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2+}$ propagat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초

산성 혼합상토의 고토석회 시비수준이 영양생장 중인 '설향' 딸기의 중탄산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pplication Rates of Dolomitic Lime in the Acid Substrate on the Reduction of Bicarbonate Injury during Vegetative Growth of the 'Seolhyang' Strawberry)

  • 이희수;최종명;김대영;김승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220-227
    • /
    • 2016
  • 산성 혼합상토에 대한 고토석회 시비수준 변화가 영양생장 중인 '설향' 딸기의 고농도 중탄산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트모스와 수피를 5:5(v/v)로 혼합한 산성 상토를 조제하고 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pH 4.07, EC $0.46dS{\cdot}m^{-1}$, CEC $91.3cmol+/kg^{-1}$였다. 산성 상토의 pH를 조정하기 위해 혼합된 고토석회[$CaMg(CO_3)_2$]의 양을 0(무처리), 1, 2, 3, 및 $4g{\cdot}L^{-1}$으로 조절하고 모주를 정식하였으며, 재배기간 중 관개수의 중탄산 농도가 $240mg{\cdot}L^{-1}$으로 조절된 Hoagland 양액을 EC $0.6-0.7dS{\cdot}m^{-1}$로 조절하여 1일 또는 2일에 1회 공급하였다. 정식 140일 후 '설향' 딸기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고토석회를 2 및 $3g{\cdot}L^{-1}$ 시비한 처리의 초장, 엽록소 함량 및 생체중 등 지상부 생육이 우수하였다. 고토석회 1, 2 및 $3g{\cdot}L^{-1}$ 처리구에서는 '설향' 딸기 모주에 특별한 생리장해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정상적인 생육을 하였으나, 0 (무처리) 및 $4g{\cdot}L^{-1}$ 처리구에서는 Ca 및 K 결핍 증상이 발생하였다. '설향' 딸기의 모주당 발생한 자묘수는 고토석회 0, 1, 2, 3 및 $4g{\cdot}L^{-1}$ 처리구에서 각각 21.0, 29.5, 35.8, 27.3 및 16.0개체였으며, $2g{\cdot}L^{-1}$으로 시비한 처리구에서 자묘 발생이 가장 많았다. 모주 재배 중 근권부 pH는 1 및 $2g{\cdot}L^{-1}$ 처리구에서 5.6-6.2의 적정 범위였으며, $4g{\cdot}L^{-1}$ 처리구에서는 과도하게 상승하였다. '설향' 딸기 모주의 다량 및 미량원소 함량은 고토석회 $2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4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는 중탄산 농도가 높은 관개수로 '설향' 딸기를 수경재배할 때 산성을 띠는 상토의 선택과 고토석회 시비량 조절을 통해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액체배지를 이용한 조직배양 감자줄기의 대량증식 (Mass production of potato shoots by liquid culture)

  • 김재훈;최은경;김정국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6
    • /
    • 2009
  • MS배지와 PM (Potato medium)배지 (MS배지에서 $NH_4NO_3$$KNO_3$의 양은 1/2, $CaCl_2$는 2배 첨가하고 나머지는 동일)에서 대서, 자심, 추백, 하령 4 품종 감자줄기의 기내 대량증식을 위해 실험하였다. 고체배지에서 배양초기 ($1{\sim}2$주)에 대서와 자심은 MS배지에서 줄기의 신장이 가장 우수하였고, 하령과 추백은 PM배지가 효과적이었지만 배양후기인 4주 째에는 두 배지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액체 정치배양한 배지에서는 고체배지와 달리 배양초기에는 생장이 늦었고 배양 1주 후부터 감자 (4 cm 이상)줄기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4주까지 꾸준히 생장을 지속하였다. 바이오리액터에서 줄기의 생장은 품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추백과 자심은 액아 발생뿐만 아니라 줄기신장이 1/4 PM배지가 우수하였고, 대서는 1/2 PM배지에서 액아발생이 왕성하였다. 한편, 하령은 다른 품종에 비해 생장이 늦었다.

