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_2$ scavenging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29초

한방처방제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Korean Traditional Medicinal Prescriptions)

  • 이성규;이은주;박우동;김종부;최상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24-63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민간 및 한방에서 관절염 치료 처방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방처방제 16종을 선정하여 향후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식품의 개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한방처방제로부터 물, 에탄올 및 효소처리추출물을 제조하고 그들의 항산화 및 항염증활성을 in vitro assay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6종 한방처방제의 각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0.03-78.03 mg/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마행의감탕(7번)의 에탄올추출물이 78.03 mg/g으로 16종의 한방처방제 중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결과와 달리 효소추출물에서는 폴리페놀 추출 함량이 낮아지거나 비슷한 수치를 보였지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마행의감탕(7번)을 제외한 나머지 15종의 한방처방제에서 열수 및 에탄올추출물보다 효소추출물에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마행의감탕(7번) 추출물에서 DPPH 및 ABTS 라디컬 포착활성과 COX-2 저해활성도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효소추출물에서는 의의인탕(14번)이 가장 높은 COX-2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행의감탕 및 의의인탕을 관절염 치료 한방처방제로 개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며, 향후 보다 상세한 그들의 항산화 및 항염증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신선초에서 분리된 flavonoid glycosides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Angelica keiskei)

  • 심재석;김승덕;김태석;김경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8-83
    • /
    • 2005
  • 신선초에서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신선초를 80% 에탄올 추출하고 추출물에 대한 계통 분획을 실시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및 water의 총 5가 분획으로 나누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의 활성이 가장 높아 ethyl acetate 분획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chloroform : methanol : water의 용매 조건을 점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소분획으로 나누고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소분획에 대해서 acetylation 반응을 실시하고 이를 n-hexane : ethyl acetate : methanol의 용매 조건으로 단일 물질로 분리 한후 deacetylation 반응을 거쳐 최종 두 개의 단일 화합물을 획득했다. 두 개의 단일 화합물에 대한 구조 해석을 기기분석을 통해서 진행 한 결과 이 두 화합물을 각각 isoquercitrin과 hyperoside로 최종 동정하였다. Isoquercitrin과 hyperoside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 소거법, ABTS radical 소거법, OH radical 소거법 및 $H_{2}O_{2}$ 소거법으로 측정한 결과 4가지 assay법에 대해서 저농도에서 고른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고, 또한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isoquercitrin과 hyperoside 모두 손상된 DNA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isoquercitrin과 hyperoside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과 같은 기본적인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DNA 손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OH radical과 $H_{2}O_{2}$에 대해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경로의 항산화 메커니즘에 작용한다는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산업적으로 유용한 소재로서의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나무 열매 발효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or Extract of Fermented Ligustrum japonicum Fruits)

  • 김정은;김소희;김미애;고미선;신찬성;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7-12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열매 발효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비발효 추출물과 비교 분석하였다. 광나무 열매의 발효는 제주 자리돔(Chromis notata) 내장에서 분리한 Latilactobacillus curvatus (L. curvatus) 및 Weisella minor (W. minor) 균주를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발효 추출물(LJF-LC 및 LJF-WM)의 수율은 40.5 ~ 46.0%로 비발효 추출물(LJF)의 29.5% 보다 높게 나타났다. Lipopolysaccaride(LPS)로 자극된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한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활성 실험 결과, 발효 추출물인 LJF-WM이 세포 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 결과, 발효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 활성이 비발효 추출물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발효 추출물 LJF-WM은 과산화수소(H2O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보였다. 광나무 열매의 주성분인 salidroside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발효 추출물 LJF-LC에서 15.6 mg/g, LJF-WM에서 13.9 mg/g으로 확인되어 비발효 추출물(12.0 mg/g) 보다 함유량이 높게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나무 열매 발효 추출물은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Isoquercitrin 함유 연꽃잎 추출물의 피부주름개선 효능 연구 (Effect of Isoquercitrin-containing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on Skin Wrinkle Improvement)

  • 문은정;전준명;이가희;백민영;이대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2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1형 프로콜라겐 분비량 측정을 통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검색하던 중, 연꽃잎추출물(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NLE)이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NLE를 분석한 결과 iso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isoquercitrin도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에서 제1형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LE와 isoquercitrin은 자유 라디컬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isoquercitrin은 인간 피부유래 세포주인 HaCaT 및 NHDF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총항산화능을 증가시켰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팀은 isoquercitrin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정제한 NLE를 1.7% 함유한 크림(isoquercitrin 51 ppm 함유)을 제조하여 눈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30 ~ 65세의 한국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한쪽 면엔 NLE 함유 크림을, 그리고 다른 한쪽 면엔 대조제품을 매일 2회씩, 8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NLE 함유크림을 사용하였을 때 피부자극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조제품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 있게 눈가의 주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NLE 및 isoquercitrin이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isoquercitrin 함유 NLE는 안전한 천연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혈갈(Draconis Sanguis)의 항산화와 사람섬유아세포에서 MMP-1 발현저해 효과 (Effects of the Draronis sanguis on Antioxidation and MMP-1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

