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Manchurian Trout Gonadotropins on Sexual Maturation in Female Rainbow Trout

  • Park, Woo-Dong;Ko, Hye-Yeon;Kim, Dae-Jung;Lee, Cheul-Ho;Sohn, Young-Chang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4-159
    • /
    • 2007
  • Manchurian trout (Brachymystax lenok) is an endangered fish species in 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To establish a method for artificial propagation an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reproduction in the species, we have produced recombinant gonadotropins,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mtFSH) and luteinizing hormone (r-mtLH), which may play central roles in reproductive activities. In the present study,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recombinant hormones were analyzed by gonadosomatic index (GSI), ovarian follicle diameter, and sex steroid levels in matur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n the 6th day post-injection, FSH-injected fish were slightly decreased in the GSI value,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ose of control, r-mtFSH, and r-mtLH treatments. Injection of the r-mtFSH increased follicle diameters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and r-mtLH-injected fish. The plasma steroid levels showed wide differences in the groups at 1, 3, or 6th day post-injection. Despite the variable steroid levels, three individuals receiving either r-mtFSH or r-mtLH showed a great increase in a maturation-inducing steroid,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at 3 and 6 day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logical efficacies of the recombinant FSH and LH should be further studied in the Manchurian trout.

성성숙 유도된 자연산과 자성화 뱀장어의 채란 전·후 난의 형태학적 관찰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Pre- and Postovulated Eggs from Artificially Maturated Wild and Feminized Eels)

  • 이남실;김신권;이배익;김대중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402-1411
    • /
    • 2014
  • This study about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pre- or post ovulated eggs obtained from artificially maturated female eels. Female eels were divided with two groups as wild eels from nature and feminized eels from farm. Artificial maturation had been conducted with the established methods in this laboratory, and then maturate eggs sampled at fixed 3 times and these were observed with stereomicroscope. Rate of increased body weight (RIW) were measured with 2 times. Egg diameters and development of oil droplets are determined for standardization of egg maturation degree, and the transparency of egg cytoplasm and the homogeneous degrees of egg size were referred to determine of egg quality. Rate of increased body weight (RIW) were good in range about 10 % at final salmon pituitary extracts (SPE) injection time and in range about 20 % at $17{\alpha}$, $20{\beta}$-dihydroxy-4-pregnen-3-one (DHP) injection time. Good matured egg for fertilization had $900-1000{\mu}m$ diameter, and they had about 50 oil droplets in size about $100{\mu}m$ diameter. There were not predominant differences at egg size and oil droplet development between wild female and feminized eels.

양식산 수컷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인위적 성숙유도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변동과 정소 발달 (Plasma Sex Steroid Hormone Profiles and Testicular Development in Artificially Maturing Cultured Mille Eel, Anguilla japonica)

  • 김응오;배준영;임상구;손맹현;박민우;박미선;조용철;김대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66-471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body weight (BW), plasma sex steroid hormone profiles, and testicular development of cultured male eel Anguilla japonica during an artificial maturation process. Eels that received weekly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eel's ringer solution containing human chronic gonadotropin (HCG) were examined. In the ringer-treated control, BW changes decreased slow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Plasma testosterone (T), 11-ketotestosterone (11-KT) and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DHP) levels In the control remained low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Moreover, all germ cells in the testes of the control were spermatogonia. In the HCG-treated male eels, however, BW changes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fifth week and then decreased slowly. The plasma T level increased rapidly (p<0.05) in the second week and then decreased slowly. The plasma 11-KT level increased dramatically (p<0.05) in the second week and wa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plasma DHP level increased progressively from the second week and peaked in the eighth week (p<0.05). The testes of HCG-treated male eels were more developed than those of the control; most were at the spermatozoa and spermatid stages and showed active spermiation. Thus, spermatogenesis and spermiation in the cultured eel can be induced by repeated injections of HCG.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Iwata et jeon) 수컷의 생식주기에 따른 정소 발달과 혈중 생식소 스테로이드의 변화 (Testicular Development and Serum Levels of Gonadal Steroids Hormone during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Male Kor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Iwata et Jeon))

