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terpinen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털진달래(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정유의 성분분석과 독성평가 (Composition and Cytotoxicity of Essential Oil from Korean rhododendron (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 박유화;김성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33-237
    • /
    • 2008
  •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인 털진달래(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지상부위로부터 정유를 얻고, 휘발성분을 headspace(HS)와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법으로 흡착시킨 다음 GC-MS로 분석하였다. 털진달래 정유에는 탄화수소 15종, 알코올 3종, 아세테이트 1종 등 총 19종의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함량 성분은 2-${\beta}$-pinene(16.1%), camphene(11.9%), ${\delta}$-3-carene(11.4%), d,l-limonene(9.5%), and ${\gamma}$-terpinene(9.5%)이었다. SPME법으로 흡착된 시료에는 탄화수소 13종, 알코올 1종, 질소화합물 1종 등 총 17종의 휘발성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었고, 이들 중 다함량 성분은 camphene(19.6%), 2-${\beta}$-pinene(18.0%), ${\delta}$-3-carene(17.4%), timethyl hydrazine(9.7%), ${\gamma}$-terpinene(8.5%), and d,l-limonene(5.5%)이었다. 그리고 HS법으로 흡착된 시료에는 탄화수소 11종, 알코올 1종, 질소화합물 1종 등 총 13종의 휘발성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중 다함량 성분은 camphene(25.8%), ${\delta}$-3-carene(24.8%), 2-${\beta}$-pinene(20.2%), d,l-limonene(5.4%), tricyclene(5.1%), trimethyl hydrazine(4.6%)이었다. 털진달래 정유의 향취는 coniferous, balsamic, woody하였으며, HaCaT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0.030 ${\mu}g/mg$이었다.

참당귀와 일당귀의 부위별 휘발성 정유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in Pla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 acutiloba Kitagawa)

  • 조민구;방진기;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52-357
    • /
    • 2003
  • 참당귀의 전초 (꽃봉우리, 줄기, 잎)와 뿌리의 정유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초의 정유 함량은 0.063%로 뿌리의 0.389%에 비해서 아주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성분에 있어서 전초와 뿌리의 정성적 차이는 없었으나, 함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휘발성 성분은 nonane, ${\alpha}$-pinene, limonene + ${\beta}-phellandrene$이였으며, 이 중 nonane과 ${\alpha}-pinene$의 경우 전초에서는 각각 7.5%와 14.6%이었으나, 뿌리에서는 각각 24.5%와 31.7%로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 ${\gamma}-terpinene$, germacrene-d, (E,E)-${\alpha}-farnesene$, ${\beta}- eudesmol$의 경우 전초에서는 5%에서 8% 사이로 나타났으나, 뿌리 에서는 1% 안팎의 적은 함량을 보였다. 참당귀와 일당귀를 분석한 결과 줄기와 잎에서 각각 0.068%, 0.127%와 0.153%, 0.243%로 정유의 함량은 일당귀가 더 높았고, 부위별로는 잎이 줄기의 약 2배 정도 높았다. 참당귀 줄기와 잎의 성분으로는 각각 18개, 32개로 잎에서 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분포되어 있었고,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alpha}-pinene$, myrcene, limonene, germacrene-d, eudesmol and butylphthalide로 잎에서 germacrene-d가 높았고, butylphthalide가 낮은 차이를 보였다. 일당귀줄기와 잎의 휘발성 정유 성분으로는 각각 21개, 32개로 참당귀와 같이 잎에서 더 다양했고, 성분은 ${\gamma}-terpinene$과 butylphthalide로 butylphthalide가 70%에 육박하는 주성분을 차지했다. 그러므로 Angelica gigas와 Angelica acutiloba는 관능적으로 확연히 다른 차이를 느낄 수 있지만, 분석결과로도 전혀 다른 향기성분임을 알수 있었다.

