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beta}$

검색결과 10,349건 처리시간 0.041초

등숙 중인 보리 종실중 (1-3, 1-4)-$\beta$-Glucan과 전분 함량 및 이들의 가수분해효소 활성 ((1-3, 1-4)-$\beta$-Glucan and Starch Contents and Their Hydrolytic Enzyme Activities in Developing Barley Kernels)

  • 윤성중;박상래;유남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03-409
    • /
    • 1997
  • 취반용 보리 종실 내 (1-3, 1-4)-$\beta$-glucan의 축적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화 후 일정 간격으로 보리 종실을 채취하여 (1-3, 1-4)-$\beta$-glucan 함량, (1-3, 1-4)-$\beta$-glucanase 활성 및 전분함량과 $\alpha$-amyl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beta$-glucan 함량은 등숙 초기에 매우 낮았으나 개화 후 15~25일 사이에 급속히 증가하였고 개화 후 30일경에는 종실 건물중의 3.5~4%로 증가하였다. (1-3, 1-4)-$\beta$-glucanase 활성은 등숙 초기에 높았으며 등숙이 진전될수록 감소하였다. $\beta$-glucan 함량과 (1-3, 1-4)-$\beta$-glucanase 활성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나 등숙 종실 중의(1-3, 1-4)-$\beta$-glucanase 활성이 매우 낮은 수준이므로 $\beta$-glucan 축적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분함량은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개화 후 10~20일에 가장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포도당함량은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등숙 초기와 중기에 감소 정도가 매우 컸다. $\alpha$-amylase의 활성도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감소 정도는 등숙 초기와 중기에 매우 컸다.

  • PDF

정상 위 조직에서 thymosin β4와 CD133의 발현 양상 분석 (Analysis of Expression Patterns of Thymosin β4 and CD133 in Normal Stomach)

  • 옥미선;차희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415-1419
    • /
    • 2012
  • Thymosin ${\beta}4$ 는 대장암에서 암 줄기세포 마커인 CD133을 지닌 세포에서 지니지 않은 세포에 비해 강하게 발현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hymosin ${\beta}4$와 줄기세포 마커인 CD133의 상관관계를 정상 위 조직에서 관찰하였다. Thymosin ${\beta}4$와 CD133의 발현 양상은 tissue microarray 조직상에서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으며 thymosin ${\beta}4$와 CD133의 존재 위치는 면역형광 염색법 및 confocal microscope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Thymosin ${\beta}4$와 CD133은 동일한 양상으로 발현되었으며 모두 위의 선조직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면역 형광 염색법으로 두가지 단백질을 동시에 염색한 결과 두 단백질이 동일한 위치에서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thymosin ${\beta}4$와 CD133은 정상위의 선조직에서 발현되며 두 단백질의 발현 양상 및 위치가 동일하여 서로 긴밀한 상호작용을 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6${\beta}$-Bromopenicillanate로부터 6-(Carboxymethylthio) penicillanic Acid 유도체의 합성 (Synthesis of 6-(Carboxymethylthio) penicillanic Acid Derivatives from 6${\beta}$-Bromopenicillanates)

  • 최원식;이영행;이채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75-579
    • /
    • 1991
  • 6${\beta}$-bromopenicillanic acid(4a)와 p-nitrobenzylbromide, 3-bromophthalide, chloromethylpivalate 및 1-chlorodiethylcarbonate의 반응으로 6${\beta}$-bromopenicillanates(4b~4e)을 합성하였으며, 6${\beta}$-bromopenicillanic acid(4a)와 그의 ester(4b~4e)를 thioglycolic acid와 친핵성 치환반응시켜 새로운 $\beta$-lactam계 화합물인 6-(carboxymethylthio)penicillanic acid(5a)와 그의 ester(5b~5e)를 얻었다.

