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 $rotundiformi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Survival Strategies of the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for Coexisting with the Copepod Apocyclops borneoensis in Laboratory Culture

  • Jung, Min-M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57-62
    • /
    • 2012
  • Inter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a euryhaline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and a cyclopoid copepod Apocyclops borneoensis was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culture. In a mixed culture of B. rotundiformis and A. borneoensis, population growth of B. rotundiformis was suppressed from day 10, while growth in a monoculture population continuously increas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the population growth of A. borneoensis in the mixed culture did not markedly differ from that in a monoculture population. Suppression of B. rotundiformis growth coincided with a decrease in the numbers of both non-egg-bearing and egg-bearing females, and increasing resting egg formation. Growth of A. borneoensis was not affected by the presence of the rotifer. However, relative growth index of ovisac bearing females in the mixed culture was 1.62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monoculture. Presence of the copepod did not greatly reduce the food available to the rotifer population. The rotifer B. rotundiformis responded in a unique way, to stresses such as physical damage (filtering by A. borneoensis) with the production of many resting eggs to increase its chances of survival.

넙치 및 돌돔 자어 사육에 있어서 Brachionus plicatilis와 B. rotundiformis 내구란에서 갓 부화한 rotifer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Neonates from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B. rotundiformis Resting Eggs for Flounder and Parrot Fish Larvae)

  • 허성범;이상민;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38
    • /
    • 1999
  • 넙치(Paralichthy olivaceus) 및 돌돔 (Oplegnathusfasciatus) 자어를 대상으로 각각 B.plicatilis와 B.rotundiformis의 내구란에서 갓 부화한 rotifer의 먹이효율과 지방산 조성을 대량배양한 rotifer와 비교 조사하였다. Rotifer 내구란은 Chlorella와 빵 효모를 먹이로 공급하여 $1~4m^3$에서 생산하였다. B.plicatilis와 B.rotundiformis 내구란은 $5^{\circ}C$ 암내장 상태에서 각각 3개월과 5개월 동안 보관하여 $28^{\circ}C$ 연속 조명하에서 부화시켰다. 내구란에서 갓 부화한 rotifer와 대량 배양한 rotifer(대조구)를 자어에게 공급하였다. B.rotundiformis 내구란에서 갓 부화한 rotifer를 공급한 돌돔자어의 성장과 생존률은 대조구와 비슷하였게 나타났고, B.plicatilis 내구란에서 갓 부화한 rotifer를 먹은 넙치자어의성장과 생존률은 각각 대조구에 비해 비슷하거나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내구란에서 갓 부화한 rotifer의 지방산조성은 대조구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내구란에서 갓 부화한 rotifer는 넙치 및 돌돔 자어의 먹이로서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

온도와 염분이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와 B. rotundiformis의 성장과 크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Growth and Size of th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B. rotundiformis)

  • 윤주연;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58-664
    • /
    • 2011
  • Rotifers of the genus Brachionus are commonly used as a live food for larval fish, and rotifers of different sizes are preferred according the mouth size of the fish. Rotifer species vary in size, and individual size can depend on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of the rearing environmen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for two species, B. plicatilis (250-300 ${\mu}m$) and B. rotundiformis (100-220 ${\mu}m$). Two strains of B. plicatilis (CCUMP 36 and 48) and two strains of B. rotundiformis (CCUMP 51 and 56) were received from the Culture Collection of Useful Marine Plankton (CCUMP)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cultured with the green alga, Nannochloris oculata (KMMCC 16) from the Korea Marine Microalgal Culture Center (KMMCC). The growth and size of rotifers were examined at three water temperatures ($16^{\circ}C$, $24^{\circ}C$, $32^{\circ}C$) and four salinities (20 psu, 25 psu, 30 psu, 35 psu) under continuous light (40 ${\mu}molm^{-2}s^{-1}$). The maximum density and growth rate of B. rotundiformis were greater than those of B. plicatilis. The lorica length of B. plicatilis ranged from 215.4 to 269.7 ${\mu}m$ and from 154.9 to 206.6 ${\mu}m$ for B. rotundiformis, depending on strain, temperature and salinity. Rotifers were smaller when cultured at high temperatures, regardless of salinity. B. rotundiformis preferred higher salinity than B. plicatil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ize of rotifers could be controlled to some extent by temperature and salinity.

