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l-{\alpha}$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4초

1998/1999 남극 킹조지섬 마리안소만 표층수에 서식하는 미세조류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Microalgae in the Surface Water of Marian Cove, King George Island, the Antarctic 1998/1999)

  • 강재신;강성호;이진환;최돈원;이상훈
    • 환경생물
    • /
    • 제18권1호
    • /
    • pp.21-31
    • /
    • 2000
  • We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of microalgal assemblages, sea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suspended solid and the parameters measured daily from January 1998 to October 1999 at a nearshore shallow-water in Marian Cove, Maxwell Bay, King George Island, the Antarctic. Annual mean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0.3$0^{\circ}C$ and the highest water temperature was 4.53$^{\circ}C$ (22 January 1999) and the lowest water temperature was -2.07$^{\circ}C$ (23 August 1998). Annual mean salinity was 33.38 psu, ranging from 42.80 psu (6 January 1999) to 19.50 psu (6 June 1999). Annual mean suspended solid (SS) during two years was 34.14 mgㆍ1$^{-1}$, ranging from 60.62 mgㆍ1$^{-1}$(7 March 1998) to 12.90 mgㆍ1$^{-1}$ (26 December 1998). Chlorophyll $\alpha$ (Chl $\alpha$)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order to know seasonal variations of microalgae in the surface seawater. Annual mean of total Chl a concentration was 0.55$\mu\textrm{g}$ㆍ1$^{-1}$, the highest Chl $\alpha$ concentration (12.16$\mu\textrm{g}$ㆍ1$^{-1}$) appeared in 4 October 1998, the lowest Chl $\alpha$ concentration appeared 0.19$\mu\textrm{g}$ㆍ1$^{-1}$, Monthly mean total Chl $\alpha$ concentration was high in October 1998 (1.32$\mu\textrm{g}$ㆍ1$^{-1}$) and low in July on 1998 (0.28$\mu\textrm{g}$ㆍ1$^{-1}$). Annual mean nano-sized Chl $\alpha$ concentration was 0.40$\mu\textrm{g}$ㆍ1$^{-1}$, monthly mean nano -sized Chl $\alpha$ concentration was high in November 1998 (0.90$\mu\textrm{g}$ㆍ1$^{-1}$), and low in July 1999 (0.22$\mu\textrm{g}$ㆍ1$^{-1}$). Annual mean micro-sized Chl $\alpha$ concentration was 0.15$\mu\textrm{g}$ㆍ1$^{-1}$ monthly mean micro-sized Chl $\alpha$ concentration was high in October 1998 (0.81$\mu\textrm{g}$ㆍ1$^{-1}$), and low July 1998, January, February and September 1999 (0.05$\mu\textrm{g}$ㆍ1$^{-1}$). More than 65% of total Chl $\alpha$ was concentrated during spring and summer time between October and March. Microalgal variation appeared to be due to physical factors of seawater in the Antarctic nearshore from 1998 to 1999. The reason why micro-sized Chl $\alpha$ did not increase during austral summer was the bay had been frozen by decrease of water temperature. We think that total microalgal abundance was decreased because the summer microalgal abundance was determined by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during winter season. [Chl $\alpha$ concentration, Microalgal assembalges, Seasonal variation, the Antarctic nearshore].

  • PDF

Phytoplankton Community in Adjacent Waters of Ulchin Nuclear Power Plant

  • Choi, Hyu Chang;Kang, Yeon Shik;Jeon, In Sung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26-437
    • /
    • 2004
  • To understan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adjacent waters of Ulchin nuclear power plant (UNPP), abundance and the size fractionated $chl-\alpha$ concentrations were evaluated through seasonal interval sampling from April 2003 to February 2004. A total of 211 different phytoplankton species was observed and mean abundance of phytoplankton in each study period ranged from 244,286 to 1,221,779 cells $L^{-1}$. The contributions of microplankton $(>20\mu{m})$ to total phytoplankton abundance ranged from 42.5 to 83.6% (average 66.1%) and those of nanoplankton $(>20\mu{m})$ ranged from 16.4 to 57.5% (average 33.9%). Total chl-$\alpha$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0.52 to $2.26\mu{g}\;L^{-1}$. The contribution of chl-$\alpha$ concentrations of microplankton was higher than that of nano- and picoplankton through the study period with exception of July 2008. The results of abundances and $chl-\alpha$ concentrations suggest that microplankton has an important role in adjacent waters of UNPP. The diminution of abundances and $chl-\alpha$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was observed after passage through the cooling water system, but it was gradually recovered by mixing with the ambient waters.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thermal discharges on phytoplankton should be restricted within narrow limits around outlet area of thermal effluents.

