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pha})P$

검색결과 1,568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Prunetin on TNF-${\alpha}$-Induced MUC5AC Mucin Gene Expression, Production, Degradation of $I{\kappa}B$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 Ryu, Jiho;Lee, Hyun Jae;Park, Su Hyun;Sikder, Md. Asaduzzaman;Kim, Ju-Ock;Hong, Jang-Hee;Seok, Jeong Ho;Lee, Choong Ja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5호
    • /
    • pp.205-209
    • /
    • 2013
  • Background: We investigated whether prunetin significantly affect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induced MUC5AC mucin gene expression, production, inhibitory kappa B ($I{\kappa}B$) degradation and nuclear factor kappa B (NF-kB) p65 translocation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Methods: Confluent NCI-H292 cells were pretreated with prunetin for 30 minutes and then stimulated with TNF-${\alpha}$ for 24 hours or the indicated periods. MUC5AC mucin gene expression and mucin protein production were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The effect of prunetin on TNF-${\alpha}$-induced degradation of $I{\kappa}B$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was investig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We found that incubation of NCI-H292 cells with prunetin significantly inhibited mucin production and down-regulated the MUC5AC gene expression induced by TNF-${\alpha}$. Prunetin inhibited TNF-${\alpha}$-induced degradation of $I{\kappa}B$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prunetin inhibits the NF-${\kappa}B$ signaling pathway, which may explain its role in the inhibition of MUC5AC mucin gene expression and production regulated by the NF-${\kappa}B$ signaling pathway.

POSITIVE SOLUTION FOR A CLASS OF NONLOCAL ELLIPTIC SYSTEM WITH MULTIPLE PARAMETERS AND SINGULAR WEIGHTS

  • AFROUZI, G.A.;ZAHMATKESH, H.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5권1_2호
    • /
    • pp.121-130
    • /
    • 2017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existence of positive solution for the following nonlinear elliptic system $$\{-M_1(\int_{\Omega}{\mid}x{\mid}^{-ap}{\mid}{\nabla}u{\mid}^pdx)div({\mid}x{\mid}^{-ap}{\mid}{\nabla}u{\mid}^{p-2}{\nabla}u)\\{\hfill{120}}={\mid}x{\mid}^{-(a+1)p+c_1}\({\alpha}_1A_1(x)f(v)+{\beta}_1B_1(x)h(u)\),\;x{\in}{\Omega},\\-M_2(\int_{\Omega}{\mid}x{\mid}^{-bq}{\mid}{\nabla}v{\mid}^qdx)div({\mid}x{\mid}^{-bq}{\mid}{\nabla}v{\mid}^{q-2}{\nabla}v)\\{\hfill{120}}={\mid}x{\mid}^{-(b+1)q+c_2}\({\alpha}_2A_2(x)g(u)+{\beta}_2B_2(x)k(v)\),\;x{\in}{\Omega},\\{u=v=0,\;x{\in}{\partial}{\Omega},$$ where ${\Omega}$ is a bounded smooth domain of ${\mathbb{R}}^N$ with $0{\in}{\Omega}$, 1 < p, q < N, $0{\leq}a$ < $\frac{N-p}{p}$, $0{\leq}b$ < $\frac{N-q}{q}$ and ${\alpha}_i,{\beta}_i,c_i$ are positive parameters. Here $M_i,A_i,B_i,f,g,h,k$ are continuous functions and we discuss the existence of positive solution when they satisfy certain additional conditions. Our approach is based on the sub and super solutions method.

