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_2$ injection

검색결과 942건 처리시간 0.032초

예방적 항생제 사용중에 발생한 요로감염: 단일 병원에서 경험한 임상연구 (Breakthrough Urinary Tract Infection: A Clinical Study of Experience of a Single Center)

  • 배상인;전종근;김수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2호
    • /
    • pp.203-209
    • /
    • 2010
  • 목 적 : 소아에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반복적 요로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예방적 항생제 투여시, 새로운 내성균의 출현으로 요로 감염이 재발하게 되는 소위 돌파 감염(breakthrough infection)이 있게 되면 그에 의한 새로운 신 반흔 형성이 문제가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 돌파 감염의 임상양상에 대한 보고는 드물었으므로 저자는 본 병원에서 실제 예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항생제의 실태와 그에 따른 돌파 감염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약 5년 6개월간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요로감염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한 1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돌파감염의 양상에 대하여 차트와 검사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예방적 항생제 투여를 시작한 연령 범위는 1-76개월, 중간 연령은 5개월이었으며, 돌파감염은 총 43례(28.7%)에서 61회 발생하였고 발생빈도는 환자 100 patient-months당 1.5회였다. 방광 요관 역류로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 역류의 정도에 따른 돌파감염의 발생빈도는 grade I-II에서 18.5%, grade III에서 21.1%, grade IV-V에서 41.7%로써 grade가 높을수록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6). 또한 항생제 사용 전실시한 DMSA 스캔에서 이상이 있었던 경우가 이상이 없었던 경우보다 쉽게(47.3% vs 14.7%) 요로감염이 발생하였다. 돌파 감염의 원인균은 대장균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29.5%), 일반적인 요로 감염에서 보다 다양한 균주에 의해 고른 분포로 요로 감염이 발생하였다. 사용한 예방적 항생제 중 co-trimoxazole을 사용한 경우가 2세대, 3세대 세파로스포린을 사용한 경우보다 요로감염의 예방에 효과적이었으며(P=0.0386, P=0.0128),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 27.3%는 사용 중인 예방적 항생제에 감수성이 있었고 59.1%는 저항성을 보였다. 돌파 감염이 발생한 환아 중 39.5%에서 수술적 치료로 바꾸었으며 34.9%에서 항생제를 변경하였고 25.6%에서는 종래의 항생제를 계속 사용하였다. 결 론 : 신 반흔이 있는 경우는 돌파 감염이 쉽게 일어나므로 내시경적인 방법 등을 포함한 수술적 치료의 선택에 고려되어져야하며, 돌파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의 항생제 투여의 순응도를 고려해야 하며 세파로스포린 같은 항생제 사용은 자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주 신경의 전기적 자극으로 유발된 백서의 기도내 혈장 유출에 대한 FK224의 효과 (Effects of FK224, a $NK_1$ and $NK_2$ Receptor Antagonist, on Plasma Extravasation of Neurogenic Inflammation in Rat Airways)

