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alpha}$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우포늪의 수환경요인 변화 (Change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Upo Wetland)

  • 이정준;이정호
    • 환경생물
    • /
    • 제27권3호
    • /
    • pp.306-313
    • /
    • 2009
  • In the Upo wetland, physico-chemical factors were observ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005 to December 2007 on a monthly basis. In the Upo wetland, water temperatures ranged $3.4{\sim}34.5^{\circ}C$. Conductivities were in the range of 133~806 ${\mu}S\;cm^{-1}$, which showed about 140 ${\mu}S\;cm^{-1}$ below in comparison with the precedent studies. The pH levels were between 6.7~9.1 with lower level in summertime. The dissolved oxygens were between 0.06~18.23 mg $L^{-1}$. COD ranged 4.9~20.8 mg $L^{-1}$, and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every year. Nitrogen nutrients such as nitrate nitrogen ($NO_3-N$), ammonia nitrogen ($NH_3-N$) and total nitrogen (T-P) showed that they were general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precedent studies. However the total nitrogen (T-N) is still considerably higher than the standard concentration level of eutrophication and algal blooming. Phosphate phosphorus ($PO_4-P$) and total phosphorus (T-P) were also shown as to be reduced considerably comparing with the values in the precedent studies. However, It was found out that total phosphorus (T-P) was dissolved over the criteria concentration of eutrophication. The average of TN/TP ratio was 18 in the Upo wetland, which proved that phosphorus was the limiting factor to the growth of phytoplankton in the Upo wetland. The chl-$\alpha$ was the highest in wintertime and the lowest in summertime, and especially in 2006 summer when the cyanobacterial bloom developed, it showed extremely high concentration.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of Laetoeoeeus laetis NK34 Isolated from Jeotgal

  • Lee, Na-Kyoung;Noh, Ji-Eun;Choi, Gui-Hun;Park, Eun-Ju;Chang, Hyo-Ihl;Yun, Cheol-Won;Kim, Seung-Wook;Kang, Chang-Won;Yoon, Yoh-Chang;Paik, Hyun-D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843-847
    • /
    • 2007
  • Strain NK34 was characterized for probiotic use. Strain NK34 was named Lactococcus lactis NK34 based on API 50 CHL kit results and 16S rDNA sequencing. L. lactis NK34 was highly resistant to artificial gastric juice (pH 2.5) and artificial bile acid. Based on results from the API ZYM kit, 4 enzymes were produced. L. lactis NK34 was resistant to all antibiotics tested except for $10\;{\mu}g/mL$ roxithromycin and $10\;{\mu}g/mL$ erythromycin. The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L. lactis NK34 was about 46.9%. Concentrations of interleukin $(IL)-1{\alpha}$ in the $20{\times}$ concentrated supernatant of L. lactis NK34 was about 361 pg/mL. L. lactis NK34 was also found to inhibit the growth of colon cancer cells due to MNNG-induced DNA damag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L. lactis NK34 as a health-promoting probiotic.

광합성 측정기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광합성 효율 측정 (Evaluation of the ETRmax in Microalgae Using the PHYTO-PAM Fluorometer)

  • 조은섭;이필용;오현주;최윤석;최양호;이삼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8호
    • /
    • pp.727-735
    • /
    • 2006
  • In this study, the PHYTO-PAM-fluorometric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ETR$_{max}$ in terms of sensitivity to DIN/DIP against 14 microalgae: Prorocentrum micans, Heterocapsa triquetra, Gymnodinium impudicum, Cymnodinium catenatum, Amphidinium caterae, Chlorella vulgaris, Chroococcus minutus, Microcystis aeruginosa, Chlorella ellipsoidea, Nannochloris oculata, Oocystis lacustris, Chroomonas salina, Gloeocystis gigas, and Prymnessium parvum. We found that P. micans, H. triquetra, and A. caterae exposed to the maximum level of DIN/DIP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ETR$_{max}$ than that of the minimum and moderate mixture. Unlikely the ETR$_{max}$, the initial slope alph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level of 60 DIN/DIP. In G. catenatum, the moderate levels of 15 and 20 in DIN/DI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TR$_{max}$ at Chl-Ch4. Gymnodinium impudicum had a higher value than that of the ETR$_{max}$ than that of dinoflagellates used in this study, ranging from 306.1 (Ch4, DIN/DIP: 10) to 520.1 (Ch4, DIN/DIP: 30). The ETR$_{max}$ value obtained from other microalgae was similar to C. impudicum at any of the ratios of DIN/DIP and channels. Consequently, the influence of offshore water current assures us of the suppression of photosynthesis and electron transport rate in dinoflagellates. Gymnodinium impudicum has not been researched in the area of red tides in Korea, but it will be enough to creat the massive algal blooms in the future because of higher potential photochemical availability.

