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H{\beta}$ subunit mRN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흰쥐 뇌하수체 전엽세포에서 PKC나 cAMP에 의한 LH 분비 및 $LH{\beta}$ Subunit mRNA 증가에 미치는 $Ca^{++}$의 영향 (Effects of Extracellular $Ca^{++}$ on PKC or cAMP-stimulated Increases in LH Release and $LH{\beta}$ Subunit mRNA Levels in Rat Anterior Pituitary Cells)

  • 박덕배;김창미;천민석;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7-355
    • /
    • 1996
  • 흰쥐 뇌하수체 전엽배양세포에서 PKC나 cAMP에 의한 LH 분비와 $LH{\beta}$subunit mRNA 증가과정에서 세포외 $Ca^{++}$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하여 phorbol ester와 forskolin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와 $LH{\beta}$ subunit mRNA 수준에 미치는 EGTA와 verapami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Forskolin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와 $LH{\beta}$ subunit mRNA 수준은 $Ca^{++}$ chelator인 EGTA나 $Ca^{++}$ 채널차단제인 verapamil의 처리로 세포외부로부터 $Ca^{++}$의 이동을 억제시켰을때 모두 감소하였다. PMA에 의해 유도된 LH 분비는 EGTA와 verapamil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PMA에 의해 촉진된 $LH{\beta}$ subunit mRNA는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의하면 PKC 활성화나 세포내 cAMP 농도 증가는 $LH{\beta}$ subunit mRNA 수준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과정은 세포외 $Ca^{++}$ 의존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PKC 활성화나 cAMP 증가에 의한 세포외 $Ca^{++}$의 역할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PKC 활성화에 의한 LH 분비는 세포외 $Ca^{++}$에 비의존적이나 cAMP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는 세포외 $Ca^{++}$ 유입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난소제거된 흰쥐에서 난소호르몬에 의한 $LH{\beta}$ subunit의 유전자 발현조절 (Regulation of $LH{\beta}$ subunit mRNA by Ovarian Steroid in Ovariectomized Rats)

  • 김창미;박덕배;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5-235
    • /
    • 1993
  • 난소호르몬에 의하여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 subunit의 유전자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성숙한 흰쥐에서 난소를 제거하거나 또한 난소호르몬을 재 투여한 후 ${\alpha}$$LH{\beta}$ subunit mRNA의 수준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소를 제거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중 LH 농도 및 뇌하수체 LH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난소제거 후 14일 후부터 ${\alpha}$ subunit mRNA 수준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LH{\beta}$ subunit mRNA 수준은 난소제거 후 1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혈중 LH 농도와 같은 양상으로 증가하였다. 2. 난소제거 후 21일 경과후에 난소호르몬을 투여하였을때 난소제거로 증가된 혈중 LH 농도와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이 감소하였다. Estradiol을 1일간 투여하였을때 부터 혈중 LH 농도 및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이 감소하였으며, progesterone을 4일간 처리하였을때에 혈중 LH농도가 감소하였다. 3. Estrogen 길항제인 LY117018를 estradiol과 동시에 처리하거나, progesterone 길항제인 RU 456을 progesterone과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estradiol과 porgesterone에 의하여 감소되었던 혈중 LH 농도 및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이 유의하게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LH 분비에 있어서 $LH{\beta}$ subunit mRHA 수준의 변화가 속도결정단계 (rate limiting step)인 것으로 보이며, 난소홀몬은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을 조절하므로써 pretranslation 단계에서 LH 생합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흰쥐 뇌하수체전엽 배양세포에서 GnRH 및 난소호르몬에 의한 $LH{\beta}$ subunit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연구 (Regulation of Luteinizing Hormone Release and Subunit mRNA by GnRH and Ovarian Steroids in Cultured Anterior Pituitary Cells)

  • 김창미;박일선;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8
    • /
    • 1994
  • 흰쥐의 뇌하수체 전엽배양세포에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을 처리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GnRH농도에 비례하여 luteinizing hormone(LH)의 분비가 증가하였으며, 2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GnRH를 처리하였을때 ${\alpha}$ subunit mRNA의 농도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는 GnRH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GnRH 처리후 6시간 이후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최종농도가 $2{\times}10^{-10}M$이 되도록 GnRH를 처리하였을 때 $LH{\beta}$ subunit mRNA 농도가 2.7배 정도 최대로 증가하였다. 또한 estradiol을 단독으로 또는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LH분비가 증가하지 않았으나 progesterone을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LH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는 estradiol및 progesterone을 단독으로 또는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난소호르몬 농도에 의존적으로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Estradiol에 의한 $LH{\beta}$ subunit mRNA의 증가양상은 estrogen 길항제인 LY117018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GnRH는 steady state $LH{\beta}$ subunit mRNA 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써 LH분비 및 LH subunit 생합성을 조절하며 난소호르몬은 뇌하수체에 직접 작용하여 LH분비 및 LH subunit 생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말 태반과 뇌하수체에서 당단백질 호르몬의 특이적인 발현 (Differential Expression of Glycoprotein Hormones in Equine Placenta and Pituitary)

