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2+}$

검색결과 1,857건 처리시간 0.028초

Europium이 첨가된 NaSr(PO3)3형광체의 형광특성 (Luminescence Properties of Europium-doped NaSr(PO3)3 Phosphor)

  • 윤창용;박철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45-652
    • /
    • 2019
  • 폴리 인산염 모체에 이온 반경이 유사한 Sr과 Eu 치환에 적합한 형광체를 찾아 단일 희토류 이온이 첨가된 형광체를 합성하고 후처리를 통해 형광 영역이 변화를 연구하였다. 고상법을 이용하여 Eu 이온이 첨가된 $NaSr(PO_3)_3$형광체를 합성하고 탄소열환원법을 통하여 $NaSr(PO_3)_3:Eu^{2+}$ 형광체를 완성하였다. 두 형광체 모두 X선 회절 측정을 통하여 결정상을 확인하였다. $NaSr(PO_3)_3:Eu^{3+}$의 여기 및 방출 스펙트럼 모두 $Eu^{3+}$ 농도가 증가할수록 형광 강도가 증가하였고 농도소광을 확인하였다. 방출스펙트럼에서 $Eu^{3+}$ 농도가 높아질수록 $Eu^{3+}$ 주변 환경의 국부적 대칭성이 높아지는 것 알 수 있었다. $NaSr(PO_3)_3:Eu^{2+}$ 농도별 방출스펙트럼에서 $Eu^{2+}$ 이온 농도 증가에 따른 $Eu^{2+}$ 이온 사이의 임계 거리가 가장 가까운 $Eu^{2+}$ 사이의 에너지 전달에 의해 형광이 감소하는 농도소광의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단일 희토류 이온이 첨가된 형광체의 후처리를 통해 형광 영역 변화가 가능하며 형광체 내 $Eu^{3+}$ 주변 환경의 국부적 대칭성과 $Eu^{2+}$ 이온간 거리에 따른 에너지 전달 및 농도소광 메커니즘 연구를 통하여 형광 특성 응용에 적합하고 효율성이 높은 형광체 개발에 좋은 모체 결정으로 사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EU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U Emissions Trading Schemes)

  • 박명섭;홍란주;허윤석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2호
    • /
    • pp.297-324
    • /
    • 2008
  • 온실가스의 배출이 늘어남에 따라 세계 기후도 변화하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는 배출량이 가장 높은 인위적인 온실가스로 1970년에서 2004년 사이 전체 온실가스 방출량의 80%를 차지할 정도였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의 부속의정서인 교토의정서의 제안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2위인 EU는 자체적으로 배출권 거래제도를 실시하며 탄소 배출량 감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 시행의 모범이 되고 있는 EU의 배출권 거래제도와 배출권 거래시장을 중심으로 EU의 배출량 감축 정책 및 현재까지의 감축 결과를 살펴보았다. 2단계에 걸쳐 진행되는 EU의 배출권 거래제도는 현재 1단계를 거쳐 2008년부터 2단계가 발효되고 있다. 현재까지 EU의 배출권 거래 제도는 성공적이라 할 수 있을 만큼 탄소 배출량이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U의 성공적인 정책의 고찰을 통해 배출량 감소 이행국에서 제외된 국가들의 향후 감축의무 부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uminescence Wavelength Control of $CaAlSiN_3:Eu^{2+}$ by Ca-replacing: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Study

  • Onuma, Hiroaki;Suehiro, Takayuki;Suzuki, Ai;Tsuboi, Hideyuki;Hatakeyama, Nozomu;Endou, Akira;Takaba, Hiromitsu;Kubo, Momoji;Sato, Tsugio;Miyamoto, Akira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290-293
    • /
    • 2009
  • We both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luminescence wavelength control of the $Eu^{2+}$-doped $CaAlSiN_3$ (CASN:$Eu^{2+}$). To modify emission wavelength, Na-doped and Mg-doped CASN:$Eu^{2+}$ (NCASN:$Eu^{2+}$ and MCASN:$Eu^{2+}$) have been studied. According to quantum chemistry calculation result, we synthesized NCASN:$Eu^{2+}$ and MCASN:$Eu^{2+}$. NCASN:$Eu^{2+}$ and MCASN:$Eu^{2+}$ showed shorter emission wavelength than that of CASN:$Eu^{2+}$.

