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_2$-Acrylonitril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1초

금속분말-난연제 함유 ABS의 난연 특성 평가 (Assessment of Flame Retardancy for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ntaining Metal Powder and Flame Retardant)

  • 송영호;정국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0-35
    • /
    • 2007
  • 고분자 물질의 화재 위험성 및 화재시 인명 피해의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난연제 및 금속분말의 첨가에 의한 난연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중량감소율,한계산소지수 및 탄화층 생성량 측정, 연기 중량 농도 및 일산화탄소 발생량 측정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금속분말과 난연제를 함유한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은 낮은 중량감소율을 나타내었고, 한계산소지수 및 탄화충 생성량은 증가하였으며, 연기 중량 농도 및 일산화탄소의 발생량도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장 효과적인 복합체는 tricresyl phosphate-Mo 복합체로 나타났다.

미세 다공성 중공사 PVA복합막을 이용한 에탄올 수용액의 투과증발분리 특성 (Pervaporation Separation Characteristics for Water-Ethanol Mixtures Using Porous Hollow Fiber PVA Composite Membranes)

  • 김지선;박헌휘;서창희;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3권5호
    • /
    • pp.360-366
    • /
    • 2013
  • 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poly (acrylonitrile) (PAN) 중공사막에 친수성 고분자인 poly (vinyl alcohol) (PVA)과 가교제인 poly (acrylic acid) (PAA)을 코팅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의 투과특성평가를 위해 90 wt% 물-에탄올 혼합액에 대한 투과증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반응온도, PAA용액의 농도, 공급액의 온도변화에 따른 투과도 및 선택도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반응온도, PAA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투과도는 낮아지고 선택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공급액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투과도는 증가하고 선택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PVDF중공사 막은 투과도는 PAA 3 wt%, 반응온도 $60^{\circ}C$, 공급액 온도 $70^{\circ}C$에서 $502g/m^2hr$, 선택도는 PAA 11 wt%, 반응온도 $100^{\circ}C$, 공급액 온도 $50^{\circ}C$일 때, 218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BS/TiO2 복합체 쉬트의 반사율과 굴곡 탄성률 (Reflectance and Flexural Modulus of ABS/TiO2 Composite Sheets)

  • 김준홍;윤관한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103-107
    • /
    • 2014
  • 이축압출공정을 이용하여 poly(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에 titanium dioxide($TiO_2$), barium sulfate($BaSO_4$), calcium carbonate($CaCO_3$)를 함량별로 첨가하여 복합체 쉬트를 제조하였고 복합체 쉬트의 반사율과 굴곡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ABS에 첨가된 충전제의 분산성이 우수한 것을 형태학을 통해 알 수 있었다. $TiO_2$$BaSO_4$의 함량에 따라 복합체 쉬트의 반사율이 증가하였고, 특히 $TiO_2$ 20 wt%에 $BaSO_4$를 5~20 wt%를 첨가한 복합체 쉬트의 경우 반사율이 95%이상이 얻어졌다. 굴곡 탄성률 또한 $TiO_2$$BaSO_4$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여 $ABS/TiO_2/BaSO_4$ 조성비 85/10/5(w/w/w)의 1864 MPa에서 $ABS/TiO_2/BaSO_4$ 조성비 55/20/25(w/w/w)의 3134 MPa로 증가하였다.

Effects of Intercalant on the Dispersibility of Silicate Layers in Clay- dispersed Nanocomposite of Poly(styrene-co-acrylonitrile) Copolymer

  • Ko, Moon-Bae;Park, Min;Kim, Junkyung;Choe, Chul-Rim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95-101
    • /
    • 2000
  • Clay/poly(styrene-co-acrylonitrile) copolymer (SAN) hybrids have been prepared by simple meltmixing of two components, SAN and organophilic clays with a twin screw extruder. Effects of intercalant on the dispersibility of silicate layers in clay-dispersed nanocomposite were studied by using five different organophilic clays modified with the intercalants of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and different fractions of intercalant. The dispersibility of 10-$\AA$-thick silicate layers of clay in the hybrid was investigated by using an X-ray diffractometer and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t was found that if the fraction of intercalant in the organophilic clay becomes too high, SAN is difficult to intercalate into the inter-gallery of silicate layers in the hybrid prepared at 180$\^{C}$, and thus the hybrid shows poor dispersibility of silicate layers. The flexural modulus of the hybrid increases as the dispersibility of silicate layers in the hybrid increases.

  • PDF

Acryloyllactam형 단량체의 공중합 및 그 공중합체를 이용한 음이온 그라프트 중합 (Anionic Graft Copolymerization Using Copolymer of Acryloyllactam Type Monomer)

  • 우희권;최삼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9-187
    • /
    • 1982
  • N-acryloylpyrrolidone과 acrylonitrile을 혼성중합시켜 각 단위체의 반응성비를 구한 결과 생성되는 혼성중합체는 pyrrolidone이 음이온 중합에 매우 좋은 개시제임을 알 수 가 있었다. ($r_1$ = 0.43과 $r_2$ = 1.56) 그리고 그 혼성중합체를 개시제로 하여 그라프트된 nylon-4를 합성하여 중합속도 상수를 구했으며, 그에 따르는 여러 인자들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중합속도 상수로 40$^{\circ}$C에서 2.82${\times}10^3$(l/mole, min)와 50$^{\circ}$C에서 2.93${\times}10^3$(l/mole, min)을 얻었다.