  • PDF

보리 호분층에서 $(1-3)-{\beta}-glucanase{\;}$${\;}(1-3,1-4)-{\beta}-glucanase$${\;}GA_3$에 대한 반응 (Response of ${\beta}-Glucanases{\;}to{\;}GA_3$ in Barley Aleurone Layers)

  • 윤성일;정일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50-254
    • /
    • 1995
  • 분리한 보리호분층을 이용하여 $(1-3)-{\beta}-glu-canase$$(1-3,1-4)-{\beta}-glucanase$${\;}GA_3$에 대한 반응특성을 조사하였다 $GA_3$ 처리에 의해 호분충과 배양액 내의 단백질 함량, $(1-3)-{\beta}-glucanase{\;}$${\;}(1-3,1-4)-{\beta}-glucanase$ 활성 등이 모두 증가하였다. 그러나 $GA_3$ 처리에 의한 효소활성 및 효소분비 증가 정도는 효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1-3,1-4)-{\beta}-glucanase$${\;}(1-3)-{\beta}-glucanase$보다 효소활성 증가 정도와 분비증가 정도 모두 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아초기 $(1-3,1-4)-{\beta}-glucanase$의 중요한 생리작용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Beta-4 Integrin 유전자 주입, 클로닝과 편평상피암에서의 Beta-4 Integrin 기능에 관한 연구 (Beta-4 Integrin Transfection, Cloning and Functional Assay in Squamous Cell Carcinoma)

  • 김영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9-179
    • /
    • 1997
  • 서론 : Laminin의 수용기로 알려진 Integrin $\alpha6\beta4$의 세포내 표현 정도는 편평상피암을 위시한 여러 악성종양의 전이능력 및 예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이 Integrin은 Laminin과 같은 세포와 리간드와 결합하면 상피세포의 기저막 지주 구조물인 hemidesmosome의 세포체질 요소(cytoskeletal element)와 연관되어 그 결과 세포의 기저막과 세포내 케라틴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Integrin $\alpha6\beta4$는 구조적으로 다른 많은 integrin들과 달리 $\beta$4의 세포질내 영역(cytoplasmic domain)이 특징적으로 크다. 이 세포질내 영역 $\beta$4 integrin의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아마 세포 성장의 신호전달 및 악성종양의 특징인 침윤 전이에 관련할 것으로 보아지고 있다. 재료 및 방법: 저자들은 우선 $\beta$4 integrin의 wild type s-DNA와 $\beta$4 세포질내 영역(cytoplasmic domain) 및 $\beta$4의 tyrosine 인산화 반응 부위가 각각 결손된 c-DNA를 PCR을 통하여 합성하여 pRc/CMV 벡터에 삽입한 후 원래 $\beta$4 integrin의 발현이 결집된 인간 방광암 세포에 Calcium phosphate precipitation 방법으로 주입(transfection)시켜 형질변환된 세포를 면역형광법, Flow cytometry 및 Immunoprecipitation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wild type $\beta$4-full length(Clone FL), truncated $\beta$4-cytoplasmic domain(C1one CD), 및 mutated $\beta$4-tyrosine phosphorylation site (Clone M)을 얻었다. 암 세포의 부착 및 침투 능력의 기능적 연구로 모노 클로날 항체와 fibronectin, laminin, Matrigel을 단백질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결과 비교를 위하여 pRc/CMV 벡터만 주입시켰던 클로운과 방광암 세포주를 $\beta$4 integrin 음성 대조군으로 또한 이 Integrin의 높은 발현을 보이는 두경부 편평상피암 세포주를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결과 : 세포부착능력에 있어서 온전한 $\beta$4 cytoplasmic domain이 존재하는 클로운이 laminin에 강한 부착능력을 보였으나 fibronectin의 부착정도는 $\beta$4 integrin의 표현정도와 관계없이 모든 클로운에서 비슷하였다. Matrigel을 투과하는 암세포 침윤 능력에서는 $\beta$4 integrin의 표현이 존재하는 클로운들이 투과 능력이 높았으나 세포외 리간드가 없는 control membrane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투과능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유전자 주입(transfection) 방법으로 integrin의 다양한 클로운의 합성이 가능하여 이 Integrin의 암 세포의 부착 및 침투 능력에서의 기능을 규명 할 수 있게 한다. $\beta$4 integrin은 편평상피 암세포의 부착에 있어서 세포외 리간드 laminin과 특이 결합하여 부착 능력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편평상피 암세포의 침투에 있어서는 $\beta$4 integrin의 표현이 침투 능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나 이때에는 laminin과 같은 리간드와의 특이 결합에 의존하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흑삼릉 근경의 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Rhizomes of Sparganium stoloniferum)