살충성 $O,O-Diethyl-{\alpha}-cyanobenzylideneamino-oxyphosphorothioate\;(Volaton^{\circledR})$의 가수분해 반응메카니즘 (Kinetics and Mechanism of Hydrolysis of Insecticidal $O,O-diethyl-{\alpha}-cyanobenzylideneamino-oxyphosphorothiate\;(Volaton^{\circledR})$)

  • 성낙도;김현이;박천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124-129
    • /
    • 1994
  • 25%(v/v) dioxane 수용액의 넓은 pH범위에서 살충성 $O,O-Diethyl-{\alpha}-cyanobenzylideneamino-oxyphosphorothioate(Volaton^{\circledR})$의 가수분해 반응은 용매효과 (pH 6.0; m=0.21, n=1.55, pH 12.0; m=0.42, n=3.14 및 $|m|{\ll}|l|$), 반응 속도식, 일반염기 촉매효과, 가수분해 반응생성물 분석 및 분자 궤도(MO) 함수 계산 등의 결과로부터 trigonal bipyramidal$(sp^3d^2)$중간체를 경유하여 pH 7.0 이하에서는 $A_{AC}2$형 반응, 그리고 pH 9.0 이상에서는 $B_{AC}2$형 반응이 일어난다. Volaton의 가수분해 반응성은 입체 장애보다는 양하전 크기$(p{\gg}{\alpha}C_2)$에 의존적이며 $pH\;7.0{\sim}9.0$ 사이에서는 이들 두 반응이 경쟁적으로 일어나는 반응 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 PDF

종양괴사인자-α -308과 -238 promoter 다형성과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간의 연관성 결여 (Lack of Association between Tumor Necrosis Factor-α -308 and -238 Promoter Polymorphisms and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 장원희;양영일;이연재;전진호;예성수;석대현;김형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07-1211
    • /
    • 2008
  • Pro-inflammatory cytokine인 종양괴사인자-$\alpha$ (TNF-$\alpha$)는 B형 간염바이러스(HBV)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의 중요한 매개인자이다. TNF-$\alpha$의 생산은 전사수준에서 주로 조절되며, TNF-$\alpha$ promoter 다형성은 TNF-$\alpha$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TNF-$\alpha$ promoter 다형성이 만성 HBV 감염의 병태생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TNF-$\alpha$ promoter 다형성과 만성 HBV 감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만성 HBV 감염환자 181명, HBV 감염이 자연적으로 치유된 201명, 그리고 건강한 대조군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NF-$\alpha$ promoter의 -308G/A와 -238G/A 다형성은 PCR-RFLP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환자군에서 -308과 -238 유전자형의 분포는 자연치유군 및 건강대조군에서의 분포와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그룹 간에 allele frequency도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에서 TNF-$\alpha$ -308과 -238 promoter 다형성은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발생과 연관성이 없음을 시사한다.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돌연변이원성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Ethanol Elrtract from Cordyceps militaris)

  • 김미남;오상화;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9-117
    • /
    • 2001
  •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L. ex fr.) Link)의 수소전자공여능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살펴본 결과 부탄을 분획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수소전자공여능이 다른 시료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인 B($\alpha$)P, Trp-P-1에 대해서 유의성 있는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보였다. MNNG(0.4 $\mu\textrm{g}$/plate)의 경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는 시료농도 200 $\mu\textrm{g}$/plate에서 에탄을 추출물이 78.1%인데 반해 부탄을, 물 분획물에서는 각각 90.4%와 87.6%로 매우 높은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4NQO(0.15 $\mu\textrm{g}$/plate)에 대한 S. typhymurium TA98 균주의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80.4%였고, TA100 균주에서는 부탄을 분획물이 88.6%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간접변이원의 경우 B($\alpha$)P(10 $\mu\textrm{g}$/plate)을 사용한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와 부탄을 분획물은 시료농도 200 $\mu\textrm{g}$/plate에서 85% 이상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Trp-P-1(0.15 $\mu\textrm{g}$/plate)에서는 TA98 균주의 경우 200 $\mu\textrm{g}$/plate 농도에서 핵산 분획물과 부탄을 분획물이 각각 90.2%, 87.6%로 높은 억제율을 보여주었고, TA100 균주에 대해서는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90.1%로 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농도에서 부탄올과 물 분획물에서 각각 87.0%와 75.4%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번데기동충하초 에탄을 추출물 및 분획물은 시료 농도증가에 따라 TA98과 TA100 균주 모두에서 각 변이원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도 증가하였다.

