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3$

검색결과 288,474건 처리시간 0.143초

Arabidopsis MAP3K16 and Other Salt-Inducible MAP3Ks Regulate ABA Response Redundantly

  • Choi, Seo-wha;Lee, Seul-bee;Na, Yeon-ju;Jeung, Sun-geum;Kim, Soo Yo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3호
    • /
    • pp.230-242
    • /
    • 2017
  • In the Arabidopsis genome, approximately 80 MAP3K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kinases) have been identified. However, only a few of them have been characterized, and the functions of most MAP3Ks are largely unknown. In this paper, we report the function of MAP3K16 and several other MAP3Ks, MAP3K14/15/17/18, whose expression is salt-inducible. We prepared MAP3K16 overexpression (OX) lines and analyzed their phenotyp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ransgenic plants were ABA-insensitive during seed germination and cotyledon greening stage but their root growth was ABA-hypersensitive. The OX lines were more susceptible to water-deficit condition at later growth stage in soil. A MAP3K16 knockout (KO) line, on the other hand, exhibited opposite phenotypes. In similar transgenic analyses, we found that MAP3K14/15/17/18 OX and KO lines displayed similar phenotypes to those of MA3K16, suggesting the functional redundancy among them. MAP3K16 possesses in vitro kinase activity, and we carried out two-hybrid analyses to identify MAP3K16 substrates. Our results indicate that MAP3K16 interacts with MKK3 and the negative regulator of ABA response, ABR1, in yeast. Furthermore, MAP3K16 recombinant protein could phosphorylate MKK3 and ABR1, suggesting that they might be MAP3K16 substrates. Collectively,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MAP3K16 and MAP3K14/15/17/18 are involved in ABA response, playing negative or positive roles depending on developmental stage and that MAP3K16 may function via MKK3 and ABR1.

Nd, La, K, Na이 치환된 $Pb(Mg_{1/3}Nb_{2/3})O_3$ 세라믹의 구조 및 유전 성질에 관한 연구 (Structur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Pb(Mg_{1/3}Nb_{2/3})O_3$ Ceramics Substituted by Nd, La, K and Na)

  • 권숙화;박휴범;김정;홍영식;김시중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839-845
    • /
    • 1995
  • The structur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Pb(Mg1/3Nb2/3)O3 ceramics substituted by Nd3+, La3+, K+ and Na+ were studied over 0~50 at.% substituent content. The 1 : 1 ordering behavior of Mg2+ and Nb5+ ions in the B site sublattice was observed in Nd3+-and La3+-modified compounds. The degree of ordering was increased with Nd3+, La3+ content in the compounds. But K+-or Na+-modified compounds did not exhibit the ordering behavior. This was explained by charge and size effect of A and B site cations and oxygen vacancies. As the mole fractions of substituent increased, the maximum values of dielectric constants were rapidly decreased and the phase transitions were broadened.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was correlated with the covalency of A-O and B-O bonding.

  • PDF

Ln0.7Ca0.3MnO3(Ln = Nd, Sm, La)의 자기적 전기적 특성 (Magnetic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Ln0.7Ca0.3MnO3 (Ln = Nd, Sm, La))

  • 전검배;임흥수;이찬규;구본흔;이상민;정명화;조영훈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03-206
    • /
    • 2007
  • Effects of doping rare earth elements on Ln site of $Ln_{0.7}Ca_{0.3}MnO_3$ (Ln = N d, Sm and La) were examined from structure, magnetic and electrical properties. Size of a-axis increased as following order of La < Nd < Sm, whereas c-axis was not much changed. Curie temperatures of 170 K for $Nd_{0.7}Ca_{0.3}MnO_3$, 110 K for $Sm_{0.7}Ca_{0.3}MnO_3$ and 250 K for $La_{0.7}Ca_{0.3}MnO_3$ were obtained. This result coincides with change of Mn-O bond length causing by a-axis lattice constant. The highest magnetroresistance ratios were 22% at 77 K for $Sm_{0.7}Ca_{0.3}MnO_3$, 32% at 110 K for $Nd_{0.7}Ca_{0.3}MnO_3$, and 33% at 180 K for $La_{0.7}Ca_{0.3}MnO_3$.