  • 신수용;도상학;신국현
    • 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4-339
    • /
    • 2000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the rhizomes of Sparganium stoloniferum and to supply the preliminary data for the chemotaxonomy and the medicinal application. Extraction and systematic fractionation of the rhizomes by column chromatography led to the isolation of six compounds from ethylacetate and n-butanol soluble fractions. Elucidation of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by physicochemical and apectr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compound I,II ,III,IV,V and Ⅵ were $\beta$-sitosterol, $\beta$-sitosterol-3-$\beta$-D-glucuronopyranoside, 3- (4-hydroxyphenyl)-2-propenoic acid, sorbose, 1-O-$\beta$-D-glucopyranosyl-(2S, 3R, 4E, 8Z)-2-[(2(R)-hydroxyeicosanoyl)amido]-4,8-octadecadiene-1,3-diol, and $\beta$-sitosterol-3-O-$\beta$-D-glucopyranoside, respectively.

  • PDF

Butyrylcholinesterase Inhibitory Guaianolides from Amberboa ramosa

  • Khan Sher Bahadar;Haq Azhar-ul;Perveen Shagufta;Afza Nighat;Malik Abdul;Nawaz Sarfraz Ahmad;Shah Muhammad Raza;Choudhary Muhammad lqba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72-176
    • /
    • 2005
  •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whole plant of Amberboa ramosa led to the isolation of six sesquiterpene lactones which could be identified as $8{\alpha}$-hydroxy-$11{\beta}$-methyl-$1{\alpha}H,\;5{\alpha}H,\;6{\beta}H,\;7{\alpha}H,\;11{\alpha}H-guai-10(14)$, 4(15)-dien-6, 12-olide(2), $3{\beta},\;8{\alpha}-dihydroxy-11{\alpha}-methyl-1{\alpha}H,\;5{\alpha}H,\;6{\beta}H,\;7{\alpha}H,\;11{\beta}H-guai-10(14)$, 4(15)-dien-6, 12-olide (2), $3{\beta},\;4{\alpha},\;8{\alpha}-trihydroxy-4{\beta}(hydroxymethyl)-1{\alpha}H,\;5{\alpha}H,\;6{\beta}H,\;7{\alpha}H-guai-10(14)$, 11(13)-dien-6, 12-olide (3), $3{\beta},\;4{\alpha},\;8{\alpha}-trihydroxy-4{\beta}-(chloromethyl)-1{\alpha}H,\;5{\alpha}H,\;6{\beta}H,\;7{\alpha}H-guai-10(14)$, 11(13)-dien-6, 12-olide(4), $3{\beta},\;4{\alpha},\;dihydroxy-4{\beta}-(hydroxymethyl)-1{\alpha}H,\;5{\alpha}H,\;6{\beta}H,\;7{\alpha}H-guai-10(14)$, 11(13)-dien-6, 12-olide(5), $3{\beta},\;4{\alpha}-dihydroxy-4{\beta}-(chloromethyl)-8{\alpha}-(4-hydroxymethacrylate)-1{\alpha}H,\;5{\alpha}H,\;6{\beta}H,\;7{\alpha}H-guai-10(14)$, 11(13)-dien-6, 12-olide (6) by spectroscopic methods. All of them showed inhibitory potential against butyrylcholinesterase.

적색효모 세포벽용해효소의 기질특이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ubstrate Specificities of the Enzymes Lytic to the Cell Wall of Red Yeasts)

  • 이태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5-252
    • /
    • 1982
  • 적색효모 세포벽 용해효소의 기질특이성을 밝히기 위해 기질로 사용가능한 다당을 screening하여 Rh.glutinis IFO 0695가 생산하는 mannan을 얻었다. 이 mannan의 구조는 $\beta$-1,3과 $\beta$-1,4 결합이 교대로 연결된 직쇄상의, 중합도 약 650인 수용성의 다당으로 밝혀졌다. 이 다당을 기질로하여 양 효소의 기질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Bacillus생산효소는 $\beta$-1. 3, $\beta$-1. 4 mannan을 4당 또는 6당 단위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그 절단점은 $\beta$-1, 4결합 이었다. 이 $\beta$-1,4 결합을 가수분해하기 위해서는 인접 결합이 $\beta$-1,3결합이어야만 하는 새로운 type의 $\beta$-1,4 mannauase이었다. 한편, Penicillium생산효소는 $\beta$-1, 3, $\beta$-1, 4 mannan의 $\beta$-1, 3결합을 2당 또는 4당의 단위로 가수분해하여 최종적으로는 2당을 생성하는 $\beta$-1, 3 mannanase의 일종이었다.