태안 안면도 조간대에 서식하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조위별 성장양상 (Growth Pattern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t Each Tidal Level in the Intertidal Zone in Tae-an, West Coast of South Korea)

  • 한형섬;마채우;김지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9-35
    • /
    • 2012
  • Growth pattern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each tidal level were studied in the intertidal zone in Tae-an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from April to August 2009.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specimens of R. philippinarum were monthly collected at three intertidal locations: low intertidal zone, low-middle intertidal zone and middle intertidal zone. Temperature of sediment in low intertidal zone were lower than those in other intertidal locations. Concentrations of Chl-${\alph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each tidal level. Exposure hours in low intertidal zone were shorter than those in other intertidal locations. Density of each year class in low intertidal zone were higher than those in low-middle intertidal zone and middle intertidal zone. Growth factors of R. philippinarum in low intertidal zone were better than those in other intertidal locations. The growth rate of under one year class individuals of low intertidal zone were higher than those in low-middle intertidal zone and middle intertidal zone, before the main recruitment period of R. pilippinarum. Although the growth patterns of R. philippinarum may be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we suggests that the exposure duration is the main affect in the growth patterns of R. philippinarum in intertidal zone.

Differential Responses of Three Cyanobacteria to UV-B and Cd

  • Atri, Neelam;Rai, Lal-Chand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544-551
    • /
    • 2003
  • Interactive effects of UV-B and Cd on growth, pigment, photosynthesis, and lipid peroxidation have been studied in Anabaena, Microcystis, and Nostoc; all the tested cyanobacteria showed differential sensitivity to different dosage of UV-B and Cd alone as well as in combination. Phycocyanin was severely affected by UV-B and Cd by all the strains; the degree of pigment bleaching was most pronounced in Anabaena followed by Microcystis and Nostoc. $UV-B_2+Cd_2$ produced nearly 83, 78, and 65% inhibition of phycocyanin in Anabaena, Microcystis, and Nostoc, respectively. The above treatment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ontents of Chl ${\alpha}$ and carotenoid. Presence of capsule in Microcystis protected the phycocyanin bleaching as compared to decapsulated cells. Laboratory-grown Microcystis revealed about 75 and 80% inhibition, following $UV-B_2+Cd_2$ treatment, respectively. in capsulated and decapsulated cells. Damage caused by Cd was more pronounced than UV-B. Inhibition of photosynthesis did occur in all the test strains, being maximum in Anabaena. PS II was the most sensitive component of the electron transport chain, showing 84, 80, and 70% inhibition in Anabaena, Microcystis, and Nostoc, respectively. As compared to control, significant lipid peroxidation (6.5-fold higher) was observed in Anabaena with $UV-B_2+Cd_2$, $^{14}C-uptake$ was more susceptible to Cd and Uv-B than oxygen-evolution. Approximately 84, 80, and 76% inhibition of $^{14}C-uptake$ was observed in Anabaena, Microcystis, and Nostoc, respectively. Similarly, $UV-B_2+Cd_2$ inhibited APT content of Anabaena by 87%. This ,study suggests that inhibition of carbon fixation was due to decreased ATP content of the test cyanobacteria by UV-B+Cd, where Anabaena was the most sensitive and Nostoc the most tolerant.

