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_{50}$

검색결과 19,444건 처리시간 0.043초

초등학교 교실의 C50 실태 평가 (Evaluation of C50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 이성복;김명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88-892
    • /
    • 2014
  • This paper evaluates $C_{50}$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nd considers utilization of $C_{50}$ as an assessment indicator of acoustic performance. $C_{50}$ is early-to-late arriving sound ratio, recent study reported that $C_{50}$ is more appropriate as a measure of clarity and speech intelligibility than D50 because it is linearly related to subjective responses. The average of $C_{50}$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ppeared to be about +2 dB ~ +3 dB throughout 500 Hz ~ 4 kHz. However, absolute evalu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re is no suitable reference or standard yet. As deviation of $C_{50}$ according to location is larger than reverberation time, it is expected that $C_{50}$ will be more sensitive when someone assesses acoustic performance of classrooms. Correlation between $C_{50}$ and reverberation time is very high. From logarithmic regression equation, we can estimate appropriate range of $C_{50}$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indirectly, using standard of reverberation time in ANSI.

  • PDF

샐비아(Salvia splendens F.) 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한 Priming 조건에 관한 연구 (Priming Conditions to Improve Germination of Salvia (Salvia splendens F.) Seeds)

  • 정연옥;강성모;조정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2호
    • /
    • pp.98-102
    • /
    • 2000
  • 샐비아 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하여 priming 약제의 종류와 농도, priming시 처리온도와 처리기간, 그리고 priming후 발아온도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였다. 샐비아 종자는 50mM 혹은 100mM $KH_2PO_4$와 -0.50MPa 혹은 -0.75MPa PEG 8000에서 priming 하였을 때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T50과 평균발아소요일수(MDG)는 50mM $KH_2PO_4$와 -0.50MPa PEG 처리 시 단축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 초기발아율에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K_3PO_4$ 및 NaOH 처리에서는 전혀 발아되지 않았다. 처리온도에 따라서는 $15^{\circ}C$$25^{\circ}C$ 처리에 비하여 $20^{\circ}C$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20^{\circ}C$에서 4일 및 6일 처리 시 무처리에 비하여 MDG가 2.3일 단축되었다. -0.50MPa PEG에서 priming후 발아온도에 따라서는 $20^{\circ}C$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T50 및 MDG가 단축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10^{\circ}C$$35^{\circ}C$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0.50 MPa PEG에 50mM $KH_2PO_4$ 혼용처리 시는 $10^{\circ}C$를 제외하고는 모든 발아온도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발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었지만 T50 및 MDG의 단축효과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 PDF

점성토의 일축압축 강도와 탄성계수의 상관관계식에 관한 연구 (A Study the Relationship Fofmula of Elastic Modulus and Axcial Stress of clay)

  • 서효식;박춘식;김종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2차
    • /
    • pp.147-151
    • /
    • 2010
  • In this study, the clay specimen of Busan-Gyeongnam region was used for unconfined compression test to compare the relationship formula between elasticity modulus at peak($E_f$), elasticity modulus at $q_u$/2($E_{50}$), and cohesion when the sample breaks down by region and by level of cohesion. As the result, the regional results were found to be in the range of $E_f$ = 14c~47c and $E_{50}$ = 43c~137c; by cohesion, the results for very soft ground was $E_f$ = 15c~40c and $E_{50}$ = 54c~101c, $E_f$ = 13c~63c and $E_{50$ = 40c~147c for soft ground, $E_f$ = 18c~47c and $E_{50}$ = 57c~144c for medium ground, and $E_f$ = 25c~45c and $E_{50}$ = 68c~115c for solid ground. The average of the relationship formula between elasticity modulus-cohesion for the clay used in this study was $E_f$ = 32c, $E_{50}$ = 93c. This is 2.5~5 times smaller than the existing relationship formula.