비료의 조성 및 농도가 영양생장 중인 '매향' 딸기의 생장, 양분흡수 및 근권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Fertilizer Solution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Maehyang' Strawberry during Vegetative Growth)

  • 장현호;이희수;이치원;최종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484-492
    • /
    • 2014
  • '매향' 딸기를 재배하는 동안 비료의 종류와 농도를 변화시켜 시비하고 작물 생장과 양분 흡수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영양진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증류수를 원수로 산성, 중성 및 알칼리성 비료를 조제한 후 N 농도를 기준으로 100 및 $200mg{\cdot}L^{-1}$로, pH는 6.0-6.3으로 조절하여 100일간 시비하였다. 세 종류 비료의 농도를 $100mg{\cdot}L^{-1}$로 조절하여 시비한 경우 시비 100일 후 알칼리성 비료를 시비한 처리의 생장이 우수하고 산성비료를 시비한 처리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비료 농도를 $200mg{\cdot}L^{-1}$로 조절하여 시비한 경우 중성비료를 시비한 처리의 생체중 및 건물중이 산성이나 알칼리성 비료를 시비한 처리보다 무거웠다. 식물체 무기원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 N, P 및 Na 함량은 중성비료 $200mg{\cdot}L^{-1}$ 처리에서 각각 2.20, 0.51 및 0.10%로, K은 산성비료 $200mg{\cdot}L^{-1}$ 처리에서 2.60%로, Ca은 알칼리성비료 $200mg{\cdot}L^{-1}$ 처리에서 0.95%로, Mg은 알칼리성비료 $100mg{\cdot}L^{-1}$ 처리에서 0.45%로 다른 처리 보다 높았다. Fe, Mn, Zn 및 Cu 함량은 산성비료를 시비한 처리에서 높았고, 알칼리성 비료를 시비한 처리에서 뚜렷하게 낮았다. 산성비료를 100 및 $200mg{\cdot}L^{-1}$, 그리고 중성 비료 $200mg{\cdot}L^{-1}$으로 시비한 처리의 근권부 pH가 지속적으로 낮아졌다. 근권부 무기원소 농도를 분석한 결과 산성 비료 $200mg{\cdot}L^{-1}$, 중성 비료 $200mg{\cdot}L^{-1}$, 그리고 산성 비료를 $100mg{\cdot}L^{-1}$으로 시비한 처리 순으로 근권부의 $NH_4{^+}$ 농도가 낮아졌다. Ca 및 Mg 농도는 시비 84일 후까지는 알칼리성 비료를 시비한 처리의 농도가 가장 낮고 중성 비료 및 산성비료 순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NO_3{^-}$ 농도는 산성비료에서 낮았고, 중성 및 알칼리성 비료의 순으로 높아졌으며, 세 종류 비료를 동일한 농도로 시비한 경우 $PO_4{^3}$ 농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변화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저농도에서는 알칼리성비료, 그리고 고농도에서는 중성비료가 영양생장중인 '매향' 딸기의 관비재배를 위해 효과적이었으며, 본 연구 결과는 '매향' 딸기의 번식을 위한 시비방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포도의 경정배양에 의한 다아체형성 및 신장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Multiple Shoot Formation and Elongation from Shoot Tip Cultures of Grape Species)

  • 서정해;정재동;권오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2
    • /
    • 2001
  • 우리나라 주요 과수류중 하나인 포도의 경정배양을 통하여 증식재료로 이용할 수 있는 다아체의 형성 및 이들의 신장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에 관해 검토하였다. 경정배양 시 재료의 살균은 5월 초순에 생육이 왕성한 신초를 채취하여 NaOCl 1%용액에 10분간 살균한 것에 비해 Wilson액에 5분간 침지 살균했을 때 생존율이 높았다. 다아체의 증식은 3/4 MS 기본배지에 NAA 0.1 mg/L와 BA 3.0mg/L에서 양호하였다. 다아체로부터 신초의 신장은 3/4 MS배지에 AdSO$_4$80 mg/L, NAA 0.1 mg/L와 BA를 1.0~2.0 mg/L 혼합한 배지에서 양호하였으며 품종간 생장조절물질의 적정농도 차이는 거의 없었다.