인공수로에서 고농도 탁수가 수질 및 부착 규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ly Concentrated Turbid Water on the Water Quality and Periphytic Diatom Community in Artificial Channel)

  • 윤성애;유경아;박지형;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4권1호
    • /
    • pp.75-84
    • /
    • 2011
  • 인공하천에서 탁수가 부착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는 실내에 인공수로 4개를 설치하고, 대조군 2개와 처리군 2개로 반복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기질은 1% agar을 바른 슬라이드 글라스($7.5{\times}2.5\;cm$)이었고, 지점당 40개씩 설치하였다. 조사는 2010년 3월 29일부터 4월 10일까지 총 13일간이었으며, 6일간은 부착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공백기를 주었고, 조사 7일부터 24시간 간격으로 약 50분(50 L)간 고농도의 탁수($2\;g\;L^{-1}$, 300 NTU)를 주입 시켰다. 분석항목은 수질요인(수온, DO, pH, 전기전도도, 탁도, SS, $NO_2$-N, $NO_3$-N, $NH_4$-N, $PO_4$-P, TN, TP)과 생물량(Chl-${\alpha}$, AFDM), 종조성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처리군의 탁수 농도는 162.2~173.2 NTU로 나타났다. 탁수 발생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수질 항목은 수온, DO 및 TN으로 나타났고,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항목은 SS, $NO_2$-N, $NO_3$-N, $NH_4$-N 및 TP로 나타났다. 부착조류의 생물량(Chl-${\alpha}$, AFDM) 및 밀도는 탁수 주입 후 3 일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3일 이후부터는 뚜렷한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기간의 간헐적인 탁수라 할지라도 그 기간이 일주일 정도 지속된다면 부착 규조류 생물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그를 통한 하천 먹이사슬의 구조적, 기능적 교란의 잠재성을 시사한다.

팔당호 플랑크톤 군집의 탄소생물량 동태 (Carbon Dynamics of Plankton Communities in Paldang Reservoir)

  • 노성유;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174-187
    • /
    • 2008
  • 본 연구는 팔당호의 효과적인 호소관리를 위하여 미세 먹이망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자 경안천(정점 K), 팔당댐 (정점 P)그리고 남 북한강 합류부(정점 M)에서 2005년 3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씩 환경 요인과 미소 생물요인의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DOC는 $3{\sim}5$월 그리고 11월에 높은 값을 보였다. 영양염류는 다른 2개 정점보다 상대적으로 정점 K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인산염과 규산염은 여름철 집중강우기 이후에 3개 정점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9월 이후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Chl-$\alpha$의 변화는 3개 정점에서 4월과 11월에 매우 높은 값을 보였다. 박테리아와 HNF의 탄소량은 3월, 5월 그리고 8월에 높은 값을 보였으나, 섬모충플랑크톤의 월별탄소량의 변화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섬모충플랑크톤(P<0.001)과 HNF(P<0.05)의 탄소량 변화는 박테리아 탄소량의 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시기에는 Tintinnopsis cratera, Didinium sp., Vorticella sp., Paramecium sp. 그리고 Strombidium sp.가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은 봄철, 여름철 그리고 가을철에 Stephanodiscus hantzschii와 Cyclotella meneghiniana가 3개 정점에서 모두 우점하였다. 그러나 가을철에는 정점 P와 정점 M에서 Aulacoseira granulata가 95%이상으로 극히 높게 우점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은 6월에 정점 P와 정점 M에서 가장 높은 생물량을 기록하였으며, 8월, 10월 그리고 11월에도 3개 정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물량이 관찰되었다. 동물플랑크톤은 6월에 정점 P와 정점 M에서 Diaphanosoma brachyurum이 제1우점종으로 밝혀졌으며, 가을철인 10월과 11월에는 3개 정점에서 Bosmina longirostris가 우점하였다. Bosmina longirostris는 Aulacoseira granulata와 Stephanodiscus hantzschii를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 높은 성장률(A. granulata: $0.17\;d^{-1}$, S. hantzschii: $0.14^{-1}\;d^{-1}$)과 섭식률 (A. granulata: 1.93 preys $d^{-1}$, S. hantzschii: 1.63 preys $d^{-1}$)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박테리아와 식물플랑크톤은 주요 먹이원으로서, 봄철과 여름철은 bacteria를 먹이로 하는 microbial food chain이 주요기능으로, 가을철에는 식물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grazing food chain이 중요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시사한다.