  • PDF

대한민국 울진 연안 해양에서 분리한 해양 미생물 Ruegeria sp. 50C-3의 동정 및 내열성 효소 생산 (Identification of a new marine bacterium Ruegeria sp. 50C-3 isolated from seawater of Uljin in Korea and production of thermostable enzymes)

  • 지원재;김종희;박재선;홍순광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44-351
    • /
    • 2016
  • 대한민국 동해안 울진 앞 바닷물로부터 50-C로 명명한 해양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50-C 균주는 그람-음성, 호기성 세균이며,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고, 극성편모를 갖는 박테리아이다. 이 균주는 $20-50^{\circ}C$, pH 5.5-8.5 범위에서 자라며, 비교적 고온인 $40-50^{\circ}C$, pH 6.5-7.5, 2% (w/v) NaCl에서 최적 성장을 보인다. 16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결과 50C-3 균주는 Ruegeria 속에 속하는 R. intermedia CC-GIMAT-$2^T$, R. lacuscaerulensis ITI-$1157^T$의 16S rRNA 유전자 서열과 각각 99.4%, 96.98% 상동성을 보였다. 그러나 50C-3 균주는 운동성, 탄소이용능력, 효소생산능력 등의 생리학적 특성에서 두 균주와는 명확히 다른 특성을 보였다. 50C-3 균주의 DNA G+C content는 66.7 mol%이고, 주요한 respiratory quinone은 ubiquinone-10 (Q-10)이었다. 이와 같은 형태학적, 생리학적, 유전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50C-3 균주는 R. intermedia CC-GIMAT-$2^T$와 같은 종에 속하는 새로운 변종으로 판단되며 Ruegeria sp. 50C-3으로 명명하였다(KCTC23890 =DSM25519). 50C-3 균주는 cellulase, agarase 활성은 없었지만, alkaline phosphatase, ${\alpha}$-galactosidase, ${\beta}$-galactosidase를 생산하였고 이들 모두 $50^{\circ}C$ 에서도 활성이 좋은 내열성 효소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beta}$-galactosidase의 경우 $37^{\circ}C$에서 보다 $50^{\circ}C$에서의 활성이 1.9배 증가하여 산업적으로 활용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용도가 낮은 수산자원의 효소적 가수분해 조건 (Enzymatical Hydrolysis of Low-Usefulness Marine Resources)

  • 배태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94-401
    • /
    • 1998
  • In present work, the development of processing for various fermented sea foods using low-usefulness marine resources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temperatures of autolysis were 35$^{\circ}C$ for hair tail, 45$^{\circ}C$ for gizzard shad, 30$^{\circ}C$ for kangdale, 30$^{\circ}C$ for pen shell and 30$^{\circ}C$ for oyster and when alcalse(Novo Co.) were added, optimum temperatures were 60$^{\circ}C$, 50$^{\circ}C$, 50$^{\circ}C$, 50$^{\circ}C$ and 50$^{\circ}C$, respectively, and protease N, P. (Pacific chem. enzyme mixture 2,000) were 55$^{\circ}C$, 60$^{\circ}C$, 50$^{\circ}C$, 50$^{\circ}C$ and 50$^{\circ}C$, respectively. Especially although exozymes and endozymes reacted at same time, hydrolysis rate of raw materials got to maximum at optimum temperatures of exozymes. The facts showed that exozymes dominated the hydrolysis reached max8imum at pH 9.0, and optimum hydrolysis time of all raw materials were 6 hours.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s of exozymes were about 3.0% for hair tail, 4.5% for gizzard shad, 3.5% for kangdale, 3.0% for pen shell and 3.0% for oyster, respectively.

  • PDF

온도조건에 따른 담배거세미나방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병원성 검정 (Pathogenicity of Spodoptera litura Nucleopolyhedrovirus with Different Temperatures)

  • 김선곤;김도익;박종대;최형국;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9-163
    • /
    • 2003
  •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온도별, 농도별로 병원성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SINPV의 온도에 따른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영기별 LC$_{50}$ 은 20-28$^{\circ}C$범위에서는 1,3,5령에서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나 32$^{\circ}C$에서는 높아졌다. LT$_{50}$ 은 핵다각체병바이러스 1.0$\times$$10^{5.7}$ Polyhedral inclusion bodies (PIBs)/ml에서 온도조건(20-32$^{\circ}C$)이 2$0^{\circ}C$와 24$^{\circ}C$에 비하여 28$^{\circ}C$와 32$^{\circ}C$에서 짧았다. 또한 바이러스 농도가 높고, 유충의 영기가 어릴수록 짧아져 LT$_{50}$ 은 온도조건, 바이러스 농도, 유충 영기에 의존하였다.

