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_1$ 식물

검색결과 960건 처리시간 0.032초

담배 약배양에 의한 반수체식물의 특성과 T.M.V. 저항성 검정 (Haploid Plant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for T.M.V. Resistance from in Vitro Anther Culture of Nicotiana tabacum L.)

  • Ahn, D.M.;Lee, S.C.;Yoon, I.B.;Heu, 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4
    • /
    • 1977
  • 담배에서 약배양에 의한 반수체육종을 실용화하고 저 중촌등의 'D'배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든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양약중 평균 30% 이상이 반수농식물을 유기하였으며 약당 유기된 식물개체수는 평균 6주이상이었다. 2. F$_1$으로부터 유기된 반수체중 T.M.V 저항성은 이론치와 일치하는 1 : 1의 비를 나타내었다. 3. 반수체식물의 생육조사에서는 예기한바와 같이 모든 측정형질에 대하여 F$_1$의 반수체가 모본의 반수체보다 더큰 변이를 보였다.큰 변이를 보였다.

  • PDF

우리나라 벼와 옥수수로부터 분리한 Gibberella fujikuroi 종복합체와 Fusarium commune 소속 균주의 푸모니신 생성능 (Fumonisin Production by Field Isolates of the Gibberella fujikuroi Species Complex and Fusarium commune Obtained from Rice and Corn in Korea)

  • 이수형;김지혜;손승완;이데레사;윤성환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0-316
    • /
    • 2012
  • Gibberellea fujikuroi (Gf) 종복합체는 최소 15개의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식물에 병을 일으킬 뿐 아니라 푸모니신과 같은 곰팡이독소를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벼와 옥수수로부터 분리한 Gf 종복합체 소속 야생형 균주의 푸모니신 생성능을 검정하였다. 이들 분석대상 균주는 모두 푸모니신 생합성에 필수적인 polyketide synthase 유전자 FUM1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88주의 Gf 종복합체 소속 균주(55 F. fujikuroi, 10 F. verticillioides, 20 F. proliferatum, 2 F. subglutinans, 1 F. concentricum)와 Gf 종복합체의 근연종인 4주의 F. commune를 쌀 배지에 배양한 후 각 균주의 푸모니신 생성 농도를 HPLC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F. verticillioides과 F. proliferatum 균주는 기주 식물에 관계없이 푸모니신 $B_1$($0.5-2,686.4{\mu}g/g$)과 $B_2$($0.7-1,497.6{\mu}g/g$)를 다양한 범위 내에서 생성하였다. 반면 모든 F. fujikuroi을 비롯한 다른 Fusarium spp.의 균주로부터는 푸모니신이 검출되지 않았거나 $10{\mu}g/g$ 이하 수준의 미량만 검출되었다. 흥미롭게도 F. proliferatum과 F. fujikuroi의 경우, 옥수수 유래 균주 집단에서 벼 유래 균주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농도 푸모니신 생성 균주의 비율이 높았다. 한편, FUM1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F. commune의 푸모니신 생성능은 본 연구를 통해 처음 보고된다.

개나리국의 종간교잡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TERSPECIFIC CROSSING OF GENUS FORSYTHIA)

  • HARN, Chang Yawl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4권1호
    • /
    • pp.1-7
    • /
    • 1961
  • 분류학에서 이종으로 취급되고 있는 Forsythia속의 종간교잡을 실시하여 화주장의 분리비, 양화주간의 수정양식, $F_1$의 임성, ♀♂성 기타 분류학상의 제문제제를 구명한바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화주장은 L:S=1:1로 분리한다. (2) 이종간의 적, 부적법수분인데도 양친 L, S의 수정양식은 일 일반형예식물 동일종내의 2형화와 전혀 동일하다. (3) $F_1$의 L, S간의 수정양식도 일반형예식물과 동일하다. (4) 종간교잡은 잘되고 $F_1$의 임성도 이상없다. (5) 교잡제일식의 형태, 생리적변이는 심하다. (6) S주도 적법수분에서는 임성이 양호하고 Forsythia가 ♀, ♂ 이주라는 것은 잘못이다. (7) $F_1$에는 영양생장 및 생식기관이 빈약한 왜형이 나타난다. (8) 본실험에 사용한 두종은 이종이라기보다 동일종내의 이화형개체라고 하는 것이 타당하다.