  • PDF

$Mn_3O_4$ 분진으로부터 고순도 훼로망간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king of High-Purity Ferro-manganese from $Mn_3O_4$ Waste Dust)

  • 김윤채;송영준;박영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5-139
    • /
    • 2011
  • In order to make high-purity ferro-manganese from $Mn_3O_4$ waste dust, the application of aluminothermite process to the reduction of the waste dust was investigated. The mixture from $Mn_3O_4$ dust as metallic source and Al metal powder as the reductant ignited, and reduced with an extremely intense exothermic reaction. The rapid propagation of the aluminothermite reaction occurred spontaneously and stably by ignition of the mixture. The Manganese having some alloy elements emerged as liquids due to the high temperatures reached up to about $2,500^{\circ}C$ and separated from the liquid by their differences of specific gravity. The result of thermite reaction showed the fact that can be obtained high purity ferro-manganese which have over about 90% of manganese content and lower impurities such as C, P, S than those of KS D3712 specification. The recovery of manganese from $Mn_3O_4$ dust was lower level of about 65% than about 75% from manganese ore by electric furnace process, that is due to spatter loss because of its extremely intense thermite reaction. But it will be improved by the process designed to provide CaO as the cooler or to use the Al metal powder having larger particle size distribution.

세포배양기술에 의한 김의 내저염성 품종개량 I. 큰방사무늬김의 조직배양 (Genetic Improvement for the Low Salinity-Tolerant Porphyra Sp. by Cell Culture Technique I. Tissue Culture of Porphyra yezoensis foma narawaensis)

  • 홍용기;손철현;장정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
    • /
    • 1989
  • 양식 해조류인 큰방사무늬김에 대한 조직배양을 종자 세포 보존 및 장차 세포수준의 내저 염성 품종개량을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김 엽체의 영양 성장부위를 무균적으로 PES-한천배지 상에 배양함으로서 callus의 형성을 유도하였으며 이 적갈색의 연약한 callus를 $16^{\circ}C$에서 12시간 주기로 2000 lux의 형광등 하에서 1개월마다 이식하면서 배양하였다. 총 탄수화물 및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최적 배양온도는 $14^{\circ}C\~18^{\circ}C$였다. PES-한천배지 상에서 $2.0\%$의 NaCl 농도가 callus의 성장에 가장 우수하였다.

  • PDF

Fast Dimming Associated with a Coronal Jet Seen in Multi-Wavelength and Stereoscopic Observations

  • 이경선;;문용재;;이진이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89.1-89.1
    • /
    • 2012
  • We have investigated a coronal jet observed near the limb on 2010 June 27 by the Hinode/X-Ray Telescope (XRT), EUV Imaging Spectrograph (EIS), and Solar Optical Telescope (SOT), and the SDO/Atmospheric Imaging Assembly (AIA), Helioseismic and Magnetic Imager (HMI), and on the disk by STEREO-A/EUVI. From EUV (AIA and EIS) and soft X-ray (XRT) images we have identified both cool and hot jets. There was a small loop eruption in Ca II images of the SOT before the jet eruption. Using high temporal and multi wavelength AIA images, we found that the hot jet preceded its associated cool jet by about 2 minutes. The cool jet showed helical-like structures during the rising period. According to the spectroscopic analysis, the jet's emission changed from blue to red shift with time, implying helical motions in the jet. The STEREO observation, which enabled us to observe the jet projected against the disk, showed that there was a dim loop associated with the jet. We have measured a propagation speed of ~800 km/s for the dimming front. This is comparable to the Alfven speed in the loop computed from a magnetic field extrapolation of the HMI photospheric field measured 5 days earlier and the loop densities obtained from EIS Fe XIV line ratios. We interpret the dimming as indicating the presence of Alfvenic waves initiated by reconnection in the upper chromosphere.

  • PDF

Falcon 9 로켓 3회 발사 소음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oise from three Falcon 9 launches)

  • Mathews, Logan T.;Gee, Kent L.;Hart, Grant W.;Rasband, Reese D.;Novakovich, Daniel J.;Irarrazabal, Francisco I.;Vaughn, Aaron B.;Nelson, Pauline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22-33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반덴버그 공군기지(Vandenberg Air Force Base)에서 3차례 발사된 Falcon 9의 원거리장 소음에 대해 논하였다. 발사 소음은 3회 모두 롬폭(Lompoc) 도시 인근의 동일 위치에서 측정되었다. 전체 음압레벨(overall sound pressure level)은 3회 모두 유사하지만 기상조건과 관련된 차이점이 발사 초반부에 관찰되었다. 음압레벨 기준 최대 지향성은 약 65°로서 수평 정적 연소시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일치하였다. 세번째 발사 소음에 대하여 각 발사 단계에 따른 파형 및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1단 엔진 추진 구간에서 소음의 대역폭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그 크기는 모든 주파수에 걸쳐 주변 소음레벨을 상회하였다. 또한, 발사 후반부 데이터에서 관찰되는 특이 경향은 1단 엔진 정지 및 2단 로켓 점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혼합상토의 pH 저하가 영양생장 중인 '싼타' 딸기의 중탄산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 (Lowered Substrate pH Reduced the Bicarbonate Injury during Vegetative Growth of 'Ssanta' Strawberry)