로티퍼, Brachionus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Tigsiopus japonicus의 혼합 배양조에 있어서 두 종간의 상호 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wo food organisms in the combination culture tank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and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정민민;노섬;김형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6-69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대량 배양조에서 흔히 혼재가 관찰되는 코페포다 T japonicus가 배양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증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로티퍼와 코페포다는 로티퍼의 대량 배양조에서 순수 분리 후 단일종 배양하던 것이다. 배앙 조건은 현장의 배양환경과 되도록 일치하도록 하였으며, 먹이는 $7{\times}10^5\;cells/ml$의 N. oculata를 급이하였다. B. rotundiformis의 배양조에 혼재된 T. japonicus는 C. rotundiformis를 단독 배양한 경우에 비하여 증식이 크게 억제되었고, 실험 종료일까지도 그 증식은 정체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T. japonicus의 증식은 T. japonirus를 단독 배양한 경우에 비교하여 B. rotundiformis와 혼합 배양하여도 그 증식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B. rotundiformis와 T japonicu의 혼합 배양에서 두 종간의 피포식 관계나 먹이 경쟁 관계와 같은 직접적인 상호 작용은 관찰할 수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대량 배양조에서 혼재 생물로서 자주 관찰되는 코페포다 T. japonicus는 B. rotundiformis의 증식 저해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Rotifer 반 연속 고밀도. 배양에 있어서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와 해수산 rotifer, B. rotundiformis의 생산성 (Productivity of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and Marine Rotifer, B. rotundiformis in the Semi-continuous High Density Culture)

  • 이균우;박흠기;조성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6-159
    • /
    • 2001
  • 본 연구는 반 연속 rotifer 고밀도 배양에 있어서 배양 수온, 초기 접종밀도 및 pH조절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와 해수산 rotifer, B. rotundifomis의 생산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실험은 6L 배양용기 (배양수 5L)에 담수산 농축 Chlorella를 먹이로 공급하였다. pH를 조절하지 않은 반 연속 rotifer 고밀도 배양에서 B. calyciflorus와 B. rotundifomis의 일일 평균 생산량은 수온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수온 $32^{\circ}C$ 실험구에서 B. calyciflorus가 일일 $44\times10^6$개체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보였다 (P<0.05). 또한 이들의 생산 기간은 B. calyciflorus가 B. rotundiformis보다 상당히 길게 나타났다. 한편 pH를 7로 조절하면서 B. calyciflorus와 B. rotundiformis의 초기 접종밀도를 5,000개체/mL로 할 경우, 생산 기간이 각각 12일과 11일로 초기 접종밀도 10,000개체/mL의 2일과 8일 보다 길게 나타났고, 생산률도 $130\%$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B. calyciflorus와 B. rotundiformis의 반 연속 고밀도 배양에 있어서 생산 효율과 먹이 비용을 고려할 때 $32^{\circ}C$에서 pH 7 조절 하에 초기 접종밀도를 5,000개체/mL로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반 연속 rotifer 고밀도 배양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 Unique New Strain Named the NFRDI N°1 Rotifer Strain, a Brackish Brachionus Rotifer Collected from a South Korea Coastal Lagoon

