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7{\beta}$- estradiol

검색결과 509건 처리시간 0.032초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라디올 $17{\beta}$에 의한 Long-Chain Acyl-CoA Synthetase 4의 발현 조절 (Regulation of Long-Chain Acyl-CoA Synthetase 4 Expression with Progesterone and Estradiol-$17{\beta}$)

  • 박효영;강만종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15-219
    • /
    • 2011
  • Acyl-CoA synthetase 4(ACSL4) is an arachidonate-preferring enzyme abundant in steroidogenic tissues and postulated to modulate eicosanoid production. The human and mouse ACSL4 gene are mapped on chromosome X. The female mice heterozygous for ACSL4 deficiency became pregnant less frequent1y and produced small litters, with 40% of embryos surviving gest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gulation of ACS4 by estradiol-$17{\beta}$ and progesterone (P4) in the human endometrial cancer cell line HTB-1B. ACSL4 mRNA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lso, expression of ACSL4 gene was up-regulated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HTB-1B cells. However, combined treatment with progesterone and estradiol-$17{\beta}$ modestly decreased the levels of ACS4L mRNA as compared with the estradiol-$17{\beta}$ and progesterone respectively.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SL4 gene is regulated by progesterone and estradiol-$17{\beta}$ in the HTB-1B cells.

미성숙 쥐 자궁에서 Tamoxifen의 Antiestrogen 효과에 관한 연구 : III. DNA 함량, 단백질 함량 및 자궁의 중량에 관하여 (Study on Antiestrogenic Effects of Tamoxifen in Immature Rat Uterus: III. Effects on Content of DNA and Protein and Uterine Wet Weight)

  • 이효종;조충호;박무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7
    • /
    • 1987
  • The present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antiestrogenic effects of tamoxifen in immature rat uterus. The content of DNA and protein and uterine wet weight were measured after the injections of $5{\mu}g$ of estradiol-$17{\beta}$, $50{\mu}g$ of tamoxifen, a combination of both, or vehicle only subcutaneousl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DNA content in uterus was increased at 48 hours after estradiol-$17{\beta}$ or tamoxifen injection (p<0.01). 2. The increament rate of uterine DNA content was significantly (p<0.01) lower in tamoxifen treated group than that in estradiol-$17{\beta}$ treated group. 3. Antiestrogenic effect of tamoxifen on protein content in uterus was apparent at 72 hours after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both drugs. 4. The uterine wet weight was started to increase at three hours after the injection of estradiol-$17{\beta}$ or tamoxifen. 5. While estradiol-$17{\beta}$ increased steadily uterine wet weight up to 138.5mg at 72 hours after the injection, but tamoxifen failed to increase it after 48 hours. Tamoxifen inhibited significantly (p<0.01) the effect of estradiol-$17{\beta}$ on it thereafter.

  • PDF

Morphological Changes in Adipose and Liver Tissues by 17$\beta$-estradiol in Female Ovariectomized C57BL/6J Mice

  • Jeong, Sun-Hyo;Choi, Hyung-Kyu;Yoon, Mi-Ch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4
    • /
    • 2007
  • To determine whether 17$\beta$-estradiol induces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adipose and liver tissues, we measured the effects of 17$\beta$-estradiol on adipose tissue mass, adipocyte histology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female ovariectomized (OVX) C57BL/6J mice. Compared to vehicle-treated control mice, 17$\beta$-estradiol-treated mice decreased adipose tissue mass and the size of adipocytes, and concomit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adipocyte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administration of 17$\beta$-estradiol resulted in reduc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strogen may regulate adipocyte development and lipid metabolism in female OVX C57BL/6J mice.

  • PDF

$17{\beta}$-estradiol Represses White Adipose Tissue Metabolism by Inhibiting $PPAR{\gamma}$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Female Ovariectomized Mice

  • Yoon, Mi-Chung;Jeong, Sun-Hy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1-17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creased adiposity is prevented by estrogen replacement in female ovariectomized (OVX) C57BL/6J mice, an animal model of human menopause and whether these metabolic changes reflect the inhibitory action of estrogen o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regulated gene expression. Treatment of $17{\beta}$-estradiol for the last one week of the experiment decreased high fat diet-induced body weight gain and white adipose tissue mass compared to OVX control mice.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17{\beta}$-estradiol to mice decreased the size of adipocytes in parametrial adipose tissue versus OVX control mice. In addition, $17{\beta}$-estradiol reduced the adipose expression of $PPAR{\gamma}$ as well as $PPAR{\gamma}$ target genes such as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17{\beta}$-estradiol may inhibit adiposity through reducing the $PPAR{\gamma}$ activities in female OVX mice.

