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D_{mn}$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4초

Ethylene Glycol과 Terephthalic Acid 분해균주를 이용한 감량가공폐수처리 (Treatment of Polyester Weight Loss Wastewater Using Strains Degrading Ethylene Glycol and Terephthalic Acid)

  • 서승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3-48
    • /
    • 2001
  •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resulting form the weight-reduction process of polyester make trouble in the operation of activated sludge process. Also, polyester weight loss wastewater shows high pH, high organic strength and wide variation of organic load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reatment efficiency by activated sludge process with Pseudomonas sp degrading components of polyester weight loss wastewater. The CO $D_{Mn}$ and BO $S_{5}$ of the waste wastewater were 560~3,000 mg/$\ell$ and 8000~3,000 mg/$\ell$, respectively. pH was 11.8~12.3. COD removal efficiency by activated sludge-coagulation process with Pseudomonas sp was 94.1~95.8% for 35 hr of hydraulic retention time. Total organic carbon removal efficiency was 97.1%. Ethylene glycol and terephthalic acid in the wastewater were completely degraded during 32 hr of hydraulic retention time.e.

  • PDF

형산강 하류 적조발생시 수질 및 수문학적 특성 검토 (Investigation of Water Quality and Hydrological Characteristic When Red Tide Develop in the Mouth of Hyeongsan River)

  • 이창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155-1162
    • /
    • 2009
  •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water area calmness on the red tide development, runoff phenomena due to antecedent precipitation of red tide development day were analyzed. There were examined the water quality variation properties at about the same time of the red tide develop. The red tide was developed when the stage and discharge nearly had not changed. It was estimated that the stability of particle behavior in the mouth of river effected on the red tide develop. Also, the concentrations of $COD_{Mn}$ were increased about 241~629% when the red tide developed.

응집 및 fenton 산화공정을 연계한 축산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Astudy on Treatment of Livestock Wastewater using Coagulation and Fenton Oxidation Process)

  • 조창우;유재웅;정팔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10-614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move organics and color in livestock wastewater using coagulation and Fenton oxidation process. After coagulation process as $1^{st}$ treatment, organics in $1^{st}$ treatment water were removed by using OH radical produced in Fenton oxidation process. Removal efficiencies of $COD_{Mn}$ and color were 87.2% and 95.7% separately. At that time, the ratio of $Fe^{2+}/H_2O_2$ was 0.8~1.0, and range of reaction pH was effective at the pH of 3.5~3.8. The Reaction time of 120min more than 60min or 90min was sufficient in Fenton process.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s was higher two- or multi-stage treatment than one-stage treatment.

매립지 주변 지하수오염 조사

  • 이창수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지 제13권(제2호)
    • /
    • pp.133-135
    • /
    • 2004
  • 1. 침출수 수질 조사결고, pH는 $3.7\~5.0,\;COD_{Mn}$$760\~1,800mg/\ell,\;NO_3-N\;26.124\~78.150mg/\ell,\;NH_3-N$$144.5\~350mg/\ell,\;Cl^-$$13272.0\~34137.0mg/\ell$,는 $450\~1620mg/\ell$, SS는 $81.2\~652.7mg/\ell$, T-N은 $228\~430mg/\ell$, T-P는 $0.921\~1.108mg/\ell$로 분석되었으며, 중금속류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2. 지하수 수질조사결과, 수질상태는 지하수를 생활용수, 농업용수, 어업용수 및 공업용수로 이용하는 수질기준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으며, 또한 분석을 실시한 항목에 대한 전조사지점이 대장균군을 제외한 수질조사 항목의 먹는 샘물기준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토양오염도 조사결과, 농경지 및 산업지역의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크게 밑도는 것으로 분석되어 대상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침출수 및 소각재 등의 주변지역 토양오염에 미치는 영향은 미약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Advanced Water Treatment by Tubular Alumina Ceramic Ultrafiltration: Effect of Periodic Water-back-flushing Period

  • Park, Jin-Yong;Lee, Song-Hui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15-20
    • /
    • 2009
  • The periodic water-back-flushing using permeate water was performed to minimize membrane fouling and to enhance permeate flux in tubular ceramic ultrafiltration (UF) system for Gongji stream water treatment in Chuncheon city. The filtration time (FT), which was the water-back-flushing period, 2 min with periodic 15 sec water-back-flushing showed the highest value of dimensionless permeate flux ($J/J_o$), and the lowest value of resistance of membrane fouling ($R_f$), and we acquired the highest total permeate volume ($V_T$) of 6.35 L. Consequently FT 2 min at back-flushing time (BT) 15 sec could be the optimal condition in advanced UF water treatment of Gongji stream. Then the average rejection rates of pollutants by our tubular ceramic UF system were 99.4% for Turbidity, 31.8% for $COD_{Mn}$, 22.6% for $NH_3$-N and 65.9% for T-P.