  • PDF

식물병원성 진균을 억제하는 근권세균의 항진균능과 식물생장촉진능 (Antifungal Activ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by Rhizobacteria Inhibiting Growth of Plant Pathogenic Fungi)

  • 정택경;김지현;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6-21
    • /
    • 2012
  • 여러 식물의 근권에서 세균 균주들을 분리하여 이들의 항진균성 물질 생성능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주 중 Fusarium oxysproum을 포함한 5가지 주요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생장저해가 우수한 7개 균주를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Paenibacillus peoriae RhAn32, Pseudomonas otitidis TK1과 Bacillus cereus TK2가 가장 넓은 생장 저해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항진균성 물질 중 siderophore 생성능은 P. otitidis TK1이 3.21 mM/ml로 가장 높았고 HCN은 Pseudomonas koreensis Rh2와 Rh7 균주만이 생성하였으며 Brevibacterium frigoritolerans EnA9와 P. peoriae RhAn32는 각각 1558.9와 $1436.7{\mu}M$ glucose/min/mg protein의 높은 chiti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P. otitidis TK1과 P. peoriae RhAn32의 항진균능을 진균과의 공동배양을 통해 정량분석한 결과 세 종류의 Fusarium oxysproum의 생장을 유의성 있게 저해하였다. P. otitidis TK1은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auxin의 생성능도 가장 높았는데 이 균주를 4주 자란 토마토 유묘에 F. oxysporum f. sp. lycopersici와 동시에 접종하여 8주간 재배하였을 때 줄기와 뿌리 길이 및 습윤 중량이 비접종 대조군에 비해 각각 45.7, 64.9와 118%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 균주들은 유기합성농약을 대체하면서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제로서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려인삼과 미국삼의 종간잡종으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lantlets Redifferentiated from F1 Hybrid between Panax ginseng and Panax quinquefolius)

  • 안인옥;이성식;이장호;이범수;인준교;양덕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45-48
    • /
    • 2006
  • 교잡 1세대의 화서조직에서 재분화된 F1 유식물체는 고려인삼 유식물체에 비하여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이 모두 양호하였으며, 줄기 색도 고려인삼 재분화 식물체의 줄기에 비하여 자색을 강하게 띄었으며 잎의 색도 진한 녹색을 나타내었다. 천풍, 연풍, 선원 등의 고려인삼의 품종 내에서는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영역의 DNA PCR 패턴간에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려인삼과 미국인삼은 각기 다른 PCR 패턴을 보였으며, 고려인삼과 미국인삼간의 교잡 1세대는 고려인삼과 미국인삼에 나타나는 고유한 PCR패턴을 모두 나타내었다. 교잡 1세대에서 유기한 캘러스와 재분화식물체는 조직배양 모본인 교잡 1세대와 동일한 PCR 패턴을 보임에 따라 교잡 1세대의 조직배양체는 ribosomal DNA의 ITS영역에서 유전적인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산 옥수수로부터 분리한 Fusarium균주의 독성 및 Fumonisin B1의 생성 (Toxicity and Fumonisin B1 Production by Fusarium Isolates from Chines Corn Samples)

  • 이인원;강효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9-135
    • /
    • 1994
  • Ninety-two isolates of Fusarium species were obtained from Chinese corn samples. The predominant Fusarium species isolated from corn seeds were F. moniliforme, F. proliferatum, F. oxysporum and F. subglutinans, and all 13 species were identified. Each isolate was grown on autoclaved wheat grains and wheat cultures were fed by twenty-one-day-old female rats for the toxicity test. Twenty-six out of 92 isolates caused the death accompanying feed refusal, severe weight loss, liver damage, and hemorrhages in the stomach and intestines. Of the toxigenic isolates, 17 isolates of F. moniliforme, 4 of F. oxysporum, 3 of F. proliferatum, and one of each F. sporotrichioides and unknown species were lethal to rats. The analyses of fumonisin B1 production of the 26 toxigenic Fusarium isolates were carried out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fumonisin B1 was confirmed by mass spectrometry. Fumonisin B1 was produced in wheat culture at levels ranging from 280 $\mu\textrm{g}$/g to 3,952 $\mu\textrm{g}$/g by all of toxigenic F. moniliforme and F. proliferatum, but by none of the other toxigenic Fusarium species.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e high possibility of natural occurrence of fumonisin B1 in corn samples imported from China.

  • PDF

배추무사마귀병 저항성 유전자와 연관된 DNA 마커개발 (Development of DNA markers linked to resistant gene to Psmodiophora brassicae Woronin in Chinese cabbage)