부영양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한 수로형 CROM 개발 및 운영: 패류밀도의 효과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anal-type CROM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Eutrophic Reservoir: Mussel Density Effect)

  • 김백호;민한나;이송희;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3권3호
    • /
    • pp.369-376
    • /
    • 2010
  • 국내산 이매패의 유기물 제어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수로형 CROM'을 제작하고 채집 하천에서 가장 높은 출현을 보였던 말조개와 펄조개를 현장의 상대밀도 (7:3)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12일 동안 운영하였고,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도중 각 패류를 30%씩 추가하고 14일 동안 운영하면서 각 실험에서 CROM의 유기물 제어능 및 배설물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두 차례의 실험결과 1) 처리수의 SS와 Chl-$\alpha$의 뚜렷한 감소, 2) 암모니아와 배설물의 뚜렷한 증가, 3) 총질소와 총인의 유의한 감소 등의 결과를 얻었다 (t-test, P<0.001 for all). 이는 결국 두 종류의 국내산 이매패를 혼합 적용한 수로형 CROM은 기존의 '상자형이나 하천형 CROM'보다 처리효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낮은 패류사망율 및 영양염 배출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장적용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남양호에서 다변수 메트릭 모델 적용 및 평가 (Applications and Assessments of a Multimetric Model to Namyang Reservoir)

  • 한정호;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228-23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어류 메트릭 속성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정수생태계 건강성평가 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국내 인공호인 남양호를 대상으로 2005년 10월과 2006년 5월 2차례에 걸쳐 생태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LEHA 모델은 생물학적 변수, 물리적 변수, 화학적 변수를 포함한 총 11개의 메트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수의 시공간적인 분석을 위해 남양호의 상류부에서 하류부까지 6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남양호의 생태 건강성 평가 결과 내성종($M_3$)이 80%로 나타났으며, 잡식종($M_4$)이 92%로 나타나 섭식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내성종과 잡식종의 우점현상을 보였으며, 특히 외래종의 상대 풍부도($M_7$)가 8%로 나타나 생태계가 교란되어 생태건강성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LEHA 다변수 모델을 이용한 남양호의 생태 건강성 평가 결과, 생태 건강성 지수의 평균값은 24.3(n=12)으로서 안과 한(2007)의 등급에 의거하였을 때 "악화상태"로 나타났다. 지점별 LEHA 모델값은 $21{\sim}26$의 변이를 보여 낮은 건강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마철 집중강우에 의하여 시간적인 변이가 발생되었다. 전기전도도와 엽록소-$\alpha$를 이용한 부영양화지수(TSI)는 장마 후보다 장마 전에 더 높게 나타났다.

호수수, 하천수와 하수처리수에서 미세조류 증식 특성 및 영양 염류 제거 효과 (Microalgal Growth and Nutrient Removal in a Lake, a Stream and the Outflow of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장인호;정요찬;최승익;안태석
    • 생태와환경
    • /
    • 제44권2호
    • /
    • pp.129-135
    • /
    • 2011
  • 팔당호, 경안천과 하수처리수에서 Scenedesmus sp.가 성장이 가능하고 영양 염류를 제거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TN과 TP 농도가 각각 1.9과 0.02 mg $L^{-1}$인 팔당호 광동교에서 채취한 시료에 Scenedesmus sp.를 접종한 다음, 교반한 경우에 미세조류가 증식하고 영양 염류 농도가 50% 감소하였다. 또 TN과 TP 농도가 3.0과 0.09 mg $L^{-1}$인 경안천 시료에 Scenedesmus Sp.를 접종한 결과, 규조류 등과 경쟁에 의하여 미세조류 현존량은 239~259 chl. ${\alpha}\;m^{-3}$로 낮았으나, 역시 영양 염류는 접종율과 관계없이 약 50% 감소하였다. 하수처리수에는 이미 Scenedesmus sp.가 존재하고 있었고 대조구와 접종한 실험구 사이에는 미세조류의 현존량의 작은 차이가 있었으나 처리효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팔당호와 같은 상태의 영양 염류를 가지고 있는 자연수에서는 Scenedesmus sp.를 접종하고 교반을 가하면, 미세 조류의 생체량이 증가하고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하수처리수에서는 따로 Scenedesmus sp.를 접종하지 않아도 영양 염류를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