MAP저장시 포장재 종류, 광의 유무, 및 저장온도가 치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cking Materials, tight Condition and Storage Temperature on MAP Storage of Chicon)

  • 배종향;박권우;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9-75
    • /
    • 2005
  • PE box, wrap, 그리고 25um와 50um 두께의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필름으로 포장한 치콘을 저장온도 $1^{\circ}C$$10^{\circ}C$에서 광조건과 암조건으로 나누어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치콘의 저장 중 생체중 감소는 $2\%$ 수준에서 외관상 품질 저하가 발생하였는데, 밀폐되지 않는 PE box의 경우 $1^{\circ}C$에서는 $2\%$, $10^{\circ}C$에서는 $3\%$의 생체중 감소를 보였다. 이에 반해 무공필름이었던 wrap, 그리고 25um와 50um 두께의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필름에서는 $1^{\circ}C$$10^{\circ}C$ 모두에서 $1\%$미만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포장재내 공기 조성은 이산화탄소의 경우 $1^{\circ}C$의 50um LDPE 필름과 10"C에서는 25um LDPE 필름 처리구가 $3\~4\%$ 수준을 보였다. 에틸렌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50um LDPE 필름에서 온도별로 $1^{\circ}C$에서 0.3ppm, $10^{\circ}C$에서는 0.5ppm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저장중 greening은 암처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광처리의 경우는 $10^{\circ}C$에서는 저장 3일만에 $1^{\circ}C$의 경우도 6일만에 판매하기 곤란한 상태까지 진전되었는데, $1^{\circ}C$의 경우 포장재 종류별로 포장재가 두꺼울수록 greening의 진행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Greening을 수치화 할 수 있는 엽록소 함량은 역시 저장온도가 낮은 $1^{\circ}C$$10^{\circ}C$보다 낮았고, 역시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장 높았던 50um LDPE필름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는데 포장재 내부의 이산화탄소 함량과 총 엽록소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상관계수(r)가 $1^{\circ}C$에서 0.926 $10^{\circ}C$에서는 0.997로 고도의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reening을 제외한 외관상 품질은 저온인 $1^{\circ}C$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포장재별로는 $1^{\circ}C$에서는 50um LDPE 필름이 $10^{\circ}C$에서는 25um LDPE필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C 함량도 저온에서 높게 유지되었으며 필름종류별로는 25um와 50um LDPE 필름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콘의 저장 및 유통시 $1^{\circ}C$에서는 50um LDPE 필름이 $10^{\circ}C$에서는 25um LDPE 필름이 포장재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약간의 빛으로 greening이 급격히 진행되므로 판매과정에서 암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한국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기름종개속(Cobitis) 어류의 핵형 비교 (A Chromosomal Study on the Genus Cobitis (Pisces : Cobitida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김익수;이지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7-264
    • /
    • 1986
  •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기름종개속 어류의 5종 및 아종, Cobitis taenia taenia, C.taenia lutheri, C.taenia striata, C.koreensis, C.longicorpus의 핵형 분석 결과, 2n의 수, karyotype form (metacentric-submeta centric-acrocentric chromosome), AN(arm number)은 다음과 같다. C. longicorpus, 2n=50, 12m-8sm-30a, AN=70; C. koreensis, 2n=50, 10m-l2sm-28a, AN=72; C. taenia taenia, 2n=48,14m-4sm-30a, AN=66; C. taenia striata, 2n=50,10m-6sm-34a, AN=66; C. taenia lutheri, 2n=50,10m-6sm-34a, AN=66. 이 가운데 C.t.lutheri는 2n=48, 49 및 51도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각각의 AN이 66인 점으로 미루어 Robertsonian 염색체 다형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본 조사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C.taenia taenia의 핵형은 2n=48로서 종전의 결과와는 아주 다르고, 또 본 조사집단의 반문등 형태적 특징에 있어서도 유럽산 C.t.taenia와 구분되기때문에 이 개체군은 분류학적으로 별종이 된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본 조사결과 각 종의 집단이나 개체내에서는 현저한 변이는 없었으나, diploid number와 arm number를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본 바 다음 3가지의species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다. 1) C. taenia taenia, C. taenia lutheri 및 C. taenia striata 2) C. koreensis, C. longicorpus 및 C. rotundicaudata 3) C. granoei