습지여상시설을 이용한 하천 수질정화 (Purification of Stream Water Quality by Subsurface-flow Wetland Facility)

  • 정용준;임기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56-461
    • /
    • 2006
  • The facility of constructed wet land combined with filter media was examined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a polluted stream, which has been performed as a part of national projects. Throughout 2 years of operation for a stream, it can provide the design and operating parameters for the purpose of future construction. The influent flow rate was about 50% against the design capacit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BOD, $COD_{Mn}$, SS, T-N and T-P were 62.9%, 47.1%, 74.8%, 22.4% and 33.5%, respectively. In order to keep this facility stable, the removal of surface filter media and supplement should be periodically conducted. In addition, the proper selection of sites is recommended not to be flooded.

착유시스템별 세척수 발생량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mount of Wastewater Produced from the Different Milking System)

  • 최동윤;강희설;곽정훈;최희철;김재환;김태일;이덕수;권두중;한정대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7-82
    • /
    • 2001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aily amount and characteristics of wastewater produced from bucket milkers, pipeline, tandem ad herringbone milking system for washing operations after milking included 28 dairy farms. The average amount of wastewater produced from milking system was 9.8l/head/day. The amount of wastewater varied from a low of 8.2 litters/head/day(pipeline milking system) to 13.4 litter/head/day(herringbone milking system). The moisture content, Biochemical Oxygen Demand($BOD_5$), Chemical Oxygen Demand($COD_{Mn}$), Suspended Solids(SS),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orus(T-P) concentration of wastewater were 99.9%, 394mg/l, 417.3mg/l, 1,201.3mg/l, 3.78mg/l, 0.51mg/l.

  • PDF

회야댐 저수지에서 물리 ${\cdot}$ 화학적 환경요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과 세균 군집의 변화 (Community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Bacteria as Affected by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Hoeya Dam Reservoir)

  • 김대균;최애란;이혜경;권오섭;김종설
    • 생태와환경
    • /
    • 제37권1호통권106호
    • /
    • pp.26-35
    • /
    • 2004
  • 울산에 위치한 상수원인 회야댐 저수지에서 물리 ${\cdot}$ 화학적 환경요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변동 및 세균수와세균학적 수질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저수지내 3개 지점의 표층과 저층에서 2001년 4월에서 10월까지 2${\sim}$4주의간격으로 채수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투명도는0.4${\sim}$3.5m, 표층에서 수온 10.2${\sim}$$10^{\circ}C$,용존산소 5.5${\sim}$12.4 mg $L^{-1}$, PH 7.3${\sim}$9.6, $BOD_5$ 0.8 ${\sim}$ 5.0 mg $L^{-1}$, $COD_{Mn}$3.7${\sim}$10.0 mg $L^{-1}$, Chl-a 8.9~60.9 mg $m^{-3}$, 저층에서 수온 7.2${\sim}$$28.9^{\circ}C$, 용존산소 0.6${\sim}$9.5 mg $L^{-1}$, pH 7.1${\sim}$9.3, $BOD_5$ 0.8~4.5 mg $L^{-1}$, $COD_{Mn}$ 3.9${\sim}$10.0 mg $L^{-1}$, Chl-a 4.3${\sim}$81.9 mg $m^{-3}$의 범위였다. 식물플랑크톤 개체수는 표층 7.4${\pm}10^2{\sim}2.6{\pm}10^5$ cells $mL^{-1}$, 저층 2.5${\pm}10^2{\sim}2.4{\pm}10^4$ CelI $mL^{-1}$의 범위였으며, 수온 및 Chl-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월에는 Stephanodiscus속, 5월에는 Oscillatoria속이 우점하였고, 6월에서 9월 초에 걸쳐Aphanizomenon, Microcystis, Anabaena의 대발생이 관찰되었으며, 9월 중순 이후 다시 Stephanodiscus속과 Aulacoseira속이 우점하였다. 총 세균수는 1.73${\pm}10^4{\sim}1.68{\pm}10^5$cells $mL^{-1}$의 범위로 표층이 저층보다 높았으며, 수온 및 식물플랑크톤 개체수와는 표층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일반세균수는 30${\sim}4.1{\pm}10^3$ CFU $mL^{-1}$의범위로, a 지점이 다른 두 지점보다 높았고, 저층이 표층보다 높아 총 세균수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저층에서 $BOD_5$$NO^3\;^-$-N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분원성 대장균군과 분원성 연쇄상구균의 경우 a지점이 다른 두 지점보다 오염의 정도가 더 심했고, 저층이 표층보다 특히 높았으며, 비가 온 이후에는 취수탑이 위치한 c지점의 저층에서도 상당한 농도로 검출되어 이를 고려한정수공정의 관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농촌용수 수질관리를 위한 비농업시설의 영향 연구 (Effect of Non-Agricultural Facilities on 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in Rural Area)