  • Min, Kwan-Si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87-93
    • /
    • 2000
  • eCG는LH, FSH및 TSH와 같이 당단백질 호르몬에 속하고, 당쇄가 많이 첨가된 $\alpha$$\beta$-subunits의 비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말에서 보다 다른 동물에서 FSH와 LH의 이중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아주 특이한 성선 자극 호르몬이다. eCG는 임신 40~130일 사이에 말의 자궁내막배의 영양막세포에서 합성ㆍ분비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CG, eLH 및 eFSH의 각각 subunits mRNA발현을 태반과 뇌하수체에서 분석하였다. mRNA의 추출은 임신 70일의 태반과 27개월된 숫컷말의 뇌하수체에서 분리하였다. 말 태반을 이용한eCG mRNA발현의 Northern blotting분석결과 $\beta$ subunit가 $\alpha$ subunit보다 아주 많이 발현되었으며, 또한 뇌하수체에서 $\alpha$-, LH $\beta$-, FSH $\beta$-subunit의 분석결과 $\alpha$ subunit는 약 0.8 kb, FSH $\beta$ subunit는 1.8 kb의 크기로 발현되었는데, 이러한 FSH $\beta$ subunit는 cloning되어진 cDNA의 크기와 일치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alpha$ subunit가 LH $\beta$ subunit와 FSH $\beta$ subunit보다 현저히 많이 발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태반과 뇌하수체에서 발현되는 각각 subunit의 mRNA는 독립적으로 조절되어 결과적으로 발현량에 차이가 나타난다고 시사되어진다.

  • PDF

프로제스테론은 흰쥐 뇌하수체에서 LH$\beta$유전 발현을 에스트로젠과 상승작용으로 억제한다. (Progesterone Inhibits Luteinizins Hormone $\beta$ Subunit (LHP) Gene Expression in the Rat Pituitary in a Svnergic Manner)

  • 조병남;성재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77-384
    • /
    • 1994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hibitow effect of progesterone (P) on luteinizing hormone $(LH)\beta$ subunit gene expression in anterior pituitary of ovariectomized, estradiol-treated adult rats. A single injection of P (1mg) further decreased the estradiol-Induced decrease in $LH\beta$ mRNA levels in ovariectomTzed rats in a time-dependent manner. p suppressed UIP mRNA levels at lower doses (0.1 and 1mg), but increased $LH\beta$ mRNA levels 81 a high dose (toms). The inhibitor action of P on $Uf\beta$ mRNA was restored when Ru486, a P receptor antagonist, was administered 1h before P treatment. These data clearly indicate that P inhibits gene expression of $LH\beta$ in the rift pituitary in a swersic manner with estrogen.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GTH$\beta$ 유전자 발현 및 성스테로이드 합성에 미치는 GnRHa의 효과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ue (GnRHa) on Expression of the Gonadotropin Subunit Gene and on Synthesis of the Sex Steroids i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최철명;민병화;장영진;박인석;조성환;안광욱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3-298
    • /
    • 2005
  • RT-PCR을 이용하여 감성돔의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FSH$\beta$와 LH$\beta$ cDNA를 각각 cloning하였다. GenBank를 이용하여 FSH$\beta$와 LH$\beta$ 아미노산 배열과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감성돔 FSH$\beta$는 참돔 FSH$\beta$$83.3\%$, snakehead fish FSH$\beta$$79.2\%$ 및 striped bass FSH$\beta$$76.0\%$의 상동성이 나타났으며 , 감성돔 LH$\beta$는 yellowfin seabream LH$\beta$$97.7\%$, 참돔 LH$\beta$$96.2\%$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1년생 수컷 감성돔에 GnRHa를 처리한 후,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GTH subunit mRNA의 농도와 혈중 T및 혈중 $E_2$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GnRHa를 체중 g당 $0.2\;{\mu}g$으로 복강 주사한 후 0, 6, 12, 24 및 48시간제에 뇌하수체와 혈액을 샘플링한 결과, 호르몬 처리 후 6시간째에 FSH$\beta$ mRN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LH$\beta$ mRNA 발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혈중 T와 혈중 $E_2$ 농도는 GnRHa처리 후 24시간째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수컷 흰쥐 뇌하수체의 생식소자극호르몬 발현에 미치는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의 효과 (Effect of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 on the Expression of Pituitary Gonadotropin in Male Rats)