  • PDF

EpH4 세포에서 TGF-β에 의한 세포사멸시 Smad 단백질에 의존한 Gadd45b 유전자의 발현 변화 (Smad-dependent Expression of Gadd45b Gene during TGF-β-induced Apoptosis in EpH4 Cells.)

  • 조희준;유지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1-466
    • /
    • 2008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 과정은 정상 조직에서 손상 받은 조직이나 비정상 적인 조직을 제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Gadd45b는 p38 kinase를 활성화시킴으로 $TGF-{\bet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 과정을 매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TGF-{\beta}$에 의해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EpH4 세포에서 Gadd45b 유전자의 발현이 $TGF-{\beta}$에 의해 촉진됨을 보여주었다. 어떠한 기작으로 $TGF-{\beta}$에 의해 Gadd45b 유전자의 발현이 촉진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Gadd45g 유전자의 5'-flanking region을 cloning하였으며, EpH4 세포에서 $TGF-{\beta}$에 의해 그 promoter activity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deletion mutants를 제조하여 promoter activity를 조사한 결과 전사 개시점으로부터 220 bp upstream 부위 에 promoter activity에 필수적인 sequence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TGF-{\beta}$에 의한 Gadd45b 유전자의 promoter activity에 Smad2, Smad3, 그리고 Smad4가 중요한 기능을 담당함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ras 유전자가 도입되어 $TGF-{\beta}$에 의한 세포사멸이 억제되어있는 EpRas 세포에서 $TGF-{\beta}$에 의한 Gadd45b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EpRas 세포에서 $TGF-{\beta}$에 의한 Gadd45b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Gadd45b 유전자가 EpH4 세포에서 $TGF-{\beta}$에 의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Aspergillus oryzae에 의한 $\beta$-Mannanase 생산배지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for $\beta$-Mannanase Production by Aspergillus oryzae)

  • 오덕근;김종화이태규
    • KSBB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65-571
    • /
    • 1996
  • Aspergillus oryzae A Tee 2114를 사용하여 $\beta$-mannanase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배지성분의 최적 화를 수행하였다. 탄소원인 locust bean gum의 농 도를 달리하여 발효를 수행하였다. Locust bean gum의 농도가 20 g/L 이상일 때는 초기의 점도가 높아 혼합이 거의 되지 않아 초기에 $\beta$-mannanase 의 생산이 지 연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Locust bean g gum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beta$-mannanase의 역가와 균체농도가 비례척으로 증가하였다. Locust bean gum 10 g/L 배지에서 여러 가지 질소원이 $\beta$-mann anas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B-man n nanase의 역가는 무기질소원 중에서는 $(NH-4)_2SO_4$가 좋았으며 유기질소원 중에서는 malt extract가 가장 좋았다. 여러 가지 무기엽의 최적화를 수행한 결과 KH,PO.가 $\beta$-mannanase의 생산에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배지최적화 결과 최적배지 로 locust bean gum 10 giLt malt extract 3 g/L, $(NH-4)_2SO_4 2 g/L, KH_2PO_4$ 10 g/L이 결정되었으며 이때 $\beta$mannanase의 역가는 거의 6 unit/mL에 접 근하였다. 최적배지를 사용하여 발효조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발효조의 흔합효과로 배양초기에 나타 나는 $\beta$-mannanase 생산 지 연현상을 감소시 킬 수 있었고 배양시간도 단축할 수 있었다. 27시간 배양 한 후 $\beta$mannanase의 역가 9.7 unit/mL와 비 $\beta$-mannanase의 역가 1.9 unit/mg-cell-을- 얻었다. 이 때, 생산성은 0.36 unit/mL. h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