글리시르히진이 3T3-L1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yrrhizin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

  • 은재순;염정렬;오석흥;권진;강성룡;오찬호;소준노;전훈
    • 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35-540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glycyrrhizin on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3T3-Ll cells and to characterize the action of glycyrrhizin that affect the responses of 3T3-Ll cells during differentiati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l cells was stimulated by glycyrrhizin, and triglyceride contents was increased in the differentiated 3T3-LI cell extracts. Total protein contents was increased by glycyrrhizin or inductive agents in the differentiated 3T3-Ll cell extracts. Calmodulin contents was increased by inductive agents, but the contents was not affected by glycyrrhizin in the differentiated 3T3-Ll cell extracts. The results suggest that glycyrrhizin has a stimulating activity of adipose conversion, but the activity is not related to calmodulin contents during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3T3-LI cells.

  • PDF

히스톤 메틸화 변형을 통한 배아줄기세포의 후성 유전학적 조절 (Epigenetic Regulation by Modification of Histone Methylation in Embryonic Stem Cells)

  • 하양화;김영은;박정아;박상규;이영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4호
    • /
    • pp.273-279
    • /
    • 2011
  • 후성유전학적 조절은 DNA 서열상의 변화 없이도 유전자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현상을 뜻한다. 염색체의 후성유전학적 상태는 히스톤 변형, DNA 변형 그리고 RNAi에 의한 유전자 침묵 등에 의해 조절된다. 본 총설에서는 배아줄기세포에서의 후성 유전학적 조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히스톤(histone)의 메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배아줄기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의 조절에는 두 가지 단백질 복합체가 관여한다. Polycomb repressive complex 2(PRC2)는 EED, EZH2, SUZ1를 주요인자로 포함하며, H3K27의 trimethylation(H3K27me3)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Trithorax group(TrxG) 복합체는 주요인자로 MLL family를 포함하며, H3K4의 trimethylation(H3K4me3) 시킴으로써 유전자의 발현을 활성화한다. PRC2 및 TrxG는 다양한 보조 단백질을 포함한다. 배아줄기세포에서 후성유전학적 조절의 두드러진 특징은 H3K27me3과 H3K4me3이 동시에 나타나는 이가 상태(bivalent state)이다. PRC2와 TrxG 복합체 그리고 H3K4나 K3K27의 메틸화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탈메틸효소(demethylase)가 한데 어우러져 배아줄기세포에서 만능성 관련 유전자와 발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줄기세포의 유지 및 분화에 기여한다. 따라서 후성유전학적 조절인자들에 대한 보다 자세한 연구는 배아줄기세포를 보다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K2CO3가 흡착된 합성제올라이트 구조체의 소화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tinguishing Concentration of K2CO3-Zeolite Composites)

  • 김승일;신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42-4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입자크기 및 밀도가 비교적 작고 소화효과에 있어서 부촉매효과를 나타내는 다공성 흡착제인 합성제올라이트에 $K_2CO_3$를 중량비에 따라 흡착시킨 구조체의 소화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주사전자 현미경(SEM)의 측정 및 X-Ray 회절분석, 열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흡착구조체의 소화농도실험에서 중량비에 관계없이 순수 $K_2CO_3$의 소화농도보다 모두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특히 $K_2CO_3$와 합성제올라이트의 중량비가 7 : 3인 경우는 소화농도가 5.72배 낮게 측정되었고 ABC분말소화약제보다 약 1.1배 낮게 나타났다. SEM 사진 및 XRD 회절패턴분석을 통해 $K_2CO_3$가 합성제올라이트에 흡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열분석을 통해 흡착구조체가 순수 $K_2CO_3$보다 소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었다.

ON A THREE-DIMENSIONAL SYSTEM OF DIFFERENCE EQUATIONS WITH VARIABLE COEFFICIENTS

  • KARA, MERVE;YAZLIK, YASIN;TOUAFEK, NOURESSADAT;AKROUR, YOUSSOUF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9권3_4호
    • /
    • pp.381-403
    • /
    • 2021
  • Consider the three-dimensional system of difference equations $x_{n+1}=\frac{{\prod_{j=0}^{k}}z_n-3j}{{\prod_{j=1}^{k}}x_n-(3j-1)\;\(a_n+b_n{\prod_{j=0}^{k}}z_n-3j\)}$, $y_{n+1}=\frac{{\prod_{j=0}^{k}}x_n-3j}{{\prod_{j=1}^{k}}y_n-(3j-1)\;\(c_n+d_n{\prod_{j=0}^{k}}x_n-3j\)}$, $z_{n+1}=\frac{{\prod_{j=0}^{k}}y_n-3j}{{\prod_{j=1}^{k}}z_n-(3j-1)\;\(e_n+f_n{\prod_{j=0}^{k}}y_n-3j\)}$, n ∈ ℕ0, where k ∈ ℕ0, the sequences $(a_n)_{n{\in}{\mathbb{N}}_0$, $(b_n)_{n{\in}{\mathbb{N}}_0$, $(c_n)_{n{\in}{\mathbb{N}}_0$, $(d_n)_{n{\in}{\mathbb{N}}_0$, $(e_n)_{n{\in}{\mathbb{N}}_0$, $(f_n)_{n{\in}{\mathbb{N}}_0$ and the initial values x-3k, x-3k+1, …, x0, y-3k, y-3k+1, …, y0, z-3k, z-3k+1, …, z0 are real numbers. In this work, we give explicit formulas for the well defined solutions of the above system. Also, the forbidden set of solution of the system is found. For the constant case, a result on the existence of periodic solutions is provided and the asymptotic behavior of the solutions is investigated in detail.