  • PDF

Eu3+ 이온이 첨가된 바나듐산염의 형광특성 연구 (A Study on the Luminescence Properties of Eu3+ Ions Doped Vanadate)

  • 강연희;윤창용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45-451
    • /
    • 2019
  • 형광체 내 모체로 사용될 때 활성 이온 주위에 분포하여 형광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알칼리 토금속인 $Ba^{2+}$ 이온을 기반으로 하는 바나데이트 화합물인 $Ba_2GdV_3O_{11}$에 희토류 이온 $Eu^{3+}$를 첨가하여 형광 강도 및 형광 수명을 연구하였다. 고상법을 이용하여 $Ba_2GdV_3O_{11}:Eu^{3+}$ 형광체를 합성하였으며 X선 회절 분석을 통하여 형광체의 결정성을 확인하였다. $Ba_2GdV_3O_{11}:Eu^{3+}$ 형광체의 형광특성은 광학 및 레이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a_2GdV_3O_{11}:Eu^{3+}$ 형광체의 에너지 전이와 확산은 $Eu^{3+}$의 농도에 크게 의존한다. $Eu^{3+}$의 농도가 낮을 때 CT 밴드로의 강한 형광을 보이나 $Eu^{3+}$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4f - 4f 전이에 의한 형광이 강하게 나타난다. $Eu^{3+}$ 이온의 농도 증가로 인해 이온 간의 에너지가 확산되어 형광의 수명시간은 감소하였다. 에너지 전이는 낮은 $Eu^{3+}$ 농도에서 두 $Eu^{3+}$ 이온 사이에서 발생하며 에너지 확산은 높은 $Eu^{3+}$ 농도에서 크게 발생한다.

$Sr_{1-x}Eu_xAl_2O_4$ 형광체의 발광 및 장잔광특성 (Photoluminescence and long after -glow characteristics of $Sr_{1-x}Eu_xAl_2O_4$phosphor)

  • 이영기;김병규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93-497
    • /
    • 1998
  • 부활제인 $Eu_2O_3$의 농도를 변화시킨 $Sr_{1-x}Eu_xAl_2O_4$(x=0.005~0.2mol%)계 장잔광 형광체를 98%Ar+2% H2의 환원분위기에서 고상반응시켜 합성한 후 X-선 회절실험과 장잔광 축광재료로서 가장 중요한 발광특성과 장잔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SrAl_2O_4:Eu^{2+}$계 형광체는 $Eu_2O_3$의 농도에 관계없이 녹황색의 520nm파장을 최대 발광파장으로 하는 발광스펙트럼을 나타내었으나, 발광특성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 SrAl2O4의 단일상을 얻기 위한 농도는 0.05mol% 이하가 적절하였다. 또한 $SrAl_2O_4:Eu^{2+}$ 형광체의 잔광강도는 $Eu_2O_3$의 농도에 무관하게 시간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나, Eu2O3의 농도가 0.05mol% 이하인 경우에 발광의 감쇠속도가 작은 뛰어난 장잔광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SrGa2S4 형광체의 합성과 발광 특성 (Synthesis of SrGa2S4 Phosphor and Its Luminescent Properties)

  • 허영덕;심재훈;도영락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4-168
    • /
    • 2002
  • $SrGa_2S_4$:Eu는 녹색을 발광하는 형광체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음극선 발광 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SrGa_2S_4$:Eu의 합성은 $SrCO_3$,$Ga_2O_3$, 그리고 $Eu_2O_3$$H_2S$ 와 Ar 가스를 흘려주면서 고온에서 소송하는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rS, Eu 착물, 그리고 Ga 착물의 분해 반응을 통해서 $SrGa_2S_4$:Eu 형광체를 합성하였다. 이 방법의 장점은 Ar 가스 뿐 만 아니라 독성의 $H_2S$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SrGa_2S_4$:Eu 형광체의 합성 조건과 발광 특성을 검토하였다.

Thermal Stability Study of $Eu^{2+}-doped$ $BaAl_2Si_2O_8$ Phosphor using Polymorphism for Plasma Display Panel applications

  • Im, Won-Bin;Kim, Yong-Il;Jeon, Duk-Youn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5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vol.II
    • /
    • pp.1568-1571
    • /
    • 2005
  • We have evaluated thermal stability of a $BaAl_2Si_2O_8:Eu^{2+}$ $(BAS:Eu^{2+})$, which have polymorph property such as hexagonal, monoclinic structure depending upon firing temperature. When both polymorph $BAS:Eu^{2+}$ were baked in air at 500 $^{\circ}C$ for 30 min, the photoluminescence (PL) intensity of $monoclinic-BAS:Eu^{2+}$ was maintained of the initial intensity. However, the PL intensity of $hexagonal-BAS:Eu^{2+}$ decreased significantly, corresponding to about 34 %. From analyses of Rietveld refinement, the difference of thermal stability of both $BAS:Eu^{2+}$ can be ascribed to both crystal structure of host materials and the average interatomic distances between $Eu^{2+}$ ion and oxygen their crystal structure which plays a key role of shield for Eu2+ ions against oxidation atmosphere.