  • PDF

사과 Polyphenol Oxidase에 의한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Browning Products Reacted with Polyphenol Oxidase Extracted from Apple)

  • 백창원;함승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25-631
    • /
    • 1990
  • 사과로부터 추출한 산화효소와 5종의 polyphenol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진 사과효소 갈변반응 생성물(AEBRP)들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는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mitomycin C(MMC), 4-nitroquinoline-1-oxide(4NQO), benzo(${\alpha}$)pyrene(B(${\alpha}$)P) 그리고 3-amino-1,4-dimethyl-5H-pyrido(4,3-b) indole(Trp-P-1)에 대한 다섯 종류의 사과효소 갈변반응 생성물들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Bacillus subtilis Hl7과 M45 두 균주를 이용하는 spore rec-assay에서 homocate-chol-AEBRP와 hydroquinone-AEBRP는 농도증가에 따라 MMC와 MNNG에 대하여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 두 균주를 이용한 Antimutagenicity test에서는 hydroxyhydro-quinone-AEBRP와 pyrogallol-AEBRP는 S-9mix 첨가시 두 균주에서 Trp-P-1과 B(${\alpha}$)P에 대하여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AEBRP들은 MNNG로 유도된 TA98주에서 $50%{\sim}8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hydroxy-hydroquinone-AEBRP를 제외한 네 종류의 AEBRP들은 TA100 균주에서 약 94%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4NQO에 대한 다섯 종류의 AEBRP들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일반적으로 약한 편이었으며, 특히 homocatechol-AEBRP는 TA98 균주에서 48%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TA100 균주에서는 homocatechol-AEBRP와 hydroquinone-AEBRP가 46%에서 58%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아가리쿠스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ity Effects of Agaricus blazei Murill Extracts)

  • 지정환;김미남;최근표;정차권;함승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71-1378
    • /
    • 2000
  • S.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에서는 아가리쿠스버섯 메탄올 추출물 모두 시료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가리쿠스버섯 메탄올 추출물$(200\;{\mu}g/plate)$ 중 TA98 균주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확인한 결과 직접변이원인 4NQO에 대해 92.4% 그리고 간접변이원인 Trp-P-1과 $B({\alpha})P$에 대해 각각 81.9%와 83.4%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TA100 균주에서 4NQO는 94.7%의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MNNG, Trp-P-1 및 $B({\alpha})P$은 각각 87.3%, 89.9% 그리고 92.3%의 억제율을 보였다. 각각의 변이원 물질에 대한 아가리쿠스버섯 분획물 $(200\;{\mu}g/plate)$의 항돌연변이 효과에서는 MNNG와 $B({\alpha})P$에 대해서는 분획물 모두가 80% 이상의 높은 억제율을 보였고, 4NQO는 TA98, TA100 두 균주 모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95% 이상의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Trp-P-1에서는 TA98 균주에서 물층을 제외한 분획물이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TA100 균주에 대해서도 분획물 모두가 80% 이상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각종 암세포에 대한 아가리쿠스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저해효과는 시료 1 mg/mL 투여시 MCF7 82.9%, A549 86.5%, HT1080 65.5%, Hep3B 84.3%, HeLa 91.9%, KAROIII 88.7% 그리고 K562세포에서는 8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인간 정상 간세포 WRL68에 대한 시료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효과는 1 mg/mL의 시료를 첨가시 50% 이하의 생육억제율을 나타냄으로써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아가리쿠스버섯 분획물들에 대한 억제효과에서는 유방암 세포인 MCF7이 시료를 1 mg/mL 첨가하였을때 물층과 부탄올층을 제외한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해 각각의 암세포에 대해서도 1 mg/mL 첨가시 80% 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물 분획물은 암세포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YEp 13 vector를 이용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의 cloning II.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의 발현 (Cloning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 using YEp 13 as a vector II. Expression of cloned amylase gen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관필;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9-212
    • /
    • 1986
  • YEp 13 plasmid에 B. amyloliquefaciens의 $\alpha$-amylase gene을 cloning시켜서 얻은 hybrid plasmid를 E. coli C 600으로 형질전환시켜서 amylase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E. coli C 600균주를 plasmid추출하여 전기영동해 본 결과 plasmid가 매우 불안정하였으며, 그중 가장 단순한 plasmid band를 지니고 있으며 amylase활성이 강한 E. coli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의 균체내에 있는 2개의 plasmid DNA를 분리하여 각각의 plasmid를 pTG 17-1, pTG 17-2로 명명하였으며 S. cerevisiae MC 16에서 형질전환이 가능한 pTG 17-2 DNA를 제한효소 EcoRI과 Pst I으로 restriction한 결과 EcoRI으로 처리한 경우는 7.3, 4.8, 2.4 kb인 3개의 분획으로 나타났으며 Pst I으로 처리한 경우는 linear로 14.5kb임을 알았으며 이로써 pTG 17-2 plasmid의 size가 약 14kb임을 알았다. 또한 E.coli균체내에서의 ampicillin sensitive로써 이 plasmid의 ampicillin resistance site가 결실되었음을 알았고 효모의 형진전환체로 부터의 $\alpha$-amylase는 균체외로 분비되지 않았고 효모균체내의 $\alpha$-amylase는 Somogyi-Nelson방법과 Agar diffusion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 PDF