  • PDF

Synthesis and Properties of Exfoliated Poly(methyl methacrylate-co-acrylonitrile)/Clay Nanocomposites via Emulsion Polymerization

  • Mingzhe Xu;Park, Yeong-Suk;Wang, Ki-Hyun;Kim, Jong-Hyun;Chung, In-J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6호
    • /
    • pp.410-417
    • /
    • 2003
  • Poly(methyl methacrylate-co-acrylonitrile) [P(MMA-co-AN)]/Na-MMT nanocomposites were synthesiz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with pristine Na-MMT. The nanocomposites were exfoliated up to 20 wt% content of pristine Na-MMT relative to the amount of MMA and AN, and exhibited enhanced storage moduli, E', relative to the neat copolymer. The exfoliated morphology of the nanocomposite was confirmed by XRD and TEM. 2-Acryla-mido-2-methyl-1-propane sulfonic acid (AMPS) widened the galleries between the clay layers before polymerization and facilitated the comonomers, penetration into the clay to create the exfoliated nanocomposites. The onset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nanocomposites shifted to a higher temperature as the clay content increased. By calculating areas of tan$\delta$ of the nanocomposites, we observed that the nanocomposites show more solid-like behavior as the clay content increases. The dynamic storage modulus and complex viscosity increased with clay content. The complex viscosity showed shear-thinning behavior as the clay content increased. The Young's moduli of the nano-composites are higher than that of the neat copolymer and they increase steadily as the silicate content increases, as a result of the exfoliated structure at high clay content.

함산소불소화 효과에 의한 전기방사 활성탄소나노섬유의 $CO_2$ 저장 (Effect of oxyfluorination on activated electrospun carbon nanofibers for $CO_2$ storage)

  • 배병철;김종구;임지선;이영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19.2-219.2
    • /
    • 2011
  • The oxyfluorination effects of electrospun carbon nanofibers (OFACFs) were investigated for $CO_2$ storage. Carbon nanofibers were prepared form poly acrylonitrile / N,N-dimethylformamide solution through electrospinning method and heat treatment. Chemical activation of carbon nanofiber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mprove the pore structure. And the surface modification of activated carbon nanofibers was conducted by oxyfluorination to improve the $CO_2$ storage on effect of introduced functional groups. The samples were labeled CF (electrospun carbon nanofiber), ACF (activated carbon nanofibers), OFACF-1 ($F_2:O_2$ = 3:7), OFACF-2 ($F_2:O_2$ = 5:5) and OFACF-3 ($F_2:O_2$ = 7:3). The functional group of OFACFs was investigat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alysis. The specific surface area, pore volume and pore size of OFACFs were calculated and pore shape was estimated by the BET equation. Through the adsorption isotherm,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significantly decreased by oxyfluorination.

  • PDF

새로운 poly(acrylonitrile-itaconate)공중합체를 기초로 한 젤-전해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New Poly(acrylonitrile-itaconate) based Gel-electrolyte)

  • 최병구;김소희;공명선
    • 전기화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9-172
    • /
    • 2000
  • Polyacrylonitrile (PAN) 고분자의 유기용매 함유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PAN을 수정한 새로운 polyacrylonitrile-co-bis[2-(2-methoxyethoxy)ethyl]itaconate (PANI로 약칭)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PAN과 PANI의 혼합 고분자에 ethylene carbonate (EC)와 dimethyl carbonate (DMC)의 혼합유기용매, $LiClO_4$ 염을 혼합한 젤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상온에서의 이온전도도는 25PAN +10PANl +50EC/DMC+$15LiClO_4$ 조성의 전해질에서 $2\times10^{-3}\; Scm^{-1}$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PANI의 혼합으로 인하여 유기용매 영역의 결정질 성분이 줄어들고, 따라서 전하운반자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PANI를 고분자 기질로 적당량 첨가하면, PAN만을 단용으로 사용한 젤-전해질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이온전도성, 열적 특성, 용매와의 혼화성, 전기화학적 안정성, 리튬 전극과의 계면 안정성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로마토그래피용 고분자 겔의 제조 및 분리특성 (Preparation and Separation Properties of Polymer Gel for Chromatography)

  • 김공수;강석호;박명환;이상호
    • 공업화학
    • /
    • 제5권6호
    • /
    • pp.1009-1015
    • /
    • 1994
  • 분산중합으로 합성한 폴리스티렌 seed를 사용하여 seed 중합방법으로 단분산성인 다공성 스티렌-디비닐벤젠(St-DVB) 겔과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AN-EDMA) 겔을 제조하였다. 합성한 St-DVB 겔과 AN-EDMA 겔은 HPLC용 충진제로 적합한 좁은 입도분포와 다공성을 갖고 있으며, 이들 겔을 충진한 GPC 또는 HPLC용 column은 비교적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AN-EDMA 겔을 아미드옥심화한 AAN-EDMA 겔에 대한 $Cu^{2+}$, $Cd^{2+}$${UO_2}^{2+}$ 이온의 흡착특성을 시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