  • 심재정;이상엽;이상화;박상면;서정경;조재연;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44-751
    • /
    • 1995
  • 연구배경: 여러 종류의 자극으로 감각신경(C-fiber)의 말단부에서 분비되는 신경단백질인 substance P와 neurokinin A는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 점막의 혈장 유출 및 점액의 과분비를 일으켜 기관지 천식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 이러한 기도 신경단백질은 $NK_1$, $NK_2$, $NK_3$ 등의 3종류의 수용체를 통하여 작용하며, $NK_1$ 수용체에 주로 작용하는 substance P는 기도의 혈관확장과 혈장 유출에 관여하며 $NK_2$ 수용체에 작용하는 neurokinin A는 기도의 수축에 주로 작용하며 기도혈장 유출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적: 저지들은 백서의 미주신경인 비교감 및 비부교감 신경을 전기적 자극으로 유발된 기도 혈장 유출에서 $NK_1$$NK_2$ 수용체 차단제인 FK224를 이용하여 기도내 신경성 염증에서 혈장유출에 대한 효과를 기도 부위별로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백서 21마리를 7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미주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 2분간 자극한 군(NANC2군)과 신경 단백 수용체 차단제인 FK224를 미주신경 자극 전에 사용한 군(FK224군)에서 Evans blue dye를 이용하여 기도 부위별 혈장 유출의 정도를 각 군간에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2분간 신경 자극한 군(NANC2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기관에서 49.7(${\pm}2.5$)ng/mg으로 353%, 주기관지에서 38.7(${\pm}2.8$)ng/mg으로 221%의 증가와 말초기관지 19.1(${\pm}1.6$)ng/mg으로 151%로 혈장 유출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주로 상부 기도에서 혈장 유출 정도가 심하였으나, 폐실질은 13.0(${\pm}1.8$)ng/mg, 76%로 대조군과 차이는 없었다(p>0.05). 2) 신경 단백질 수용체 차단제를 사용한 FK224군은 2분간 신경 자극한 군에 비하여 기관에서 24.3(${\pm}2.2$)ng/mg으로 49%, 주기관지에서 22.3(${\pm}1.6$)ng/mg 으로 58%의 억제와 말초기관지 13.3(${\pm}0.8$) ng/mg으로 70%로 혈장 유출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백서에서 미주신경(NANC)의 전기적 자극으로 유발된 혈장유출은 기도에서만 발생되고 주로 상부기도에서 혈장유출이 심하며, $NK_1$$NK_2$ 수용체 차단제인 FK224를 전처치하여 substance P와 neurokinin A의 수용체 차단으로 기도 혈장 유출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의료기관 핵의학 종사자의 직무 별 개인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ividual Radiation Exposure of Medical Facility Nuclear Workers by Job)

  • 강천구;오기백;박훈희;오신현;박민수;김정열;이진규;나수경;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9-16
    • /
    • 2010
  • 본 연구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의학적 이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 핵의학과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직무 별 방사선 이용에 대한 개인 방사선 피폭선량의 실태를 파악하여, 방사선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에게 안전관리와 합리적인 피폭선량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분석하였다. 2007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핵의학 방사선 관계종사자로 분류되어 개인 방사선피폭선량 측정을 정기적, 연속적으로 3년 간 조사 관리된 40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종 별, 영상실 별, 연령 별, 선량구간 별, 직무 별 관련업무를 파악하여 심부선량에 대하여 연간평균피폭선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법으로는 빈도분석과 ANOVA를 시행하였다. 3년 간 영상실 별 연간피폭선량은 PET 및 PET/CT 영상실이 11.06~12.62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였고, 감마카메라 주사실이 11.72 mSv로 높았으며, 직종 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임상병리사가 8.92 mSv로 가장 높았고, 방사선사 7.50 mSv, 간호사 2.61 mSv, 연구원 0.69 mSv, 접수 0.48 mSv, 의사 0.35 mSv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업무에 따른 직무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PET 및 PET/CT 업무가 12.09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였으며, 감마카메라 주사실이 11.72 mSv, 싸이크로트론 관련 합성 업무 8.92 mSv, 감마카메라 영상업무 4.92 mSv, 치료 및 안전관리 2.98 mSv, 간호사 업무 2.96 mSv, 관리 업무 1.72 mSv, 영상분석 업무 0.92 mSv, 판독업무 0.54 mSv, 접수업무 0.51 mSv, 연구업무 0.29 mSv 순으로 나타났다. 선량구간 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연구대상자의 15명(37.5%)이 1 mSv이하의 선량분포와 5명(12.5%)이 1.01~5.0 mSv이하의 선량분포를 가지고 있었고, 5.01~10.0mSv에서 14명(35.0%), 10.01~20.0 mSv에서 6명(15.0%)의 분포로 분석되었다. 연령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방사선사 직종에서는 25~34세 종사자가 8.69 mSv로 가장 높은 평균선량을 보였고, 근무기간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방사선사 직종에서 5~9년 종사자가 9.5 mSv로 가장 높은 평균선량을 나타냈다. 고용형태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정규직 임상병리사 8.92 mSv, 방사선사 7.82 mSv, 계약직 방사선사 7.55 mSv, 인턴직 방사선사 5.62 mSv, 계약직 간호사 2.61 mSv, 정규직 연구원 0.69 mSv, 접수 0.55 mSv, 의사 0.35mSv 순으로 피폭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핵의학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대부분이 현재의 방사선 안전관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직무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체계적 교육과 합리적 피폭량 관리를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in on Muscle-type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Mediated Ion Currents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 Lee, Byung-Hwan;Shin, Tae-Joon;Hwang, Sung-Hee;Choi, Sun-Hye;Kang, Ji-Yeon;Kim, Hyeon-Joong;Park, Chan-Woo;Lee, Soo-Han;Nah, Seung-Yeo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5권4호
    • /
    • pp.195-201
    • /
    • 2011
  • The flavonoid quercetin is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generally found in apple, gingko, tomato, onion and other red-colored fruits and vegetables. Like other flavonoids, quercetin has diverse pharmacological actions. However,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influence of quercetin effects in the regulation of ligand-gated ion channels. Previously, we reported that quercetin regulates subset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such as ${\alpha}3{\beta}4$, ${\alpha}7$ and ${\alpha}9{\alpha}10$. Presentl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quercetin on muscle-type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channel activity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after injection of cRNA encoding human fetal or adult muscle-type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subunits. Acetylcholine treatment elicited an inward peak current ($I_{ACh}$) in oocytes expressing both muscle-type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and co-treatment of quercetin with acetylcholine inhibited $I_{ACh}$. Pre-treatment of quercetin further inhibited $I_{ACh}$ in oocytes expressing adult and fetal muscle-typ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The inhibition of $I_{ACh}$ by quercetin was reversible and concentration-dependent. The $IC_{50}$ of quercetin was $18.9{\pm}1.2{\mu}M$ in oocytes expressing adult muscle-typ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The inhibition of $I_{ACh}$ by quercetin was voltage-independent and non-competitiv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quercetin might regulate human muscle-typ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channel activity and that quercetin-mediated regulation of muscle-typ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might be coupled to regulation of neuromuscular junction activity.

