenin derivativ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apigenin-7-O-${\beta}$-D-glucpyranoside, apigenin-7-O-${\beta}$-D-glucuronopyranoside and apigenin-7-O-[${\beta}$-D-glucuronopyranosyl($1{\rightarrow}2$)-O-${\beta}$-D-glucuronopyranoside] by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NMR and FAB-MS.

황체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이 저반응 환자군의 임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H Receptor in the Pregnancy of Poor Responders)

  • 이정복;도병록;김은수;김명희;천은경;정현정;노성일;김문규;윤현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2호
    • /
    • pp.111-117
    • /
    • 2004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H receptor in folliculogenesis, we confirm the expression level of LH receptor (LH-R) mRNA in human granulosa cells (GCs) and its expression levels were analyzed by comparison to embryo developmental rate and pregnancy rate. Materials and Methods: GCs were obtained at the time of oocyte retrieval from the patients undergoing IVF-ET program.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n=20) is poor responder (retrieved oocyte(s)$\leq$3ea), Group II (n=80) is normal responder (retrieved oocytes>3ea). After the extraction of total RNA, semiquantitative RT-PCR was performed and the expression level of LH-R mRNA was normalized by $\beta$-acti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X^2$ test, Student'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In Group II, the relative values of LH-R mRNA (0.680 vs. 0.463, p<0.005) and pregnancy rate (54.7% vs. 23.1%,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oup I. Number of retrieved oocyte(s) was gradually increased when the expression of LH-R mRNA was increased (p<0.05). But the quality of retrieved oocyte and transferred embryo were not related with the expression of LH-R mRNA. When the pregnancy rate was compared with FSH only group and FSH combined with hMG group in the ovarian stimulation protocol, FSH combined with hM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SH only group in Group I (37.5% vs. 0%), and the expression of LH-R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MG combined group than FSH only group (p<0.05). Conclusion: Expression level of LH-R mRNA has important role in ovarian function related with the response to gonadotrophin in human folliculogenesis. Furthermore these data might provide the evidence that additional use of hMG is helpful to poor respon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