  • 이희수;정종도;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5-122
    • /
    • 2017
  • 중탄산이 고농도인 수경재배용 원수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혼합상토의 pH를 조절할 때 영양번식중인 '싼타' 딸기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피트모스와 수피를 5:5(v/v)로 혼합한 산성상토를 조제하였고, 조제된 상토의 pH를 교정하기 위해 혼합하는 고토석회 [$CaMg(CO_3)_2$]의 양을 0(무처리), 1, 2, 3 및 $4g{\cdot}L^{-1}$로 조절하였다. 이 후 중탄산 농도가 $240mg{\cdot}L^{-1}$로 조절된 Hoagland 용액을 공급하면서 모주와 자묘의 생육, 상토의 화학성 변화, 그리고 식물체의 무기원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싼타' 딸기의 모주 생체중은 고토석회 $2g{\cdot}L^{-1}$ 처리구에서 102.1g으로 가장 무거웠고, $1g{\cdot}L^{-1}$ 처리, 94.7g, $3g{\cdot}L^{-1}$ 처리, 91.2g, $0g{\cdot}L^{-1}$ 처리, 75.4g, $4g{\cdot}L^{-1}$ 처리, 72.3g 처리 순으로 가벼워졌으며, 건물중도 생체중과 같은 경향이었다. 모주당 발생한 자묘수는 고토석회 0, 1, 2, 3 및 $4g{\cdot}L^{-1}$ 처리구에서 각각 5.8, 9.8, 11.8, 8.8 및 5.0개체였으며, 고토석회를 $2g{\cdot}L^{-1}$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자묘 발생이 가장 많았다. '싼타' 딸기 모주를 재배하면서 측정한 상토의 pH 는 고토석회 1 및 $2g{\cdot}L^{-1}$ 처리구에서 5.6-6.2의 적정 범위에 포함되었고, 3 및 $4g{\cdot}L^{-1}$ 처리구는 이보다 높았다. 모주의 지상부 무기물 함량은 고토석회 $2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4g{\cdot}L^{-1}$ 처리구에서 Fe, Mn, Zn 및 Cu의 미량원소 함량이 감소하고 모주 및 자묘에 이들 원소의 결핍증상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할 때 원수의 중탄산 농도가 높아 발생하는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pH가 약 4인 산성 상토를 조제한 후 기비로서 고토석회를 2g 혼합한 후 '싼타' 딸기를 육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항암식물 와송의 해부 형태적 관찰과 대량 증식에 의한 인공재배연구 (Anatomy and Artificial Seed Propagation in Anti -cancer Plant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신동영;이영만;김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6-157
    • /
    • 1994
  • 본 연구는 항암식물로 효능이 인정되는 와송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 와송의 해부형태적 관찰, 대량증식을 위한 발아실험, 자생지의 토양분석 및 토양적응실험을 실시하였다. 와송의 잎은 끝에 가시가 있는 건생형이며, 엽세포엽록체는 유관속주위에 집중분포하고, 크고 엽록체를 갖지 않는 저수조직을 갖고 있으며 기공이 양면에 있는 양면기공엽이다. 줄기는 외사포위형유관속이며 중심주는 원기둥상이고 원생중심주이다. 뿌리는 다원형이며, 원생목부가 후생목부주위에 환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외원형이다. 꽃의 구조는 꽃잎이 5개, 수술은 10개, 자방은 5개이며, 자방상위이고, 2심피 중축태좌이다. 와송종자 발아적온는 명상태 $25^{\circ}C$에서 22.5%로 가장 좋았고, 휴면타파는 5$^{\circ}C$에서 6~8일, $GA_3$ 100 ppm처리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다. 와송 자생지 토양분석결과 적정수준의 밭토양보다 유기물, 유효인산 석회 등은 높았고, 보비력, 치환성가리는 차이가 없었으며, 고토는 낮았다. 토양적응실험에서 돌가루 조합과 기와가루 조합에서 돌가루와 기와가루가 많이 첨가될수록 생육상태가 불량하였고, 배수가 양호한 처리구에서는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