  • PDF

구면렌즈와 비구면렌즈를 착용한 굴절이상안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fraction State on Spherical Lens and Aspherical Lens)

  • 강향녀;김진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47
    • /
    • 2001
  • 구면렌즈와 비구면렌즈를 착용한 피검자의 굴절이상을 중등도근시, 중등도 근시성 복난시, 중등도 혼합난시이상의 착용자를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양안 굴절이상의 구면렌즈 착용자는 S-3.00 ~ S-6.00Dptr 가 16%, S-6.00D Dptr 이상이 19%, S-3.00C-0.50(90.180) ~ S-6.00C-2.00DptrAxis(90.180) 이 57%, S-3.00C+0.50 ~ S-6.00C+2.00DptrAxis(90.180)이 8%로 분포되어 나타났으며, 비구면렌즈 착용자는 S-3.00 S-6.00Dptr이 31%,S-6.00Dptr 이상이 36%, S-3.00C-0.50(90.180) ~ S-6.00C-2.00DptrAxis(90.180)이 21%, S-3.00C+0.50(90.180) ~ S-6.00C+2.00DptrAxis(90.180)이 12%로 분포되었다.

  • PDF

Effect of Brewery Waste Replacement of Concentrate on the Performance of Local and Crossbred Growing Muscovy Ducks

  • Dong, Nguyen Thi Kim;Ogle, R.Bri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0호
    • /
    • pp.1510-1517
    • /
    • 2003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brewery waste (BW) replacement of concentrate (C) in growing duck diets. In Exp. 1, which was carried out on-station, 300 ducklings were allocated in a $2{\times}5$ factorial experiment: Two breeds (local Muscovy and crosses of French and local Muscovy)${\times}5$ levels of C and with BW offered ad libitum. Concentrate only ad libitum as the control diet (C100), and levels of 75% (C75), 50% (C50), 25% (C25) and 0% (C0) of the amount of the control diet consumed, and with BW ad libitum. In Exp. 2, 200 ducklings were allocated in a $2{\times}2$ factorial experiment on five smallholdings: two breeds (local and crossbred Muscovy ducks)${\times}2$ diets (the C100 and C50 diets from Exp.1). In Exp.1 total dry matter (DM), BW, crude fiber (CF) and crude protein (CP) intakes were highest on the C0 diet and ME and lysine intakes lowest (p<0.001). Daily live weight gains were higher for the crossbred ducks than for the local Muscovies (p<0.05) and were highest for treatments C100 and C50, and lowest for treatment C0 (p<0.05). Weights of breast muscle, liver and abdominal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rossbred ducks. Breast and thigh muscle and abdominal fat weigh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100, C75 and C50 diets, while gizzard weights were highest for the C25 and C0 treatments. Net profits were higher for the crosses, and for treatments C50 and C25. In Exp. 2 total DM, CF and CP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50 diet, and ME intakes lower (p<0.001). Daily gains of the cros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ocal Muscovy ducks, and were similar for the C100 and C50 diets. The highest net profits were from the crosses and ducks fed the C50 diet. It was concluded that BW can replace 50% of the concentrate in growing Muscovy duck diets without reducing daily live weight gains and with improved economic benef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