  • Jung, Min-M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333-337
    • /
    • 2011
  • A new and a unique Brachionus rotifer was found in Hwajinpo coastal lagoon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This Brachionus certainly originated from the wild rather than from aquaculture stations because Hwajinpo coastal lagoon has been under rigorous control as a military protected area and therefore could not have been contaminated by aquaculture stations. The new strain was identified as Brachionus rotundiformis based upon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rthenogenetic female of this new rotifer strain typically shows characters similar to those of B. rotundiformis, such as the pot shape of the body, rounded dorsal plate compared with flattened ventral plate, elliptical mictic egg, four frontal spines, six pointed occipital spines, non-nodal foot, two toes, trophi typical of the Brachionus genus with five uncus plates resembling comb teeth, one wide symmetrical manubrium and ramus, and no stiffened spine as is seen in freshwater Brachionus rotifers. Moreover, its lorica was rather small in size compared with other common rotifer strains that serve as live-food organisms (Guam, Thai, and Bali strains). This new and unique Korean brackish rotifer, a B. rotundiformis strain, was therefore named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N^{\circ}1$ rotifer strain.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유성생식에 관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 (Effects of Steroid Hormones for Sexual Reproduction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 이균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62-67
    • /
    • 2019
  • 본 연구는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유성생식을 유도하기 위해 효과적인 매개물질로 몇 가지 성 steroid hormone (serotonin, progesterone 및 ${\beta}$-estradiol)을 선정하여 농도별(Low, 30 mg/L 및 High, 300 mg/L)로 내구란 생산효과를 6일 동안 배양하면서 조사하였다. 배양 3일째 ${\beta}$-estradiol ($E_2$) 처리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성생식률이 2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양 6일째 내구란 생산수(106 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serotonin이 높게 나타났다. 더하여, 위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몇 가지 유성생식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NrbP, SRY, Cyclin 및 MrpmB 유전자가 처리한 모든 hormone에 대해 up-regulation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B. rotundiformis의 내구란 생산에 가장 효과적인 steroid hormone은 ${\beta}$-estradiol인 것으로 판단되며 유성생식 관련 유전자로 NrbP, SRY, MrpmrB 및 Cyclin을 제안할 수 있다. 차후 효과적인 내구란 생산을 위한 $E_2$의 최적 처리농도규명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Myostatin prodomains이 rotifer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yostatin Prodomains on the Reproduction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 조미진;진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86-491
    • /
    • 2012
  • Myostatin (MSTN)은 TG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family에 속하며, 골격근 성장의 억제 조절인자로서 여러 포유류에서 MSTN 유전자 돌연변이는 골격근 증가를 유도한다. MSTN prodomain은 MSTN의 생물학적 활성을 저해하는데, MSTN prodomain이 과 발현된 쥐에서 과도한 근육축적이 확인되었다. 로티퍼(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는 치어기 어류의 양식산업에 있어 주요한 일차적 먹이생물이다. 그러나 로티퍼에서 MSTN 및 MSTN prodomain의 기능과 발현 유무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조합 MSTN prodomains이로티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로티퍼 개체배양 실험을 통하여 재조합 MSTN prodomains(pMALc2x-poMSTNpro, pAMLc2x-sMSTNpro)에 의한 로티퍼의 생식 전 단계, 순 생식단계, 생식 후 단계, 산란, 수명, 포란, 수컷 발생률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pMALc2x-poMSTNpro와 pAMLc2x-sMSTNpro이 밀집배양에서 로티퍼의 개체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농도가 1, 2, 4 ${\mu}g/ml$에서 pMALc2x-poMSTNpro를 처리한 실험군과 0.25 ${\mu}g/ml$에서 4 ${\mu}g/ml$ 농도까지 pMALc2x-sMSTNpro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로티퍼의 생식 전 단계가 아무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짧아졌다. 밀집배양 실험에 있어 pMALc2x-poMSTNpro와 pMALc2x-sMSTNpro 모두 로티퍼의 개체 수를 증가를 유도하여, 재조합 MSTN prodomains에 의해서 로티퍼의 reprodution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재조합 MSTN prodomains이 어떠한 수용체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 진행되어야 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재조합 MSTN prodomains이 미세조류에서의 기능 및 메커니즘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로티퍼 Brachionus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Apocyclops sp.의 혼합 배양 (Combination Culture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and Copepod Apocylops sp.)