  • 심관섭;김진희;김진화;이동환;박성민;이범천;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9-444
    • /
    • 2004
  • 태양광선에 노출된 피부에서는 자외선의 작용으로 활성산소종이 생성되어 세포외 기질 및 피부세포에 손상을 야기시킨다. 특히 자외선에 의해 손상을 받은 피부는 콜라겐 등의 세포외 기질에 영향을 주어 주름을 형성하는데, 이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내에서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MMP)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활성산소종 소거 및 MMP의 발현을 저해하여 광노화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노화와 연관하여 혈갈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효과, in vitro MMP활성 저해능,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MMP-1 발현에 대한 영향을 사람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혈갈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DPPH radical과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 radical의 $IC_{50}$ 값은 $183{\;}{\mu}g/mL$이고, xanthine/xanthine oxidase에 의한 superoxide anion radical의 $IC_{50}$ 값은 $30{\;}{\mu}g/mL$이었다. MMP-1의 활성저해 결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IC_{50}$ 값은 $200{\;}{\mu}g/mL$이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MMP-1에 대해 단백질의 앙적인 변화는 $74\%$ 감소되었으며, 혈갈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MMP-1 mRHA의 발현량도 감소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통하여 혈갈은 항산화 효과 뿐만 아니라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MMP-1 단백질 발현과 mRNA 유전자 수준에서의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혈갈은 항산화와 자외선으로부터 생성되는 MMP-1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광노화에 따른 피부를 보호하는 항노화 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저온 및 재래식 공정에 따른 쌀·야채류 압출성형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uded Rice with Vegetables by Cold and Conventional Extrusion)

  • 안상희;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212-1218
    • /
    • 2015
  • 본 연구는 저온 및 재래식 압출성형 공정에 따른 쌀 야채류 압출성형의 항산화 활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수분 함량 25%, 스크루 회전속도 150 rpm으로 고정하였다. 저온 압출성형 조건은 사출구 온도 $80^{\circ}C$, $CO_2$ 주입량 300 mL/min, 재래식 압출성형은 사출구 온도 $140^{\circ}C$, $CO_2$ 0 mL/min으로 조절하였다. 원료는 쌀 분말에 단호박, 토마토, 딸기 및 녹차 분말을 각각 10%씩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단호박 및 토마토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저온 압출성형 공정보다 재래식 압출성형 공정에서 더 높았다. 단호박, 토마토 및 딸기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은 압출성형 후 총 페놀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저온 압출성형물보다 재래식 압출성형물에서 총 페놀 함량이 다소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녹차를 첨가한 재래식 압출성형물이 18.82 mg/g으로 가장 높았다. 압출성형 후 단호박을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낮아졌으나 토마토 압출성형물은 증가하였다. 토마토 압출성형물의 라이코펜 함량은 압출성형 후 증가하였으며, 재래식 압출성형에서 더 높았다. 딸기 압출성형물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저온 압출성형보다 재래식 압출성형 공정에서 높았다. 압출성형 후 녹차 압출성형물의 총 클로로필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클로로필 a, b 및 총 클로로필은 저온 및 재래식 공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제주 연안에서 분리한 항산화물질을 생산하는 균주의 동정 및 배양학적 특성 (Identification and Cultural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the Jeju Coasts)

  • 김만철;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49-754
    • /
    • 2005
  • 합성 항산화제에 대응할 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해양 미생물을 이용한 연구를 하였으며, 전자공여능으로 항산화 물질 생산 능력이 우수한 해양 미생물을 분리하여 SC2-1라고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 SC2-1은 제주 연안 해수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생화학적, 유전학적, 세포벽의 지방산 조성을 토대로 최종적으로 Exiguobacteriurm sp. SC2-1로 동정 하였다. 항산화물질을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및 영양원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산화물질 생성 최적 온도는 $25^{\circ}C$이고, 최적 pH는 7.8이며 최적 배양시간은 24시간이었다. 항산화물질 생산 최적 배지조성은 기본배지로 Marine broth에 탄소원으로는 maltose 였으며, 적정농도는 $2.5\%(w/v)$ 였다 질소원에서는 유기태 질소원인 yeast extract이었고, yeast extract 최적농도는 $1.5\%(w/v)$였으며, 최적 무기염류는 $0.05\%(w/v)KH_{2}PO_{4} $를 첨가 했을때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적배지 조건에서의 Exiguobacterium sp. SC2-1 배양액의 항산화 활성과 합성 항산화제, 천연 항산화제와의 비교실험 결과는 균주의 전자 공여능은 $93\∼95\%$,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BHA는 $94\∼95\%$, 천연 항산화제 $\alpha-Tocopherol$$94\%$로 거의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포장 필름의 산소투과율에 따른 신선편의 양상추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fresh-cut lettuce with different oxygen permeability of films during storage)