INEQUALITIES FOR THE ANGULAR DERIVATIVES OF CERTAIN CLASSES OF HOLOMORPHIC FUNCTIONS IN THE UNIT DISC

  • Ornek, Bulent Nafi
    • 대한수학회보
    • /
    • 제53권2호
    • /
    • pp.325-334
    • /
    • 2016
  • In this paper, a boundary version of the Schwarz lemma is investigated. We take into consideration a function $f(z)=z+c_{p+1}z^{p+1}+c_{p+2}z^{p+2}+{\cdots}$ holomorphic in the unit disc and $\|\frac{f(z)}{{\lambda}f(z)+(1-{\lambda})z}-{\alpha}\|$ < ${\alpha}$ for ${\mid}z{\mid}$ < 1, where $\frac{1}{2}$ < ${\alpha}$ ${\leq}{\frac{1}{1+{\lambda}}}$, $0{\leq}{\lambda}$ < 1. If we know the second and the third coefficient in the expansion of the function $f(z)=z+c_{p+1}z^{p+1}+c_{p+2}z^{p+2}+{\cdots}$, then we can obtain more general results on the angular derivatives of certain holomorphic function on the unit disc at boundary by taking into account $c_{p+1}$, $c_{p+2}$ and zeros of f(z) - z. We obtain a sharp lower bound of ${\mid}f^{\prime}(b){\mid}$ at the point b, where ${\mid}b{\mid}=1$.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Human Procarboxypeptidase B의 과발현 분비생산과 그 특성 (Secretory Over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Procarboxypeptidase B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미정;김미진;이재형;김연희;서진호;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9-54
    • /
    • 2008
  • 인간 췌장 유래 pro-carboxypeptidase B(CPB) 유전자를 클로닝한 후 GAL10 promoter 하류에 Saccharomyces cerevisiae mating factor alpha-1 secretion signal $(MF{\alpha}-1)$과 연결하여 $MF{\alpha}1$-pro-CPB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plasmid $pY{\alpha}$-hproCPB(7.72 kb)를 S. cerevisiae 2805에 형질 전환시켰다. 재조합 인간 proCPB(hproCPB)는 galactose 유도로 S. cerevisiae에서 성공적으로 발현되었고, 배양상등액으로 분비되었다. SDS-PAGE와 western blot 분석에 의해, 정제된 hproCPB 단백질이 약 45.9kDa임을 확인하였다 S. cerevisiae $2805/pY{\alpha}$-hproCPB의 발효조 회분배양 시 trypsin 처리에 의해 pro영역을 제거한 후 hCPB의 세포외 활성은 60시간째에 10.16 unit/mL이었다. 또한 재조합 hCPB의 Km 값은 약 0.43 mM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