  • 정민민;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49-455
    • /
    • 1998
  • 능성어와 같은 고급해산어의 양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부화후 섭이 개시 직후의 자어의 구경이 작은 이유 때문에 현재 배양하고 있는 로티퍼 보다 소형의 먹이 생물이 요구되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이와 같은 현실적인 요구사항에 부응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먹이 생물을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S형 로티퍼B. rotundiformis와 자유 유영형의 사이 크로포이다의 코페포다 Apocyclops sp.에게 T. suecica를 먹이로 급이하면서 두종을 혼합 배양하였다. 실험조건은 수온 25${\circ}C$, 염분 22ppt, 배양수량은 50ml의 비이커에 사육수 40ml, 실험기간 16일간, 2일마다 전 개체수를 계수하면서 암흑조건하에서 배양했다. 단독 배양구의 코페포다 Apocyclops는 실험기간 동안에 계속 대수증식을 하여 평균 최고 밀도는 12개체/ml에 달하였다. 더욱이 코페포다 Apocyclops의 증식은 코페포다 Apocyclops 단독 배양의 경우보다도 로티퍼 b. rotundiformis 와 혼합 배양했을때가 탁월한 증식을 보였다(최고 밀도는 20.15${\pm}$4.45개체/ml). 특히 로티퍼와 Apocyclops의 혼합 배양구에서 노플리우스의 개체수는 9.88${\pm}$1.38개체/ml로서 코페포다 Apocyclops 단독배양의 경우와 비교하면 약 2배 이상의 증식을 보였다. 그러나,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증식은 단독 배양에 비하여 코페포다 Apocyclops와 혼합 배양함으로서 그 증식이 크게 억제되었다. 먹이로서 급이한 T. suecica는 로티퍼 B. rotundiformis 단독 배양구와 코페포다 Apocyclops와의 혼합 배양구에서는 실험 개시 후 10일째부터 잔존량을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코페포다 Apocyclops는 적극적으로 T. suecica을 섭이하지는 않았다. 즉, 로티퍼와 코페포다간의 먹이 경쟁관계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소구경 어종의 종묘 생산 초기과정에서 자어의 기아현상으로 인한 초기 대량 폐사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배양중인 로티퍼(사이즈180${\mu}$m 전후) 보다 더 적은 사이즈의 먹이 생물을 검색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소구경 어종들이 요구하고 있는 먹이생물의 사이즈, 즉 150${\mu}$m 전후의 노플리우스가 생산 가능한 코페포다 Apocyclops를 로티퍼와 혼합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의 먹이생물을 혼합배양하여 사육 대상 자치어에게 먹이로서 급이 가능하다면, 소구경 어종이 요구하는 사이즈의 문제는 극복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이즈 280${\mu}$m 전후의 대형 로티퍼(B. plicatilis)와 부화직후의 알테미아 유생(사이즈 950${\mu}$m)을 사용하고 있는 현재의 먹이 생물 급이 계열에서 요구되는 중간 사이즈 (사이즈300-500${\mu}$m 전후) 먹이생물의 공급도 해결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rachionus rotundiformis (rotifera)와 Tigriopus japonicus(copepoda; harpacticoida)의 혼합배양에 있어서 광주기 변화가 두 동물먹이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toperiod Exchanges on the Growth of two Common Live Food Organisms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and Harpacticoida Copepoda, Tigriopus japonicus) in the Combination Cultures)

  • 정민민;문태석;위종환;지영주;민광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8-172
    • /
    • 2007
  • 해산어의 종묘생산 과정에서 로티퍼 B.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T. japonicus는 매우 대표적인 동물먹이생물이다. 그리고 이 두 종의 혼합배양 방법은 대량배양과 안정배양을 목적으로 하였을 때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로티퍼 B.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T. japonicus의 혼합 배양 과정에서 미칠 수 있는 배양조건으로서 광주기가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로티퍼 B.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T. japonicus의 혼합 배양에서는 배양 환경 조건 중 광주기 조건에 따라서 혼합배양수조내 로티퍼와 코페포다의 증식 양상이 매우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로티퍼의 증식율을 비교하면 반일 광주기 조건의 최고 밀도에 비하여 전일 광주기 조건하에서 로티퍼의 최고 밀도는 200% 이상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코페포다 T. japonicus의 증식은 12L:12D<24L:0D<0L:24D의 순으로 전일 암주기 조건의 광주기 조건하에서 가장 높은 증식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코페포다의 증식과정을 각 발생 단계별로(nauplii, copepodites 그리고 female carrying eggs) 계수한 결과, 세 가지 광주기 조건별로 각 발생단계별(nauplius, copepodid 그리고 female carrying eggs)의 증식 양상은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