금강호의 장기 수질 변화요인 분석: 철새배설물에 의한 TP부하의 중요성 (Statistical Analyses of Long-Term Water Quality Variation in the Geumgang-Reservoir: Focused on the TP Load by Migrating Birds Excrement)

  • 정용훈;김현수;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23-233
    • /
    • 2010
  • 금강호의 시.공간적인 수질변화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강경과 하구언에서 2001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보고된 수질자료(COD, SS, $Chl-{\alpha}$, TN, TDN, $NO_3^-$, $NH_4^-$, TP, TDP, $PO_4^{3-}$)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으로는 평균비교, 요인분석, 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TP에 관하여 물질수지를 계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금강호 내에서 각 수질항목들의 시간적인 변화를 평균농도변화로서 살펴보면 2002년에 비하여 2007년에 $NH_4^+$는 60%, $PO_4^{3-}$는 24%, 그리고 TDP는 52% 감소한 반면, TP와 $Chl-{\alpha}$는 각각 99%, 423% 증가하였다. 공간적으로는 강경이 하구언보다 질소계열과 인계열의 농도가 높은 반면, $Chl-{\alpha}$는 반대경향을 보였다. 금강호내에서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들을 판단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질소계열(TN, TDN, $NO_3^-$, $NH_4^+$)과 인계열(TP, TDP, $PO_4^{3-}$)의 계절적인 변화"가 전체분석 자료의 49%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중요한 수질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금강호에서 최근 농도가 증가하고 있는 TP와 이로 인한 $Chl-{\alpha}$의 변화에 대한 중회귀분석결과, TP의 농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계절적으로 풍수기에는 SS, 갈수기에는 $Chl-{\alpha}$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풍수기에는 강물에 포함된 입자성인에 의한 TP의 유입이, 갈수기에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의한 TP의 소모가 TP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준다고 해석되었다. 반면 $Chl-{\alpha}$의 농도는 풍수기에는 COD가, 갈수기에는 TP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풍수기에는 상류측에서 물리적으로 유입된 식물 플랑크톤의 영향이 하류측에 직접된 것으로 판단되며, 갈수기의 $Chl-{\alpha}$의 농도변화는 TP의 농도에 의해 결정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금강호에서 TP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계절적으로 갈수기에 $Chl-{\alpha}$의 증가에 중요한 인자인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TP의 호수 내 유출입양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계절적으로 풍수기와 갈수기로 구분하여 물질수지를 계산한 결과, 풍수기 동안 가장 중요한 공급원은 강물에 의한 유입량(38%)이었고, 대부분은 이외의 기타공급원(Other Sources)이 60%를 차지하였으며 퇴적물로부터 공급량은 1% 정도로 미미하였다. 그 반면, 갈수기 동안에는 강물과 기타 공급원에 인한 부하량이 각각 48%와 47%로 유사하게 차지하였고, 퇴적물로부터의 공급량은 5%로 증가하였다. 수질이 악화되는 갈수기인 경우 기타 공급원 중 특히 철새로 인한 공급량은 유입 TP공급량의 최대 8%, 기타 공급원의 최대 21%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Helicobacter pylori 의 생육에 대한 Daidzein의 저해 특성 (Inhibitory Mechanism of Daidzein on Helicobacter pylori Growth)

  • 배경미;이주연;이희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1083-108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두 isoflavone의 하나인 daidzein의 콜레스테롤 당전이 효소에 대한 저해효과와 헬리코박터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콜레스테롤 당전이 효소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세포벽 지질성분을 구성하는 $\alpha$-glucosyl cholesterol을 생성하는 데 관여하는 효소로 헬리코박터의 생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Daidzein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경우, 콜레스테롤 당전이 효소의 활성은 daidzein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저해를 나타내었으며, daidzein의 $IC_{50}$값은 $128.5\;{\mu}M$이었다. 또한 disc diffusion 방법을 이용하여 항균실험에 있어서도 daidzein은 헬리코박터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daidzein의 효소저해 활성은 헬리코박터의 생육 저해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제거 효과에 대한 Top-down 어류 조작실험 (Top-down Fish Biomanipulation Experiments on Algal Removal Effects)