서양 허브식물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Several Herb Plants)

  • 오문헌;황혜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
    • /
    • 2003
  • 한국에서 재배된 허브식물(로즈마리, 라벤더, 민트, 세이지, 타임)의 일반 성분, 무기질, 총페놀, 유리당, 지방산 및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허브 잎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이 $69.92{\sim}82.10%$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섬유와 회분함량이 지방과 단백질함량보다 높았다. 총페놀 함량은 분광광도법(Follin-Dennis법)으로 측정하여 gallic acid 상당량으로 산출하였으며, 로즈마리와 라벤더가 높았으며 세이지, 타임, 민트 순이었다. 무기성분은 ICP-AES방법으로 나트륨, 칼슘, 망간, 인, 마그네슘, 아연 및 철을 분석하였다. 대체적으로 칼슘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 나트륨, 마그네슘, 철, 아연, 망간의 함량순으로 높았다. 지방산은 GC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체적으로 포화 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함량보다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더 높았다. 유리당은 sucrose, glucoes 및 rhamnose를 HPLC로 분리하였으며, 그 함량은 소량이었다. 향기성분은 27종을 확인하였으며, 주요 성분은 ${\beta}-terpinene,\;{\alpha}-thujone,\;{\beta}-phellandrene$, cis-ocimene, ${\beta}-thujone,\;{\beta}-pinene,\;{\alpha}-terpinene$, 1,8-cineole, ${\gamma}-terpinene$, verbenone 및 ${\beta}-ocimene$이었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ullion)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ullion)

  • 김옥찬;장희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30-36
    • /
    • 1994
  •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ullion)를 simultanuous distillation 및 steam distillation으로 추출하여 정유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고, GC 및 GC-MS로 분석하여 47개 성분을 확인하였다. 오미자의 관능적 특성은 woody, camphorous하고 spicy, sour note이고 정유의 distillation extraction에 의한 수율은 0.64%, simultanous distillation extraction에 의한 수율은 0.88%이었다. 확인된 47개 성분 중에서 terpene계 화합물인 ${\alpha}-pinene$, camphene, limonene, ${\gamma}-terpinene$, p-cymene, ${\alpha}-ylangne$, ${\beta}-elemene$ 등이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또 정유를 10개로 분획한 후 좋은 향기 특성을 갖고있는 4개의 분획물만을 선정하여 성분 분석하였다. 오미자 향기특성이 woody, camphorous하여 상쾌한 신맛을 느끼게 함으로 국산차 또는 음료용으로 개발전망이 밝다고 본다.

  • PDF

미나리과 허브식물의 향기성분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Umbelliferous Herbs)

  • 홍철운;김명곤;김철생;김남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14
    • /
    • 2001
  • 온실에서 재배한 chervil (Anthricus cerefolium)과 coriander (Coriandrum sativum)의 잎, 줄기 및 종실로부터 SDE방법에 의해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에 의해 향기성분을 분리 동정한 결과 49종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Coriander의 경엽에서는 $\beta$-sesquiphellandrene (17.6%), germacrene B (7.7%), nerolidol (6.9%), selinene-4-ol (6.0%) 등이, Coria-nder의 종실로부터는 linalool, decanal (5.6%), ${\gamma}$-terpinene (3.8%), $\rho$-cymene 등이, chervil에서는 methyl chavicol, 1-allyl-2,4-dimethoxy benzene 등이 주요 향기성분으로 나타나 주로 terpene류 들에 의해 향기성분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상록활엽수 정유성분의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Volatile Constituents from Broad-Leaved Indeciduous Trees)

  • 임순성;이연실;김혜민;안영희;신국현;이상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7-248
    • /
    • 2008
  • 자생 상록활엽수의 부위별 재료에서 추출한 주요 정유성분으로 광나무의 꽃에는 hotrienol(9.21%), 돈나무의 잎에는 undecane(32.12%), 붓순나무의 잎에는 1,8-cineole(45.32%), 새덕이나무의 잎에는 ${\gamma}$-terpinene(15.62%), 생달나무의 잎에는 1,8-cineole(14.66%), 차나무의 잎에는 2-acetyl-5-methylfuran(54.51%), 황칠나무의 잎에는 ${\gamma}$-elemene(18.59%) 등의 성분함량이 특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측백나무에 들어 있는 생장억제물질의 작용 (Effect of Growth Inhibitor Produced by Thuja orientalis)

  • 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2호
    • /
    • pp.181-190
    • /
    • 1993
  • To elucidate phytotoxic effects on the growth of receptor plant, germination and growth experiment of selected species have been performed with aqueous extracts and volatile substances of leaf and of donor plant, Thuja orientalis. The extracts of T.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Gas chromatography method was employed for analysis and indentification of phytotoxic substances from T. orientalis. Forty-two kinds of KDICicals including ${\alpha}-thujone$ were identified from T. orientalis essential oil. Bioassay was performed with 6 KDICical such as ${\alpha}-pinene, \;{\alpha}-terpinene, \;{\gamma}-terpinene, \; {\beta}-myrcene$, and among them bornyl acetate was the strongest growth inhibitor.