  • 이병선;엄재연;김양빈;우남칠;남경필;이종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2호
    • /
    • pp.1-9
    • /
    • 2009
  • 국제농촌지역은 국제적인 농산물 개방 여파, 대도시 인근지역 택지개발 및 산업시설 설치, 각종 레저산업의 유입등 비농업시설이 기존 농경지를 대체 개발하면서 다각적인 발전의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발속도에 비해 수질솬리는 상대적으로 뒤쳐지는 편이다. 이연구는 개발이 활발한 경기도 OO시 A저수지 유역 대표적인 비농업시설을 중심으로 지하수 및 하철수 시료를 채수하여, 비농업시설 설치운영이 농촌용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지역 내 비농업시설에 의한 수질오염은 적절한 처리시설 없이 하수가 A 저수지로무단 방류되는 지역과 공장밀집지역에서 발생했다. 배경수질 분석결과, 두 지역의 하철수 및 지하수에서 (Na+K)-Cl, Ca-(Cl, SO$_4$, Ca-Cl유형들이 나타나 외부 오염 물질의 유입을 보였다. 하수 무단방류지는 면소재지 발생하수가 하천수에 유입됨에 다라 COD, T-N, T-P 오염이 심각했고, 인접한 지하수는 하철수의 유도함양 결과, 화학비료 기원의 NO$_3$-N 오염이 진행 중이었다. 공장밀집지는 T-N, NO$_3$-N 오염이 심각했고, 공장지역 정화조 액상오수의 무단방류가 NO$_3$-N오염의 원이이었다. 축산시설개발지역에서는 가축분뇨에서 기원한 유기물이 하천수 및 지하수에 유입되어NO$_3$-N, Mn오염을 보였다. 농약은 골프장을 비롯한 전체 빈오시설 지역에서 불검출 되었고, SAR(Sodium Adsorption Ratio)-전기전도도 분석 결과,연구지역 용수를 관개용수로 사용 시 알칼리도 및 염도에 대한 위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타운, 레저관광지, 골프장 주변 지역의 용수는 대체적으로 수질이 양호했다. 결론적으로 연구지역 내 수질 오염은 국지적인 비농업시설 설치지에서 발생하였으나, 이러나 오염수가 연구지역의 최종 집수지인 A저수지에 유입되면, 타 수계의 청정수와 혼합 희석에 의해 A 저수지에서는 수질 오염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향후 연구지역에 비농업시설이 난립할 경우 A저수지의 희석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농촌개발과 병해할 수 있는 농촌 용수 수질관리 계획이 수립되어 청정한 농촌용수 수질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EMCs 산정 및 초기세척효과 분석 (Analysis of First Flushing Effects and EM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Impervious Area during Rainfall)

  • 안태웅;김태훈;오종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459-473
    • /
    • 2012
  • 본 연구는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에서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불투수성 지역의 강우사상 특성은 강우강도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강도가 크게 작용하면, 초기강우 현상이 잘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무강우일수에 의해서 비점오염물질의 농도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불투수성 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 경향을 보면, 강우초기 유출 유량에 포함되어 유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지속되는 강우에도 불구하고 오염물질의 농도는 증가하지 않고 낮은 농도로 안정적인 유출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이유는 건기 시 도로 표면에 집적되어 있던 오염물질들이 강우시 초기에 유출되어 비점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투수성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 오염물질 항목별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은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불투수성 지역의 특성상 아스팔트로 되어 있는 도로 및 주차장, 교량 등이 있는 불투수면이 대부분의 토양상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 내 모니터링 지점에서 강우가 집중되어 유출되기 때문에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증가하기 때문에 오염부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강우시 초기세척 효과는 TSS의 경우, Event 1, Event 2에서 초기세척효과가 매우 잘 관찰되었으며, TSS> $COD_{Mn}$ >T-P 순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SS와 $COD_{Mn}$가 가장 민감하게 강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향후 비점오염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점오염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수계환경의 오염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