Corni Fructus attenuates testosterone-induce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y suppressing 5α-reductase and androgen receptor expression in rats

  • Hwangbo, Hyun;Kwon, Da He;Choi, Eun Ok;Kim, Min Yeong;Ahn, Kyu Im;Ji, Seon Yeong;Kim, Jong Sik;Kim, Kyung-Il;Park, No-Jin;Kim, Bum Hoi;Kim, Gi-Young;Hong, Su-Hyun;Park, Cheol;Jeong, Ji-Suk;Choi, Yung Hy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5호
    • /
    • pp.378-386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BPH) is a major cause of abnormal overgrowth of the prostate mainly in the elderly. Corni Fructus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because of its strong antioxidant effect, but its efficacy against BPH is not yet know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Corni Fructus water extract (CF) in testosterone-induced BPH rats. MATERIALS/METHODS: To induce BPH, rats were intraperitoneal injected with testosterone propionate (TP). Ra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CF with TP injection, and finasteride, which is a selective inhibitor of $5{\alpha}$-reductase type 2,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d prostate weight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BPH model rats were suppressed by CF treatment. CF, similar to the finasteride-treated group, decreased the levels of testosterone and dihydrotestosterone by TP treatment in the serum, and it also reduced $5{\alpha}$-reductase expression and concentration in prostate tissue and serum, respectively. In addition, CF significantly blocked the expression of the androgen receptor (AR), AR co-activators, an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in BPH rats, and this blocking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prostate-specific antigen levels in serum and prostate tissu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F may weaken the BPH status through the inactivation of at least $5{\alpha}$-reductase and AR activity and may be useful for the clinical treatment of BPH.

하악골 골절환자에서 술후 자가통증조절장치와 근주용 진통제의 효과에 관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FOR PATIENT-CONTROLLED AND INTRAMUSCULAR ANALGESIA IN MANDIBULAR FRACTURE PATIENTS)