  • PDF

Angelica속 생약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 (I). -참당귀의 정유성분- (Studies on Essential Oils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 (I). -Essential Oils of Angelicae gigantis Radix-)

  • 지형준;김현수
    • 생약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9-247
    • /
    • 1988
  • Essential oil of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Umbelliferae) was investigated. Essential oil was obtained from the dried roots by steam distillation and fraction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Each isolate or fraction was identified by GC, GC-MS and spectral analysis. It was found to contain eleven monoterpenes such as ${\alpha}-pinene,\;camphene,\;{\beta}-pinene,\;myrcene,\;{\alpha}-phellandrene,\;{\Delta}-3-carene,\;{\alpha}-terpinene,\;p-symene,\;limonene,\;{\gamma}-terpinene$ and terpinolene and also found to contain 4-vinylguauacol, myristicin, elemol, ${\beta}-eudesmol,\;{\alpha}-eudesmol,\;four\;sesquiterpenes\;involving\;{\Delta}-elemene$. Four sesquiterpenes and five sesquiterpene alcohol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by comparison of their mass spectra.

  • PDF

Essential Oil Yield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Chamaecyparis obtuse Obtained from Various Popul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 Kang, Young Min;Min, Ji Yun;Choi, Myung Su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285-292
    • /
    • 2014
  • Essential oil yields and chemical compositions from 5 populations of Chamaecyparis obtusa with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through essential oil extracted distillation apparatus and metabolite profiling by GC-MS analysis. Among the populations, content of essential oil at Gokseo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populations. To compare the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on chemical composition and essential oil yields from C. obtuse at Gokse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soil condition, temperature, humidity, and moisture content) were measured during 1 year. The essential oils at Goksung based on humidity on March, July, and Novemb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months. The essential oils at Goksung based on temperature on July and Augus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months. The essential oils at Goksung based on the moisture content on Septemb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months. The percentage of T-N, OM, and yield of oil at Gokseo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from other populations. The main constituents of C. obtusa at all populations were ${\alpha}$-pinene, ${\beta}$-pinene, ${\alpha}$-terpinene, ${\gamma}$-terpinene, terpinene-4-ol, isobonyl acetate, terpinyl acetate, and cedar acetate. Specially, Essential oil compositions (%) of ${\alpha}$-terpinene and cedar acetate were higher at Gokseong than at other populations.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essential oils were variable depend on popul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might be used as fundamental research on study for selection of high productive terpenoids and for understanding about biosynthesis of essential oils in C. obtusa.

한련초(Eclipta prostrata) 추출물과 terthiophene의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대한 살선충 효과 (Nematicidal Activity of Eclipta prostrata Extract and Terthiophene against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신진희;권오경;이채민;이상명;최용화;김진호;김영섭;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6-65
    • /
    • 2016
  • 소나무재선충은 소나무류에 기생하여 치명적 피해를 입히는 선충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산림해충의 하나이다. 살아있는 나무에서 소나무재선충을 대상으로 하는 방제법은 나무주사 방법이 가장 실효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의 나무주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46종의 키르기즈스탄과 88종의 베트남 식물체 및 21종의 식물유래 활성물질(${\alpha}$-terpinene, ${\alpha}$-pinene, ${\beta}$-thujaplicin, cinnamaldehyde, eugenol, emodin, geraniol, limonone, methyl palmitate, matrine, myrcene, methyl gallate, nicotine, quassin, resveratrol, rotenone, thymol, thujaplicin, terthiophene, tuberstemonine, ${\gamma}$-terpinene) 들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검정하였다. 식물체 추출물들 중에서는 베트남에서 구입한 한련초(Eclipta prostrata) 추출물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이 높았으며 식물체 유래 활성물질들 중에는 terthiophene의 살선충 활성이 가장 높았다. Terthiophene의 곰솔 수간 살포는 22일차까지는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이후에는 효과가 없었다. 한련초 추출물과 terthiophene의 나무주사 효과와 다른 식물기생성선충에 대한 보완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살선충제로의 활용성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