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Cl_3\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4초

시무나무(Hemiptelea davidii) 심재의 성분과 그 항산화 활성 (The Chemical Structur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Heartwood of Hemiptelea davidii)

  • 장복심;권용수;김창민
    • 생약학회지
    • /
    • 제35권1호통권136호
    • /
    • pp.80-87
    • /
    • 2004
  • From the $CHCl_3$ and BuOH soluble fractions of the heartwood of Hemiptelea davidii, eleven compounds have been isolated.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they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1), scopoletin (2), kaempferol (3), 4-hydroxybenzoic acid (4), 2-(4-hydroxyphenyl) ethanol (5), aromadendrin (6), scopolin (7), kaempferol 6-C-glucoside (8), aromadendrin 6-C-glucoside (9), taxifolin 6-C-glucoside (10) and quercetin 6-C-glucoside (11), respectively. Among these compounds, compounds 3, 8, 10, and 11 showed po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11.9, 14.7, 10.3 and $6.2\;{\mu}g/ml$, respectively.

Butyrylcholineesterase(BChE) Inhibitors from a Brown Alga Sargassum sp.

  • Park, Soo-Hee;Ryu, Geon-Seek;Choi, Byoung-Wook;Lee, Bong-Ho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75.3-375.3
    • /
    • 2002
  • In continuing search for BChE-inhibitory compounds from Korean marine algae. we found a highly potent inhibitory activity in the methanolic extract of Sargassum species. After partition of the MeOH extract between $CHCl_3$ and 30% MeOH. the former layer was subjected to a series of ODS flash chromatography. silica column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TLC to afford three compounds (1-3). Detailed structural elucidation of them is in progress. Compound 1 showed potent BChE-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11 ng/mL. (omitted)

  • PDF

곧은 나무이끼(Climacium dendroides)의 식물 화학적 성분연구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Climacium dendroides)

  • 남정환;조인숙;김수정;남춘우;서종택;유동림;김원배;유승열;이응호;김민영;유영민;박희준;정현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2호
    • /
    • pp.136-141
    • /
    • 2008
  • 곧은 나무이끼의 전초에서 물질을 분리 및 동정하기 위해 곧은 나무이끼의 MeOH 추출물을 $CHCl_3$, EtOAc 및 BuOH로 용매 분획하였다. $CHCl_3$ 분획으로부터 2-chromenone(coumarin)을 분리 하였고 EtOAc 분획에서 3,4-dihydroxy-cinnamic acid (caffeic acid), 3,3',4',5,7-pentahydroxy-2-phenyl-chromen-4-one (quercetin)과 kaemperol-3-O-${\beta}$-D-glucopyranoside(astragalin)을 분리하였다. BuOH 분획으로부터 3-[[3-(3,4-Dihydr oxyphenyi)-1-oxo-2-propenyl]oxy]-1,4,5-trihydroxycyclohexanecarboxylic acid(chlorogenic acid)와 quercetin-3-O-rutinoside(rutin)를 분리하여 IR, UV, Mass, NMR과 이화학적인 방법으로 그 구조를 규명하였다. 곧은 나무이끼에서 이 물질들이 분리된 것은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The Isol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Constituents from Lycoris radiata using On-line HPLC-biochemical Detection System

  • Yang, Hee-Jung;Yoon, Kee-Dong;Chin, Young-Won;Kim, Young-Choong;Kim, Jin-Wo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228-232
    • /
    • 2010
  •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using on-line HPLC biochemical detection system on $CHCl_3$-soluble fraction of Lycoris radiata led to the isolation of deoxylycorenine (1), O-demethylhomolycorine (2), galanthamine (3), lycoramine (4), mixture of $6{\alpha}$-and $6{\beta}$-haemanthidine (5), and lycorine (6), identified by spectroscopic data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1, 3 and 6 showe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ry activities with $IC_{50}$ values of 18.0, 12.0 and $16.6\;{\mu}M$, respectively, in in vitro colorimetric microplate assay.

조희풀(Clematis heracleifolia) 지하부의 성분과 Acetylcholinesterase억제 활성 (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Underground Parts of Clematis heracleifolia)

  • 김미애;김명조;전완주;권용수
    • 생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11
    • /
    • 2015
  • To clarify chemical constituents of Clematis heracleifolia,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the underground parts of C. heracleifolia were performed. Fiv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CHCl_3$ and n-BuOH soluble fraction of this plant. On the basis of spectral and physico-chemical data, the structure of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coniferyl alcohol (1), scoparone (2), (+)-lariciresinol (3), phytosterols (4), and daucosterol (5), respectively. All compounds a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To evaluate anti-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of the isolated compounds, compounds 1, 2, 3, and 5 were teste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cetylcholinesterase. Among tested compounds, daucosterol (5) showe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 of $6.1{\mu}M$.

Antihepatotoxic zeaxanthins from the Fruits of Lycium chinense

  • Kim, Sun-Yeou;Kim, Hong-Pyo;Huh, Hoon;Kim, Young-Cho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529-532
    • /
    • 1997
  • A $CHCl_3$:MeOH extract of the fruit of Lycium chinense Mill. (Solanaceae) was found to afford significant protection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hepatocytes. Subsequent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zeaxanthin and zeaxanthin dipalmitate as antihepatotoxic components. Incubation of injured hepatocytes with zeaxanthin dipalmitate reduced the levels of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and sorbitol dehydrogenase (SDH) released from damaged cells to 60.5% and 76.3% of those released from untreated controls, respectively. Zeaxanthin also reduced the levels of GPT and SDH to 68.5% and 61.3% of the levels of those released from the untreated contro. The results confirm the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zeaxanthins. Antihepatotoxic activities of zeaxanthins are comparable to that of silybin.