  • PDF

치주인대세포 배양에서 estrogen이 growth hormone receptor의 발현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strogen on growth hormone receptor express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line)

  • 홍성규;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1-452
    • /
    • 2000
  • 본 실험은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에서 에스트로겐과 growth hormone(GH)이 상호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정치료를 받고자 내원한 환자중에서 건강한 20대 여자환자들의 상하악 제1소구치를 발거하여 치근의 중간1/3부위에서 긁어모은 치주인대 조직을 배양하여 치주인대세포를 얻었다.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에 대한 $17{\beta}$-estradiol과 hGH의 효과를 평가하고, 치주인대세포에 $17{\beta}$-estradiol을 전처리한 후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에 미치는 hGH의 효과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치주인대세포에 $17{\beta}$-estradiol을 전처리 하였을 경우 치주인대세포에 서 hGH receptor치 발현 양상의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7{\beta}$-estradiol이나 humangrowth hormone의 단독처리는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종식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17{\beta}$-estradiol $10^{-12}M$로 전처리한 후 hGH를 투여한 경우 hGH의 농도에 관계없이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을 증가시킨다. 3.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에는 hGH receptor가 없으나, $17{\beta}$-estradiol $10^{-12}M$로 5시간 이상 처리하면 hGH receptor가 발현된다. 4. hGH이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에 미치는 효과는 hGH receptor의 발현과 관련이 있으며 $17{\beta}$-estradiol의 전처리가 치주인대세포에서의 hGH receptor의 발현에 기여함으로써 hGH이 치주인대세포에 작용할 수 있도륵 해준다.비, 상악의 대구치간 너비, 구개정 높이가 상관관계가 있었다.에서 치 아이동은 정상상태보다 촉진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따라 평균마찰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6. 브라켓간 거리의 변화에 대한 마찰력의 차이는 교정선의 재질에 따라 차이가 나며,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은 브라켓간 거리가 감소할 때 마찰력이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NiTi 교정선의 경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7. 브라켓내의 교정선의 이동속도에 따라 마찰력은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교정 치료동안 적정 교정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가결찰브라켓,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과 탄성모듈결찰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치료시기에 따라서 요구하는 마찰력이 다르므로 상황에 따라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군에서 $4.3\%$ 감소하였다. 7. 수술로 인한 얼굴폭의 변화는 무시할만한 것으로 판단되나 수술후 얼굴의 길이가 짧아져 상대적으로 얼굴의 폭이 넓어보일 수 있으므로 수술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 및 환자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로는 4-6세군 ($27.5\%$), 6-8세군 ($19.6\%$), 2-4세군 ($13.7\%$)이 $60\%$이상을 차지하여 초등학교 취학 전에 구순의 반흔을 제거하려 함을 알 수 있었다. 8. 비변형 교정수술시기로는 0-2세군 ($7.1\%$), 2-4세군 ($14.3\%$), 4-6세군 ($21.4\%$), 6-8세군 ($14.3\%$)으로 초등학교 취학이전이 $57.1\%$로서 최근의 조기 치료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9. 인두피판술은 평균 6세에 시행되었으며, 수술 시행 시기별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고른 분포를

  • PDF

체외에서 돼지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산에 미치는 Relaxin과 Insulin의 영향 (Effects of Relaxin and Insulin on Porcine Granulosa-lutein Cell Steroidogenesis In Vitro)

  • 이명섭;;이창규;강성근;이병천;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77
    • /
    • 2005
  • Relaxin과 insulin이 돼지 난포 과립막세포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위하여 체외에서 황체화된 과립막세포에서 prosesterone과 $17{\beta}-estradiol$의 생산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 과립막세포를 혈청 존재하에 배양접시에 부착 후 48시간 동안 체외배양하고 무혈청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Relaxin과 insulin의 용량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 (10, 100, 1,000 ng/ml)를 각각 무혈청 배지에 첨가하였다. 병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00 ng/ml relaxin과 100 ng/ml insulin을 단독 혹은 병합하여 처리하였는데 황체호르몬 (100 ng/ml)을 처리한 경우와 처리하지 않은 경우 모두를 조사, 분석하였다. 최종 배양이 끝난 배양액을 수집하여 RIA법으로 proses-terone과 $17{\beta}-estradiol$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Relaxin과 insulin은 용량이 증가될수록 progesterone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나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병합실험에서는 relaxin과 insulin 단독 또는 병합시 황체호르몬 존재 하에서 progesterone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나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relaxin과 insulin은 돼지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progesterone 분비를 증가시키지만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효과가 없었으며 병합에 의한 상승효과는 없었다. Progesterone 생산에 미치는 relaxin과 insulin의 효과는 황체호르몬의 존재에 의해 증대되었다.