  • 손혁준;김수웅;백재승;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1호
    • /
    • pp.49-54
    • /
    • 2007
  •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은 Leydig cells(LC)만을 선별적 사멸을 유도하는 약물로서 가역적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T) 결핍 흰쥐 모델을 만드는데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컷 흰쥐 뇌하수체의 생식소자극호르몬인 LH와 FSH의 발현에 미치는 EDS 투여 효과를 조사하였다. 성숙한 수컷 흰쥐(SD strain, $300{\sim}350\;g$ B.W.)에 EDS(75 mg/kg, i.p.)를 1회 복강주사하고 주사 후 0, 1, 2, 3, 4, 5, 6 그리고 7주가 경과한 날 희생시켰다. 뇌하수체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한 후 뇌하수체 glycoprotein hormone common alpha subunit($C{\alpha}$), LH beta subunit($LH{\beta}$), FSH beta subunit($FSH{\beta}$) 그리고 GnRH 수용체(GnRH-R)의 발현 변화를 semi-quantitative RT-PC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lpha}$ 전사수준은 주사 후 1주부터 급격히 상승하여 주사 후 4주까지 유의하게 높게 유지되다가 5주 후부터 control 수준으로 회귀하였다. $LH{\beta}$ 전사 수준은 주사 후 2주부터 유의하게 상승하여 주사 후 4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5주 후부터 contro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FSH{\beta}$ 전사수준은 주사 후 2주부터 유의하게 상승하여 주사 후 3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4주 후부터 감소하여 5주 후에 최소치를 보였다. 유사하게, GnRH-R 전사 수준도 주사 후 2주부터 유의하게 상승하여 주사 후 3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5주 후부터 contro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EDS 주사에 의해 수컷 흰쥐 뇌하수체 전엽에서의 생식소 자극호르몬 subunit들과 GnRH-R의 발현 변화가 가역적으로 유도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EDS 주사 모델은 수컷 흰쥐에서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축의 호르몬 조절에 대한 기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홍바리(Epinephelus fasciatus) FSHβ와 LHβ subunit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SHβ and LHβ Subunits in the Blacktip Grouper Epinephelus fasciatus)

  • 박용주;강형철;이치훈;송영보;백혜자;김형배;;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24
    • /
    • 2012
  • We cloned and sequenced the cDNA encoding the $FSH{\beta}$ and $LH{\beta}$ subunits from the pituitary of the blacktip grouper Epinephelus fasciatus, which regulate vitellogenesis and maturation in vertebrates, to achieve stable and healthy gametes. The full-length cDNAs of $FSH{\beta}$ and $LH{\beta}$ were 571 bp and 617 bp, encoding 120 amino acid (aa) and 147 aa proteins, respectively.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FSH{\beta}$ and $LH{\beta}$ were highly homologous (68-97%) to those of other Perciformes; E. bruneus, Dicentrarchus labrax, Thunnus thynnus, and Pseudolabrus sieboldi.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deduced $FSH{\beta}$ and $LH{\beta}$ amino acid sequences were categorized as a distinct subunit in the $GTH{\beta}$ family,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teleostei $FSH{\beta}$ and $LH{\beta}$, respectively. $FSH{\beta}$ and $LH{\beta}$ mRNA exhibited high abundance in the pituitary gland and low in other brain areas, but were not present in peripheral tissues, as determined by RT-PCR.

수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호르몬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6-Hydroxydopamine(6-OHDA)의 영향 (Effect of 6-Hydroxydopamine (6-OHDA) on the Expression of Hypothalamus-Pituitary Axis Hormone Genes in Male Rats)