  • PDF

Lignans and Macrolides from the Leaves of Houttuynia cordata wit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NO Production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Ahn, Jongmin;Chae, Hee-Sung;Chin, You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8권1호
    • /
    • pp.33-39
    • /
    • 2022
  • Eight lignans (1-8) and two macrolides (9-10) were isolated from the CHCl3-soluble fraction of Houttuynia cordata Thumb (Saururaceae). Structures of isolates were elucidated by extensive spectroscopic methods. Fatty acid-derived macrolides (9-10) have rarely been reported from nature. All the isolates were tes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stimulated by LPS. It was found that compounds 3 and 9 remarkably down-regulated LPS-induced NO production with IC50 values, 5.4 and 40.3 μM, respectively, without cytotoxicity.

무기흡착제를 이용한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할로겐 가스 (BCl3, CF4) 의 처리 및 측정에 관한 연구 (Treatment of Halogen Gases, BCl3 and CF4, used in Semiconductor Process by Using Inorganic Gas Adsorption Agents)

  • 임흥빈;황청수;박정준
    • 분석과학
    • /
    • 제16권5호
    • /
    • pp.368-374
    • /
    • 2003
  • 반도체 공정에서는 많은 종류의 가스를 사용하는 데 그중 할로겐 가스는 독성과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본 실험은 할로겐 가스를 기존의 제거 방식이 아닌 수지를 이용한 제거 방법 및 측정을 하는 연구를 하였다. 우선 실험에 사용한 할로겐 가스로는 $BCl_3$$CF_4$ 가스를 제거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 장치는 실험조건을 고려하여 직접 제작을 하였다. 그리고 수지를 이용한 흡착 제거를 하기 위해 제올라이트, $Ag^+$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AgMnO_3$, ZnO등 여러 가지 수지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가스의 분석을 위해서 실제 사용되어지는 적외선 분광기 (FT-IR)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분석을 하여 각각의 수지에 대한 할로겐 가스의 제거량을 계산하여 수지의 제거 능력을 확인하였다. 제올라이트, Ag 제올라이트, $AgMnO_3$, ZnO등의 수지중에서 ZnO가 가장 좋은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BCl_3$ 가스의 경우 수지 1g에 대해 0.094 g을 제거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CF_4$ 가스는 일반적인 고체 수지는 제거를 하지 못하고 액체인 $CHCl_3$가 약간의 제거능력을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

미역 추출물로부터 충치 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bacterial Substance from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for Streptococcus mutans)

  • 윤소미;장준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9-154
    • /
    • 2007
  • 건조 미역 10.4 kg을 acetone으로 추출, 여과한 다음 액-액 분배, 각종 크로마토그라피를 통하여 충치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물질의 한 성분을 분리, 정제하고(160 mg, 수율 $1.5\times10^{-3}$%) 물질을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조 미역 30 g 상당량의 추출액을 기준으로 용매 획분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을 때, $CHCl_3$층이 73.2%로 가장 강하였고, hexane층이 62.0%이었으며, BuOH층이나 물층은 거의 없었다. 알루미나 칼럼에서는 산성 획분인 1% $NH_4OH:MeOH(1:1)$용매 획분이 81.0%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실리카 칼럼에서는 $CHCl_3:MeOH(95:5)$용매에서 가장 높은 95.5%의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ODS칼럼에서는 85% MeOH에서 96.4%의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ODS칼럼에서 95% MeOH를 이동상으로 하여 3개의 물질 S1(10 mg), S2(90 mg), S3(60 mg)을 분리 정제하였다. TLC에서 각 성분은 동일한 Rf값 0.42를 나타내어 동일한 물질로 추정되었으며, 이들을 메칠 유도체화한 성분들은 Rf값이 0.95로 바뀌어 이들 물질이 carboxyl기를 가지는 지방산으로 추정되었다. GC분석에서 표품 지방산과 비교한 결과, 이들은 $C_{18:4,n-3}$ 지방산과 retention time이 일치하였다. 또한, 메칠 유도체의 mass spectrum 분석 결과, m/z 290에 분자 이온 peak가 관측되어 $C_{18:4,n-3}$ 지방산의 methyl 유도체의 분자량과 일치하여, 이 물질을 3,6,9,12-octadecatetraenoic acid(stearidonic acid, $C_{18:4,n-3}$) 지방산으로 동정하였다.

석탄계 활성탄의 재생 횟수 증가에 따른 세공 구조 변화가 수중의 NOM과 THM 흡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e Structure Change on the Adsorption of NOM and THMs in Water Due to the Increase of Reactivation Number of Coal-based Activated Carbon)

  • 손희종;류동춘;장성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965-9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석탄계 활성탄 신탄과 재생탄들을 이용하여 재생 횟수의 증가가 이들의 세공 구조 변화 및 수중의 유기성 오염물질들의 흡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신탄과 비교하여 1~3차 재생탄들에서 재생회수의 증가에 의해 $15\;{\AA}$ 이하의 미세세공은 감소한 반면 $20{\sim}100\;{\AA}$ 정도의 중간세공은 증가하였다. 재생횟수의 증가할수록 비표면적과 세공용적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세공용적의 감소폭은 신탄에 비해 크지 않았다. 신탄과 1~3차 재생탄들에서의 $CHCl_3$와 DOC에 대한 최대 흡착능(X/M)은 신탄의 경우 $964.6\;{\mu}g/g$ 및 19.5 mg/g인데 반해, 1~3차 재생탄들에는 $255.6{\sim}399.5\;{\mu}g/g$과 18.0~18.7 mg/g이였으며, 1차~3차 재생탄들의 THM 구성종들에 대한 흡착능은 신탄 보다 2~3배 정도 감소하였으나, DOC에 대한 흡착능은 신탄과 거의 동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