  • 황태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25-31
    • /
    • 2018
  • 신선편의 양상추의 포장 시 산소투과율이 서로 다른 필름을 적용하여 저온저장 중 품질 변화를 조사하여 신선편의 식품의 제품설계 및 유통 중 품질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신선편의 양상추는 산소투과율 각각 5,000, 8,000 및 $10,000cc/m^2{\cdot}day{\cdot}atm$인 OPP 필름을 리드로 하여 용기 포장하고 $10^{\circ}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필름의 산소투과율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표면온도를 제외하고 모든 품질 항목이 저장일 경과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 <0.05). 저장 중 신선편의 양상추의 표면 온도는 평균 $13^{\circ}C$ 내외로, 산소투과율이 높을수록 표면온도는 낮게 유지되고 있었다. 저장 7일경 중량감소율은 2.8~5.4% 수준으로 산소투과율 $5,000cc/m^2{\cdot}day{\cdot}atm$에서 가장 높았다. pH는 저장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 <0.05), 산소투과율이 높을수록 pH의 변화는 작았다. 저장에 따라 포장 내부의 산소는 감소하고, 이산화탄소는 증가하고 있었는데, 필름의 산소 투과율이 높을수록 잔존산소 함량이 높고, 이산화탄소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저장에 따른 총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감소하고 있었는데, 필름의 산소투과율이 높을수록 총페놀 및 항산화성도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저장 7일경 일반세균은 5.48~6.59 log CFU/g 수준으로, 산소투과율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전반기호도를 기준으로 저장 5일경까지 상업적 품질을 유지하고 있었다.

Cytotoxic Effects of Strawberry, Korean Raspberry, and Mulberry Extracts on Human Ovarian Cancer A2780 Cells

  • Lee, Dahae;Kang, Ki Sung;Lee, Sanghyun;Cho, Eun Ju;Kim, Hyun 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384-388
    • /
    • 2016
  • Reactive oxygen species are tumorigenic by their ability to increase cell proliferation, survival, and cellular migr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 effects of 3 berry extracts (strawberry, Korean raspberry, and mulberry) in A2780 human ovarian carcinoma cells. Except for raspberry, the ethyl acetate or methylene chloride fractions of berrie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exerted dose depend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the raspberry fractions, the hexane fraction also exhibit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The cytotoxic effects of berries extracts in A2780 human ovarian carcinoma cells were measur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Surprisingly, co-treatment with n-butanol (BuOH) fractions of berries showed stronger cytotoxic effects compared to the other frac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tent anticancer molecules are found in the BuOH fractions of berries that have stronger cytotoxic activity than antioxidants.

Antioxidant Potentials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Mung Bean (Vigna radiata L.) Seeds

  • Kim Dong-Kwan;Kim Jung-Bong;Chon Sang-Uk;Lee Ya-Seong
    • Plant Resources
    • /
    • 제8권2호
    • /
    • pp.122-129
    • /
    • 2005
  • Mung bean (Vigna radiata L.) is an increasingly important human food source, as well as a new functional agent, mainly due to its potent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tioxidant activity of fractions from mung bean seeds by measur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 quantify the flavonoids by means of HPLC analysis. Vitexin and isovitexin were present in both ethanol and water extracts in highest amount. Flavonoids, vitexin and isovitexin were quantified from 195 germplasms of mung beans and their concentrations varied by 4.7 fold. Especially, the breeding line KM99004-4B-2 (Suwon28/KM94004), which has grown in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showed the highest amount (15.88 mg/g) of total flavonoids. The vitexin portion was averaged $70.73{\pm}1.38\%$. High positive correlation $(r=0.96^{***})$ between vitexin and isovitexin contents showed. However, the flavonoid content showed very low correlation with the 24 growth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Seed coats of mung beans had the highest flavonoid amount, showing $50\~70$ times more than cotyledons. Flavonoid contents in the seed, the cotyledon, and the seed coat were decreased as the seed imbibition time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