  • 이석재;김경욱;김철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1호
    • /
    • pp.42-48
    • /
    • 2006
  • Open reduction and rigid internal fixation is the most popular treatment method for maxillofacial fracture patients, and it is unevitable that postoperative pain can be developed. Many surgeons including oral & maxillofacial surgeons have made constant efforts to decrease postoperative pain. This study is a comparison of postoperative analgesia and intramuscular analgesia in patients with mandibular fractures. In this study, twenty-one patients (Experimental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y were injected with IV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Walkmed$^{(R)}$, USA). For control group another twenty-one patients were injected with intramusclar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 (Rheoma$^{(R)}$, Samsung Pharm. Co.). And then, we measure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from first postoperative day to second day at regular time interval. The following results were uptained; 1. In patient group who with open reduction and rigid internal fix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during the first postoperative day(p<0.05). 2. In patient group with over 90 minutes surgery tim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 when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05). 3. In patient group with less than 90 minutes surgery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 when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05). 4. In patient group with surgery of open reduction using rigid internal fixation at single fractured si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 when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05). 5. In patient group with surgery at two fractured sit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during the first postoperative day when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05). As mentioned above, it suggest that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s more effective for postoperative pain relief than intramuscular injection in patients with rigid internal fixation by open reduction after mandibular fracture occurred. Especially, it is considered that in patient with more than 90 minutes surgery time or in cases with multiple fractured sites had more effective results with PCA therapy than conventional intramuscular analgesics.

Acute Toxicity of CKD-602, a New Anticancer Agent, in Rats

  • Kim, Jong-Choon;Shin, Dong-Ho;Kim, Sung-Ho;Kim, Joon-Kyun;Cha, Shin-Woo;Han, Jung-Hee;Suh, Jeong-Eun;Chung, Moon-K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2권1호
    • /
    • pp.43-48
    • /
    • 2004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cute toxicity of CKD-602 by a single intravenous dose in Sprague-Dawley rats. Ten males females were used in each test groups: a vehicle control, 34.7, 4l.7, 50.0, 60.0 and 72.0 mg/kg groups, and were given different single intravenous doses of CKD-602 to the test animals. Mortalities, clinical findings, and body weight changes were monitored for the 14-day period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At the end of l4-day observation period,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complete gross postmortem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e, 1, 2, 8 and 9 cases of deaths occurred in the male dose groups of 34.7, 41.7, 50.0, 60.0 and 72.0 mg/kg, respectively, and 1, 5 and 9 cases in the female dose groups 50.0, 60.0 and 72.0 mg/kg, respectively.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clinical signs such as alopecia, skin pallor skin ulcerations, emaciation and change of fecal material was found in the both sexes of all treatment groups. A decrease or Suppression in the body weight was also observ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utopsy, male and/or female rats of the treatment groups showed treatment-related gross findings such as splenomegaly, atrophy of the testis, epididymis, seminal vesicles, ovary, uterus and thymus which were dose-dependent in incidence and sever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 single intravenous injection of CKD-602 to rats caused significant toxicities in gastrointestin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systems. The $LD_{50}$ value was 53.8 (95% confidence limit: 48.5~60.6) mg/kg for males and 60.l (95% confidence limit: 55.3~65.8) mg/kg for females. The $LD_{10}$ value was 39.9 (95% confidence limit: 3l.7~44.8) mg/kg for males and 50.3 (95% confidence limit: 40.6~54.8) mg/kg for females.

음폐수 이용 기존 매립지 가스 발생 향상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of Improvement of Existing Landfill Gas(LFG) Production by Using Food Waste Water)

  • 신경아;동종인;박대원;김재형;장원석
    • 에너지공학
    • /
    • 제25권3호
    • /
    • pp.104-11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신기후체제 대비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써 신재생에너지원인 매립가스의 에너지이용 확대를 위해 현장 매립폐기물을 적용하여 음폐수 주입에 따른 메탄가스 생산량 증대 및 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메탄가스 생산량 증대를 위해 주입하는 음폐수는 $35^{\circ}C$, pH 6으로 전처리한 후 사용하였고, 전처리 반응조는 타공성 담체가 고정된 상향류식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하였다. 실제 매립폐기물을 이용한 pilot-scale 바이오리액터 운전결과 음폐수 주입시 강우를 활용한 대조군에 비해 6배의 매립가스 증가율을 보였으며, 평균 매립가스 발생량은 $56{\ell}/day/m^3$으로 $1m^3$ 매립지용적에서 연간 약 $20m^3$의 메탄가스가 생산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경우 25만 $m^3$ 이상의 중규모 매립지에 적용시 사업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기 등록되어 있는 매립가스 활용 CDM 사업 및 방법론을 기준으로 폐기물 처리용량 25만 $m^3$ 규모의 매립지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한 결과 연간 약 4~5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Methylene Blue의 방사선 방어결과 1. Methylene Bluerk가 $\gamma$선에 조사된 흰쥐의 유산탈수소효소의 함량과유산탈수소효소의 동위효소에 미치는 영향 (Radioprotective Effect of Methylene Blue 1. Effect of Methylene Blue on Lactic Dehydrogenase Level and Lactic Dehydrogenase Isoenzymes of Rats Exposed to Gamma-Irradiation)