  • PDF

Aluminum Borate 화합물에 있어서 EU2+이온의 발광성 (A Fundamental Study of Eu2+ Luminescence in Aluminum Borate Compounds)

  • 장기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0-355
    • /
    • 2000
  • 알루미늄 보레이트 화합물, $CaAl_2(BO_3)_2O$$BaAl_2(BO_3)_2O$은 매우 효과적으로 $Eu^{2+}$ 이온의 형광성을 나타내는 발광격자를 가지고 있다. 발광피크는 $Eu^{2+}$:$CaAl_2(BO_3)_2O$화합물에 있어서 450㎚이고 $Eu^{2+}$:$SrAl_2(BO_3)_2O$화합물에 있어서411㎚이며 $Eu^{2+}$:$BaAl_2(BO_3)_2O$ 화합물에 있어서 375㎚이다. 그러므로 $Eu^{2+}$:$CaAl_2(BO_3)_2O$ 화합물은 파란색을 내는 좋은 형광체이며, 특별히, 진공자외선 제논 플라마스 램프에 있어서 우수한 형광물질로 기대된다. $Eu^{2+}$ 이온은 PDP 형광체로써 관심이 높으며, Stokes shift는 형광물질의 도핑격자 크기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Stokes shift는 발광 파장을 결정하는 하나의 중요한 요소이다. 만일, 도핑격자의 크기가작아짐에 따라 $Eu^{2+}$ 이온의 5d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면, 발광 파장은 길어지고 Stokes shift크기는 커진다. 그러므로 결정격자의 크기를 측정하면 $Eu^{2+}$ 이온의 Stokes shift와 5d 에너지 준위 등의 발광성질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분무열분해 공정에 의해 제조된 Ba2-xSrxSiO4:Eu2+ 형광체의 발광특성 (The Photoluminescence Characteristic of Ba2-xSrxSiO4:Eu2+ Phosphor Particle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 강희상;박승빈;구혜영;강윤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6호
    • /
    • pp.609-613
    • /
    • 2006
  • 분무열분해법에 의해 장파장 UV 여기원 하에서 높은 발광세기를 가지는 $Ba_{2-x.}Sr_{x.}SiO_4:Eu^{2+}$ 형광체를 제조하였다. 분무열분해공정 의해 제조된 $Ba_{2-x.}Sr_{x.}SiO_4:Eu^{2+}$ 형광체의 발광특성, 분말 형태 및 결정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무열분해 공정에 의해 제조된 $Ba_{2-x.}Sr_{x.}SiO_4:Eu^{2+}$ 형광체는 모체를 구성하는 바륨과 스트론튬의 비에 따라 청녹색에서 황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파장대의 색을 구현할 수 있었다. x = 0인 $Ba_2SiO_4:Eu^{2+}$ 형광체의 경우 발광 중심파장이 500 nm였으며, x = 2인 $Sr_2SiO_4:Eu^{2+}$ 형광체의 경우 발광중심 파장이 554 nm였다. 분무열분해 공정에 의해 제조된 $Ba_{2-x.}Sr_{x.}SiO_4:Eu^{2+}$ 형광체는 구형의 형상을 띄지만 중공성의 입자 특성을 가졌다. 반면에 후열처리 과정을 거친 $Ba_{2-x.}Sr_{x.}SiO_4:Eu^{2+}$ 형광체는 큰 입자 크기와 불규칙한 형태를 가졌다. $Ba_{1.488}Sr_{0.5}SiO_4:Eu_{0.012}{^{2+}}$ 형광체가 환원분위기 하에서 후열처리 온도 $1,200^{\circ}C$에서 3시간 동안 후열처리 과정을 거쳤을 때 최적의 발광 세기를 가졌다.

$Eu^{3+}$ 이온의 발광성에 대한 구조와 성질의 기본적인 연구 (A Fundamental Study of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in $Eu^{3+}$ Luminescence)

  • Chang, Ki-Seog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0
    • /
    • 2002
  • M/sub 1-x/Na/sub 2x/Al₂(BO₃)₂O (M = Ca and Sr) 고용체계는 치환형과 틈새형 고용체를 동시에 갖는다. 이상의 고용체계 물질에 첨가된 발광원자의 에너지 전이는 발광원자, Eu 주위의 대칭성에 깊은 관계가 있다 Eu/sup 3+/ 이온의 경우, Eu/sup 3+/ 이온의 주변 대청성에 따라서 매우 밝고 효율적인 발광성 불순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와 연계한 연구가 가능하다. Eu/sup 3+/: Ca/sub 1-x/Na/sub 2x/Al₂(BO₃)₂O 고용체계의 Na원자 양이 증가함에 따라 Eu3+ 이온의 대칭성이 낮아진다. CaAl₂(BO₃)₂O 화합물은 Ca 원자 중심의 팔면체 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성비 x의 증가와 함께, 화합물의 낮은 대청성에 의해서 Eu/sup 3+/:Ca/sub 1-x/Na/sub 2x/Al₂(BO₃)₂O 고용체계의 /sup 5/D/sub 0/→/sup 7/F₁(590 nm) 전이의 상대적인 세기가 감소한다. 그러한 또 다른 예는 비대칭성 물질인 Eu/sup 3+/:SrAl₂(BO₃)₂O 화합물에서도 찾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