  • 한영한;우종규;박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제9차 국제심포지움 및 추계정기학술발표회
    • /
    • pp.50-50
    • /
    • 2002
  • 배추무사마귀병 저항성 유전 양식을 증명하기 위해서 CR계 F1에서 유래된 F2 세대를 포장시험과 유묘 검정을 실시하였다. F$_2$ 세대의 7 집단은 단인자우성으로 3:1의 분리비를 보였고, 5 집단은 중복 유전자가 관여하는 9:7의 유전 분리비를 보였다. 배추무사마귀병 저항성 유전자와 연관된 DNA 마커를 개발하기 위하여 CR-Saerona F$_2$ 집단을 배추무사마귀병 발병포장에서 재배하여 저항성 평가를 하였다. 220개의 임의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BSA-RAPD (Bulked segregant analysis-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를 수행하였지만 CR-Saerona F2 집단에서 배추무사마귀병 저항성 유전자와 꼭 들어맞는 DNA 마커는 발견되지 않았다. 300개의 임의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CR-Saerona에서 유래된 F$_2$ 세대를 QTL 분석하였다. 저항성 정도는 발병지수에 따라 조사되었고 QTL 분석을 위해 one-way ANOVA 테스트를 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두 프라이머(K16-1, L2-2)가 저항성과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고려인삼과 미국삼 종간잡종의 형질 및 성분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nent of Hybrid between Panax ginseng C. A. Meyer and Panax quinquefolius L.)

  • 정열영;정찬문;조재성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183-187
    • /
    • 2003
  • 본 연구는 Panax속의 유용형질을 탐색하고, 고려인삼과 미국삼, 그리고 종간 잡종인 F$_1$ 식물체의 생육, 형태적 특성, 수량, 적변율 및 ginsenoside함량 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려인삼은 적변 발생율이 연생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미국삼은 적변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F$_1$잡종식물체에서도 적변이 발생되지 않았다. 2. 고려인삼과 미국삼의 잡종인 F$_1$잡종식물체 인삼의 개화기는 미국삼보다 빠르고, 자경종보다는 늦었다. 3. 고려인삼과 미국삼을 교배한 F$_1$ 묘삼의 근형질 특성은 미국삼과 고려인삼에 비하여 근장과 근중이 컸다. 4. 잡종 F$_1$의 ginsenosides 함량은 대부분이 고려인삼과 미국삼의 중간 정도였으나, 양친보다 Re는 많았고 Rg$_1$, Rg$_2$ 는 적게 정량 분석되었으며, Rf가 고려인삼에서는 검출되었으나 미국삼 및 F$_1$잡종식물체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인삼 유묘 뿌리썩음병 진전에 따른 토양군별 특성 (Characteristics of Soil Groups Basd on the Development of Root Rot of Ginseng Seedlings)

  • 박규진;정후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6-56
    • /
    • 1997
  •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f Richards' parameter estimates, ginseng field soils were grouped as the principal component 1 (PC1) and the principal component 2 (PC2). The microflora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oil group were compared to elucidate soi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isease development of root rot of ginseng seedling. Among 3 soil groups by PC1,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opulations of total fungi (TF) and Cylindrocarpon plus Fusarium (C+F), and the population ratio of Cylindrocarpon plus Fusarium to total fungi or total bacteria (C+F/TF, C+F/TB) in rhizoplane of ginseng seedlings, the population of total actinomycetes (TA) and the population ratio of total Fusarium to total actinomycetes (Fus/TA) in soil,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EC, NO3-N, K, Mn, ect.). Among 4 soil groups by PC2, there were differences in TF, C+F, TB, C+F/TF and C+F/TB in the rhizoplane, Trichoderma plus Gliocladium (T+G) in soil, and P2O5 content in soil. Especially, EC, NO3-N, K, K/Mg and M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PC1, and TA was negatively to PC1; however, TF, C+F, TB, C+F/TF and C+F/TB in the rhizoplan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PC2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microbes in the rhizoplan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stand-missing rate (SMR), although TA and Fe/Mn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pH and Ca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SMR.

  • PDF

한국 고유식물의 종속지 V. 터리폴속 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 (Monographic Study of the Endemic Plants in Korea V.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Filipendula)

  • 김기중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1호
    • /
    • pp.19-40
    • /
    • 1986
  • A study on the species description, enumeration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genus Filipendula was undertaken for four Korean and two Japanese species. The use of scanning electron miroscope(SEM) has made possible a detailed study of foliar trichomes, pollen grains and fruit surface features. A new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EM sample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Filipendula glaberrima, F. formosa, and F. korean were reliable endemic species. Among them, F. glaberrima shares many characteristics with F. formosa. F. gloaberrima can be divided into tow types based on leaf, seed, flower and pollen characters. Type I is characterized by ciliated fruits, many branched vascular bundles on the petal, dense trichomes on the leaf vein of abaxial surface, and many foveolate pollen surface. Type II possesses glabrous fruits, a few vascular bundles on the petal, rare trichomes on the leaf vein and a few foveolate pollen surface. The significant taxonomic characteristics in the classification of genus Filipendula are their lengths of fruit stalks, the densities of marginal trichomes of fruits, and textures of stipu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