  • 허현진;안련섭;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257-264
    • /
    • 2009
  • 6-hydroxydopamine(6-OHDA)는 파킨슨 질환 동물 모델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신경독소로 도파민성 뉴런에 대한 특이적인 독성을 나타낸다. 도파민 신호는 중추신경계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데, 이에 따라 파킨슨병 환자와 6-OHDA를 처리한 동물들의 신경내분비 활성에 극심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6-OHDA 주사 모델에서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회로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6-OHDA에 의한 뇌 카테콜아민 합성의 차단이 성체 수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 호르몬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에 일으키는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생후 3개월의 수컷 흰쥐(SD strain)에 개체 당 $200{\mu}g$의 6-OHDA를 $10{\mu}\ell$의 생리식염수에 녹여 뇌실 내 주사(icv)하였고, 2주 후에 모든 실험동물들을 희생시켰다. 시상하부-뇌하수체 호르몬 유전자들의 mRNA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total RNA를 추출하여 반-정량적 RT-PCR을 시행하였다. 카테콜아민 생합성에서 속도조절효소로 작용하는 tyrosine hydroxylase(TH)의 경우 6-OHDA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고(대조군:6-OHDA군=1:0.72${\pm}$0.02AU, p<0.001), 이를 통해 6-OHDA 주사의 효력을 확인 하였다. 시상하부에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nRH)과 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CRH)의 mRNA 수준은 6-OHDA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GnRH, 대조군:6-OHDA군=1:0.39${\pm}$0.03AU, p<0.001; CRH, 대조군:6-OHDA군=1:0.76${\pm}$0.07AU, p<0.01). 뇌하수체에서 glycoprotein hormone들의 공통적인 alpha subunit(Cg$\alpha$)과 LH beta subunit(LH-$\beta$) 그리고 FSH beta subunit(FSH-$\beta$)의 mRNA 수준의 경우 모두 6-OHDA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Cg$\alpha$, 대조군:6-OHDA군=1:0.81${\pm}$0.02AU, p<0.001; LH-$\beta$, 대조군:6-OHDA군=1:0.68${\pm}$0.04AU, p<0.001; FSH-$\beta$, 대조군:6-OHDA군=1:0.84${\pm}$0.05AU, p<0.01). 이와 유사하게, 6-OHDA군에서의 뇌하수체 adrenocorticotrophic hormone(ACTH) 전사 수준 역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대조군:6-OHDA군=1:0.86${\pm}$0.04AU, p<0.01).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로의 도파민 신경독소 주입에 의해 두 가지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회로인 GnRH-성선자극호르몬 회로와 CRH-ACTH 회로의 전사 활성이 하향 조정됨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상하부로의 CA 입력은 시상하부-뇌하수체 기능 조절을 통해 생식소와 부신의 활성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는 것으로, 파킨슨병 환자들에게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성 기능 장애와 열악한 스트레스 반응을 설명할 단서를 제공한다.

  • PDF

Alteraation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d Luteinizing Hormone ${\beta}$-Subunit mRNA Levels in Neonatally Estrogenized Female Rats

  • 송은섭;강상수;조세형;;금동호;최돈찬;김경진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595-602
    • /
    • 1997
  • Treatment of newborn female rats with gonadal steroids induces permanent sterility in adulthood. We investigated the alteration in expression pattern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d luteinizing hormone (LH) in neonatally estrogenized sterile rats (ESR). Newborn female rats received daily injections of 17${\beta}$-estradiol (E, 10 ${\mu}$g) from the day of birth (day 1) to postnatal day 5. Controls were subjected to vehicles over the same period. All animals were sacrificed on week 7 after birth. Hypothalamic GnRH mANA levels were markedly higher in all ESR than in controls, while hypothalamic GnRH contents in ESR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frequency of daily administration of E. However, both pituitary LH6 mRNA and serum LH levels were inversely decreased by the same treatment. The data indicate that neonatal exposure of E equally elevates the expression of GnRH gene, but reduces the secretion of GnRH, accordingly leading to attenuation of LH6 gene expression and circulating LH levels. The temporal effect of E and/or progesterone (P) on GnRH and LH6 mRNA levels was also examined in ESR. Newborn female rats were daily injected with E (10 ${\mu}$g) or vehicle for five successive days from day 1 and ovariectomized at week 5. They were implanted with E (235 ${\mu}$g/ml) two days prior to week 7, injected with P (1 mg) 42 h later, and sacrificed 7 h after P administration. In ovariectomized controls, hypothalamic GnRH mRNA levels were dropped to half by treatment of E and restored by subsequent treatment of P. The negative feedback action of E on GnRH mRNA levels observed in ovariectomized rats was completely blocked by neonatal exposure of E. The change in pituitary LH mRNA levels was similar to that in hypothalamic GnRH mRNA levels.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neonatal treatment of E alters the synthesis and release of GnRH in adulthood and furthermore blocks the negative feedback regulation of E which occurs normally after ovariectom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