  • 이원교;양석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75-485
    • /
    • 1998
  •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수컷의 명확한 생식주기를 밝히고자 1995년 12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정소의 발달양상 및 혈중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정소의 모양은 7월부터 10월까지는 콩깍지 모양이었는데, 11월부터는 후반부가 비대해져 올챙이와 유사한 형태였다. GSI는 7월부터 9월까지 0.14~0.18였으며, 10월에 $0.43{\pm}0.04$로 증가하여 2월까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3월에는 $0.52{\pm}0.09$로 증가하였으며, 5월까지는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가, 6월에는 $0.28{\pm}0.05$로 낮아졌다. 생식주기에 따른 정소의 생식세포 발달은 전반부, 경계부, 후반부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다. 7월의 대부분 개체의 정소는 세정관이 없었으며, 정자형성과정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상태로 정원세포들만을 볼 수 있었다. 전반부에서 정자형성단계의 세정관들은 8월에 출현하여 9월부터 12월까지는 80% 이상이었으며 1월부터 3월까지는 점차적으로, 4월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6월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완성단계 세정관은 12월부터 출현하여 3월까지 점차적으로, 4월에 80%로 급격히 증가한 후 6월에 90%로 년 중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정자방출후 세정관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원세포들은 7월에 100%, 8월에 65% 였으나 나머지 기간에는 20%이하로 년 중 존재하였다. 경계부에서도 8월부터 정자형성단계 세정관이 출현한 후 매월 증가하여 11월에 82%에 이르렀으며 12월부터 감소하여 3월부터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완성단계 세정관은 11월에 출현하여 2월까지는 18% 이하였으나, 3월부터 6월까지 29%~57%의 수준을 보였다. 정자방출후 세정관은 3월부터 6월까지 12%~25%로 나타났다. 정원세포는 8월에 85%, 9월에 67%, 10월에 35%, 11월에 10%로 감소하였으며, 1월부터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4월에 50%를 보인후 6월까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후반부에서는 일부의 개체에서 수개의 정원세포를 지닌 세정관이 7월부터 출현하였다. 정자형성단계에 세정관은 8월에 80%, 9월에 85%였으나 10월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11월에서 2월까지는 10%이하였으며, 3월부터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완성단계 세정관은 8월에 출현하여 10월부터 급격히 증가해 11월에는 75%에 이르렀고 12월에는 15%로 급격히 감소하여 3월까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4월부터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방출후 세정관은 11월에 출현하여 12월에 82%로 급격히 증가한 후 6월까지 85%~95%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정원세포들은 8월에 15%로 감소하였으며 10월부터 3월까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4월부터 다시 출현하여 6월까지 10%이하에 머물렀다. 혈중 testosterone (T)의 농도는 8월부터 완만하게 증가하여 11월에 $0.61{\pm}0.09 ng/m\ell$ 였으며, 12월부터는 $3.99{\pm}1.22 ng/m\ell$로 급격히 상승하여 3월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4월에 $0.52{\pm}0.14ng/m\ell$로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5월에 $0.17{\pm}0.13 ng/m\ell$로 낮아진 후 7월까지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은 12월에 $0.19{\pm}0.01 ng/m\ell$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4월까지는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고, 5월에 $0.38{\pm}0.03 ng/m\ell$로 급격히 증가하여 peak에 달하였다. 6월에는 $0.19{\pm}0.04 ng/m\ell$로 낮아졌으며, 11월까지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사리는 정소의 부위에 따라 각각 다른 발달양상을 보였다. 즉 전반부에는 7월이 정원세포증식기, 8월~11월은 성숙초기, 12월~3월은 성숙중기, 4월~5월은 성숙후기, 6월은 기능적 성숙기로 구분되었다. 경계부에서는 7월이 정원세포 증식기, 8월~10월은 성숙초기, 11월~2월은 성숙중기였으며, 3월~6월은 성숙후기, 기능적 성숙기, 후번식기의 특징이 동시에 출현하였다. 후반부에서는 7월이 정원세포증식기, 8월~9월은 성숙중기, 10월은 성숙후기, 11월은 기능적 성숙기, 12월~6월은 후번식기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생식주기의 변화는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양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황점볼락 난소 발달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과 난황단백전구체의 변동 (Profiles of Plasma Sex Steroid Hormone and Vitellogenin According to Ovarian Development of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 김대현;정지현;윤성종;황형규;이윤호;김대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27
    • /
    • 2009
  • 황점볼락 생식주기에 따른 성호르몬과 난황단백전구체의 혈중 농도변화를 조사하였다. Testosterone 농도는 배란기(12월)에서만 유의하게 높은 평균 3,091 pg/mL의 혈중 농도를 보이나 나머지 발생 단계에서는 매우 낮은 농도를 나타내면서 각 발생단계 상호간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혈중 $E_2$, 농도는 난황형성기 (9월)에 가장 높은 평균 농도(531.8 pg/mL)를 나타낸 후 배란기까지 다른 발생 단계의 혈중 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농도를 유지하다가 배 발생기부터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이러한 난청형성기간 동안 높았다가 임신기에 낮아지는 $E_2$의 농도는 난생 어류에서와 같이 난 태생어류에서도 난모세포의 성숙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DHP의 농도는 난황형성기와 배란기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배발생, 산출 후, 미성숙시기의 혈중농도는 발생단계에 상관없이 낮은 농도를 보였다(P<0.001). DHP는 난청형성기에 높은 혈중 농도를 나타내고 있어 난황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혈중 VTG 농도를 난소발달 즉 미성숙(8월), 난황 형성기(10월), 배란기(12월) 산출 후(3월) 등 4단계로 나뉘어 조사한 결과, 혈중 VTC농도는 미성숙 시기(8월)와 산출 후(3월)의 혈중농도가 나머지 발생단계에 비해 유의하게 낮지만 이들 발생 단계간의 농도 차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난청형성기와 배 발생 시기에는 다른 시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이나, 양 발생 단계간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난황단백전구체가 10월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배란기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산출 후에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은 난모세포의 성장과 난황형성에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