폐쇄성 요로병증에서 $17{\beta}$-estradiol에 의한 신섬유화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 ($17{\beta}$-estradiol Attenuates Renal Fibrosis in Mice with Obstructive Uropathy)

  • 조민현;장희성;정경진;박권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5권2호
    • /
    • pp.125-137
    • /
    • 2011
  • 목적: 일반적으로 남자는 여자에 비해 만성 신장병의 발병이 많고 말기 신부전으로의 진행이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생쥐에서 신섬유화에 대한 성별과 성호르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일측성 완전 요관 폐쇄 7일째 암컷과 수컷 생쥐의 신장에서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의 발현을 측정한 후, 암컷 생쥐에서 난소를 제거하거나 제거 후 다시 $17{\beta}$-estradiol을 보충하여 나타나는 신섬유화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암컷 신장의 ${\alpha}$-SMA의 발현이 수컷 신장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난소 제거와 $17{\beta}$-estradiol의 보충은 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암컷 신장의 안지오텐신 II 1형 수용체의 발현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안지오텐신 II 2형 수용체의 발현은 정상 암컷과 난소 제거 후 $17{\beta}$-estradiol를 보충한 암컷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역시 유사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 여성은 폐쇄성 요로병증에서 신섬유화에 대한 저항성과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성별의 차이는 $17{\beta}$-estradiol에 의한 안지오텐신 II 2형 수용체와 iNOS의 발현 증가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rrelation of Developmental Deformity with Calcium, Phosphorus, or Estradiol-17β Levels in Reared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Juveniles

  • Kim, Ji Eun;Kim, Hyung Bae;Lee, Young Don;Baek, Hea J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4호
    • /
    • pp.391-397
    • /
    • 2017
  • Skeletal deformities are significant problems that affect the growth and commercial value of fish reared in hatcheries. However, studies of bone metabolic process related to skeletal deformities are limited.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bone deformities and plasma calcium, phosphorus, and estradiol-$17{\beta}$ levels in reared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juveniles. We collected E. akaara frys from private farms at 110, 140, 180 and 300 days after hatching (DAH), and classified the normal and deformed fish by observing their external shape and inner frame by soft X-ray. We also analyzed the calcium, phosphorous, and estradiol-$17{\beta}$ levels in their plasma. A comparison between normal and deformed fish, indicated that calcium and estradiol-$17{\beta}$ levels were higher in deformed fish than in the normal at 180 and 300 DAH. The level of phosphorus was also higher in deformed individuals than in normal fish, but only at 300 DAH. These results suggest that skeletal deformiti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plasma calcium, phosphorus, and estradiol-$17{\beta}$ levels.

하수처리장의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한 Yeast Two-hybrid Assay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한 에스트로겐활성도 평가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ctivity by Yeast Two-hybrid Assay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n Sewage Treatment Plant)

  • 이병천;나진성;김상돈;;이철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71-777
    • /
    • 2007
  • 가정계열과 공단계열로 분리하여 처리되는 하수처리장에서 에스트로겐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yeast two-hybrid assay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를 이용하여 내분비계장애물질의 농도와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정계열 유입수 중에서 estrone (E1), 17$\beta$-estradiol(E2), 17$\alpha$-ethinylestradiol(EE2) 그리고 APE의 농도는 각각 최대 167.1, 39.7, 7.3, 145.4 ng/L까지 검출되었다.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처리로, 17$\beta$-estradiol의 평균제거율은 77.5%, 고도처리 공정인 모래여과와 오존산화를 거친 후에는 80.8%까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Yeast two-hybrid assay로 각 내분비계장애물질의 농도-반응곡선으로부터 반응식을 구하여, 에스트로겐 활성에 미치는 각 물질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가정계의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처리수에서 estrone, 17$\beta$-estradiol 17$\alpha$-ethinylestradiol, APE 가 각각 70.7, 23.3, 3.7, 2.32%로 나타났다. 즉,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기여물질은 estrone과 17$\beta$-estradiol인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l7$\beta$ on the Biochemical Changes in the Fat Body and Haemolymph of the B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 Hugar, I.I.;Kaliwal, B.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2호
    • /
    • pp.149-152
    • /
    • 2001
  •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with 10, 20 and 30 ${\mu}g$/ml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on the fourth and fifth instar bivoltine NB18 silkworm larvae Bombyx mori, on the glycogen and protein contents of the Fat body and trehalose and protein contents of the haemolymph has been studied. Glycogen content of the fat bod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treatment groups except in the group treated with 30 ${\mu}g$ testosterone propionate where the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arrier controls. The increase/decrease in haemolymph trehalose cont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treated groups. Protein content of the fat body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 and 20 mg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l7${\beta}$ treated groups but in 30 mg treated groups the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arrier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haemolymph protein content in all the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treated groups except in group treated with 10 ${\mu}g$ estradiol -17${\beta}$ where i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when compared with that of carrier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