  • 이상재;이재연;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31-438
    • /
    • 2007
  • 본 연구는 Top-down 어류조작 실험에 의한 조류제거 효과를 평가하는 것으로써, 실험대상 어종으로 국내 농업용 저수지에 우점하는 8종의 어류를 선정하였다. 대조군 수조 및 어류처리군 수조($3{\sim}6$개체)의 엽록소-${\alpha}$ (CHL-${\alpha}$) 초기 농도는 $100{\sim}120{\mu}g\;L^{-1}$로 고정하였으며 용존산소 $5.3{\sim}8.2\;mg\;L^{-1}$, 수소 이온농도는 pH $7.4{\sim}8.1$를 유지시켰다. 실험기간 동안 어류 처리군 수조의 용존산소량과 수소이온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측정된 반면 전기전도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수치를 보였다. 한편 대조군과 어류처리군의 CHL-${\alpha}$는 각각 13%, 6%로 증가하여 여전히 조류의 생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였으나, 어류처리 군에서 CHL-${\alpha}$ 증가율은 대조군에서 보다 낮게 나타났다. 대조군과 어류처리군의 남조류는 각각 32%, 20% 감소를 보였으며, 남조류 생장률은 대조군보다 어류처리군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는 어류 배설물에 의한 영양염류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어류조작에 의한 조류제거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patial and Monthly Chan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ea Surface Salinity, Chlorophyll a, and Zooplankton Biomass in Southeastern Alaska: Implications for Suitable Conditions for Survival and Growth of Dungeness Crab Zoeae

  • Park, Won-Gy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3호
    • /
    • pp.133-142
    • /
    • 2007
  • To investigate conditions for the survival and growth of Dungeness crab zoeae in situ, spatial and monthly chan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sea surface salinity (SSS), Chlorophyll ${\alpha}$ (Chl ${\alpha}$), and zooplankton biomass were measured in four transects: upper Chatham, Icy Strait, Cross Sound, and Icy Point in southeastern Alaska from May to September, 1997-2004. Monthly mean SST was coldest in May, increased throughout the summer months, and decreased in September. SST was coldest in the Cross Sound transect, intermediate in the upper Chatham and Icy Strait transects, and warmest in the Icy Point transect. SSS of northern stations in the upper Chatham and Icy Strait transects decreased throughout the summer months and increased in September, while that of other transects did not vary. Monthly mean Chl ${\alpha}$ was highest in May and decreased thereafter. Chl ${\alpha}$ in the upper Chatham and Icy Strait transects were relatively higher from May through September than those in the Cross Sound and Icy Point transects. Mean zooplankton biomass was highest in the Icy Strait transect in May and lowest in the Icy Point transect in Septembe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oceanographic conditions during the season of Dungeness crab zoeae in southeastern Alaska may not constrain the survival and growth of Dungeness crab zoeae.

신구저수지의 1차 생산 및 지방산 생성속도 결정을 위한 $^{13}C$ 추적자 활용 연구 (An Application of $^{13}C$ Tracer for the Determin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and Fatty Acid Production Rate in Shingu Reservoir)

  • 이연정;김민섭;신경훈;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21-26
    • /
    • 2008
  • 본 연구는 $^{13}C$추적자를 사용하여 신구저수지 내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1차 생산속도를 계산하고, $^{13}C$-GC/MS 기법을 사용하여 광합성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진 지방산의 생성속도를 분석하였다. 유광층 내의 SPM중 POM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76%였으며, 엽록소$-{\alpha}$의 평균 농도는 약 $89{\mu}g\;L^{-1}$이었다. 유광층 단위면적당 엽록소$-{\alpha}$ 총량, 1차 생산력, 엽록소$-{\alpha}$에 의한 탄소 고정 능력은 각각 112mg Chl-${\alpha}m^{-2}$, 3.53g C $m^{-2}\;d^{-1}$, 32mg C mg Chl-${\alpha}^{-1}\;d^{-1}$이었다. 수층 내 입자성유기물의 지방산 조성과 식물플랑크톤 광합성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입자성유기물의 지방산 조성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본 연구기간 동안 수층의 입자성유기물은 대부분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유기물은 세포외배출 등의 과정을 통해 용존유기물 pool로 이동된 후 박테리아에게까지 빠르게 전달됨으로써, 박테리아에 의한 유기물 소비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Temporary Loading of Nonylphenol on a Summer Planktonic Community in a Eutrophic Pond

  • Baek, Seung-Ho;Katano, Toshiya;Han, Myung-Soo
    • 생태와환경
    • /
    • 제41권4호
    • /
    • pp.519-529
    • /
    • 2008
  • Recent studies reveal one of the representative endocrine disrupters of nonylphenol affects on the composition of a planktonic community. Since nonylphenol is sometimes discharged into eutrophic waters, we monitored planktonic community composition of a eutrophic pond after receiving nonylphenol when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mainly dominate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wo times using small-scale microcosms in a laboratory. In both two experiments, ciliate abundance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nonylphenol was added. On the seventh day, the ciliate abundances in $10{\mu}g\;L^{-1}$ added treatments decreased by 36.9% in the first experiment and 33.6% in the secon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response of other planktonic groups was less obvious to nonylphenol addition. In particular, in the first experiment, Chl. b/Chl. $\alpha$ and Chl. c/Chl. $\alph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nonylphenol, while total Chl. $\alpha$ concentration did not change. Indeed, bacillariophyceae and chlorophyceae abundances tended to increase with nonylphenol dosing. From these results, we tentatively hypothesized that nonylphenolloading positively affects on abundances of edible phytoplankton such as Scenedesmus spp. and diatoms by releasing from grazing pressure due to decrease in ciliate abundances. The present study emphasizes that the indirect effect of endocrine disrupters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when freshwater resources are polluted by them.