  • Sang Yul Nam;Seung Han Cha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4-102
    • /
    • 1969
  • 盛熱한 albino 雄性 흰쥐를 對照群과 實驗群으로 나누어 對照群에는 0.9% 生理食鹽水를, 實驗群에는 methylene blue(38mg/kg, 食鹽水에 溶解 pH 7.4)를 各各 腹腔注射處理하였다. 約 30 分後 兩群 共히 總線量 360 rads 인 $^60 Co$의 r 線을 一時 全身照射하였다. 照射後 212時間에 걸쳐 血淸總乳酸脫水素酵素의 含量(Cabaud and Droblewski 1958)과 血淸을 비롯하여 肝, 心臟, 精巢組織의 乳酸脫水素酵素의 同位酵素vnfortys(Preston et al., 1965)을 各各 測定하여 methylene blue 의 放射線에 對한 防禦 果를 硏究調査하였다. 一般的으로 血淸總乳酸脫水素酵素의 含量은 兩群共히 r 線照射後 初期에 增加하나 特히 methylene blue 實驗群인 處理群은 對照群인 生理食鹽水群에 比하여 15 및 64 時間區에서 增加의 遲滯性을 나타내었다. 血淸과 肝, 心臟 및 精巢組織의 乳酸脫水素酵素의 同位酵素는 兩群共히 線照射後 40과 116 時間區에서 陽極쪽의 同位酵素 푸랙숀 含量은 減少한다. 照射群 methylene blue 處理群의 血淸과 肝 및 精巢組織 乳酸脫水素酵素의 同位酵素패턴에서는 對照群과 別差異가 없었으나 特히 methylene blue 處理群의 心臟組織은 對照群에 比하여 若干의 增減의 遲滯性을 나타내었다. 兩群共히 照射後 血淸乳酸脫水素酵素含量의 增加는 同位酵素푸랙숀 1의 增加에 基因된다고 思料되며 이상의 結果로 미루어 보아 總乳酸脫水素酵素 活性과 心臟組織의 乳酸脫水素酵素의 同位酵素패턴에 있어서 methylene blue가 放射線防禦 果가 있는 것으로 思料된다.

  • PDF

현무암층 사이에 존재하는 클링커층과 퇴적층의 시멘트 그라우팅 보강에 따른 얕은 기초 거동 평가 (Evaluation of Shallow Foundation Behavior on Basalt Rock Layers With Clinker and Sediment Layers Reinforced Using Cement Grouting)

  • 이기철;신현강;정혁상;김동훈;유용선;김동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3-44
    • /
    • 2019
  • 클링커층은 제주도와 같은 화산지대에 분포하는 독특한 지층구조로 용암이 분출하며 고결되는 과정에서 생긴 클링커가 암반층 하부에 퇴적된 지층을 의미한다. 클링커층은 용암 가스의 분출과정에서 동반되는 다량의 공극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층 내 존재할 시 지반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링커층이 존재하는 00교의 시점 및 종점 부근에서 각 2공의 지반조사(총 4공)를 수행하였고, 지반조사결과를 토대로 얕은 기초 시공 시 거동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클링커층의 약액주입공법을 통한 그라우팅 치환 시 개선된 얕은 기초 거동을 원지반에서의 얕은 기초 거동과 비교하고, 지층별 그라우팅 치환 효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클링커층보다는 기존 지반에 존재하는 퇴적층의 유무에 따라 지지력 및 치환 효율, 탄성 침하량에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퇴적층이 상대적으로 클링커층보다 낮은 강성과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