필름두께 및 적외선 흡수율 차이가 참외의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Conservation of Greenhouse Film on Growth and Quality in Oriental Melon)

  • 신용습;연일권;도한우;이지은;정종도;강찬구;최충돈;전희;최영하;정두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7-173
    • /
    • 2007
  • 참외 재배시설의 광 환경 개선을 위하여 필름두께, 자외선 차단율, 적외선 흡수율이 다른 PO계 필름 3종(J-1, J-2, J-3), PE 필름(K-1, K-2, K-3)을 비교하여 참외를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오복꿀참외의 경우, K-3의 당도는 $14.3^{\circ}Brix$이고 J-3, J-2에서는 이보다 각각 $1.3^{\circ}Brix,\;0.8^{\circ}Brix$ 정도 높은 경향이었다. 과피의 색도(a 값)는 K-3의 0.5에 비하여 J-3, J-1, J-2에서 각각 3.3, 2.3, 1.9 정도 더 높았다. 또한 J-1, J-2, J-3 처리구에서 발효과율 및 기형과율이 감소하였고 상품과 율은 증가하였다. 10a당 상품수량은 K-3의 1,622 kg에 비하여 J-1, J-3, J-2에서 각각 31.2%, 23.8%, 18.5%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J-1, J-2, J-3등의 polyolefin계 필름은 필름두께가 두껍고 적외선 흡수율이 높아 보온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과실의 당도가 증가하고 색도가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발효과 발생이 감소하고 상품과율이 증가하는 등 품질이 향상되었고 수량도 증가되었다.

Fast response time PDP phosphors for 3D display application

  • Song, Jay-Hyok;Song, Yu-Mi;Kim, Ji-Hyun;Kim, Min-Ju;Kim, Ji-Hyun;Kwon, Seon-Young;Park, Do-Hyung;Kim, Yoon-Chang;Zang, Dong-Si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255-1258
    • /
    • 2008
  • New phosphors that enable the 3D application of PDP have been developed The decay times of $Y_3Al_5O_{12}:Ce^{3+}$, $(Y,Gd)Al_3(BO_3)_4:Tb^{3+}$ and $(Y,Gd)_2O_3:Eu^{3+}$ were extremely short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PDP phosphors. The color coordinates and intensities of the phosphors were also suitable for PDP For the first time in PDP industry, 3D/2D switchable PDP has been commercially available by adopting the phosphors.

  • PDF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AKT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통한 루페올의 포도당 흡수촉진 효과 (Facilitation of Glucose Uptake by Lupeol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PI3K/AKT and AMPK Dependent Pathways in 3T3-L1 Adipocytes)

  • 이현아;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6-93
    • /
    • 2022
  • Lupeol은 pentacyclic triterpene의 일종으로 다양한 질병에 약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lupeol이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 3T3-L1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흡수에 대한 lupeol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Lupeol은 3T3-L1 지방세포에서 GLUT4를 원형질막으로 이동시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였으며, 이는 PI3K/AKT 및 AMPK 경로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었다. PI3K/AKT 경로에서 lupeol은 PI3K를 활성화시키는 insulin receptor substrate 1의 인산화와 AKT의 인산화를 촉진하지만 비정형 단백질 키나아제 C isoforms ζ 및 λ의 인산화는 촉진하지 않았다. 반면, lupeol은 5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를 촉진하였고, Lupeol의 의한 AMPK의 활성화는 원형질막-GLUT4의 발현과 세포내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T3-L1 지방세포에서 lupeol에 의한 포도당 흡수 효과는 PI3K 억제제인 wortmannin 및 AMPK 억제제인 Compound C에 의해 억제됨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lupeol이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AKT 및 AMPK 경로를 통해 원형질막 GLUT4의 발현을 자극함으로써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