대청호에서 종적구배에 따른 영양염류 및 엽록소의 역동성 (Nutrients and Chlorophyll Dynamics Along the Longitudinal Gradients of Daechung Reservoir)

  • 배대열;양은찬;정승현;이재훈;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285-293
    • /
    • 2007
  • 본 연구는 대청호에서 영양염과 엽록소-${\alpha}$의 구간별 특성과 이에 따른 영양단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유수대, 추이대, 정수대의 세 구간에 걸쳐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1993년에서 2002년까지의 수질 및 영양상태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인(TP)과 투명도(SD)및 엽록소-${\alpha}$(CHL)는 호소대에서 정수대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총질소의 경우는 종적구배를 보이지 않았다. 대청호에서의 총인과 엽록소-${\alpha}$는 여름철 장마기(7, 8월)에 가장 큰 계절적 변이를 보였으며, 총질소의 농도와 총질소 : 총인 비율은 각각 평균 1.67 mg $L^{-1}$, 88로 나타나 대청호의 제한요인은 총인으로 사료되었다. 엽록소-${\alpha}$와 총인, 투명도를 기반으로 한 영양상태지수는 구간별, 계절별로 구분되어 비교하였다. TSI(TP)는 장마기에 유수대는 평균 62로 나타나 과영양상태를 보인 반면, 대조적으로 정수대는 평균 40으로 거의 빈영양 상태를 가까운 수치를 보였으며, TSI(CHL)는 장마기에 추이대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TSI 편차분석에 따르면 TSI(CHL)-TSI (TP)와 TSI (CHL)-TSI (SD)의 약 65% 가량이 0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또한 최저 -42를 보여, 이는 인공호에서의 조류성장에 무기물에 의한 탁수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엽록소-${\alpha}$와 투명도의 상관분석 결과 추이대에서의 상관도(p<0.001, r=-0.47)가 다른 두 지점(p<0.001, r=-0.40)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한편 총인과 엽록소-${\alpha}$의 경우 정수대에서 상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총인과 조류생산량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인공호 상 하 류간의 형태적 종적구배가 뚜렷한 경우 각 구역별 영양염류 농도구배 및 광투과도 구배는 1차 생산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뚜렷하게 다른 양상을 보였다.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Eutrophication in the Upper Regions of Brackish Lake Sihwa with a Limited Water Exchange)

  • 최광순;김세원;김동섭;허우명;이윤경;황인서;이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216-227
    • /
    • 2008
  •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현상을 이해하고자 기수역내 7개 지점을 선정하여 2005년과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수질 및 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 조사와 오염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화호 기수역의 영양염류와 엽록소 $\alpha$(Chl-$\alpha$)및 유기물의 농도분포는 시공간적으로 변동이 컸으며, 전반적으로 염분성층이 강하게 형성되는 중류지점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기간 동안 TN, TP, Chl-$\alpha$ 농도는 각각 $1.2{\sim}11.0\;mg\;L^{-1}$, $0.056{\sim}2.992\;mg\;L^{-1}$, $1.3{\sim}942.9\;{\mu}g\;L^{-1}$으로 대부분 지점에서 부영양 또는 과영양 상태를 나타냈다. 또한 기수역의 부영양화지수(TSI) $61{\sim}86$의 범위로 과영양호 수준을 보였으며, 중류지점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기수역의 식물플랑크톤의 대량증식 현상은 매년 4월에 중류지점에서 나타났으며, 영양염류와 Chl. $\alpha$ 농도 사이의 상관분석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은 TN (r=0.31)보다 TP (r=0.65)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수역의 표층퇴적물 내 COD 함량은 전 지점에서 중간오염의 수준을 보였지만, TN과 TP 함량은 중하류지점에서 오염이 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층퇴적물의 입도분포로부터 연안성퇴적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실트의 조성비 ($38{\sim}60%$)가 중류지점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이 지점에서 염분성층과 퇴적현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수질 및 표층퇴적물의 오염도는 타 수역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현상은 자연적인 기수역에 비해 강하게 형성된 염분성층에 의한 물의 정체현상 및 심층산소고갈 현상과 유역으로부터 많은 양의 인 유입과 퇴적물로부터 인 용출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