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sitosterol-{\beta}-D-glucosid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17초

Phytochemical Studies on Reynoutriae Radix $('H\check{u}-Zh\grave{a}ng')$

  • Chi, Hyung-Joon;Kim, Hyun-Soo
    • 생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3-77
    • /
    • 1986
  • Anthraquinones, physcion (I), mp $204{\sim}205^{\circ}$ and emodin (II), mp $254{\sim}255^{\circ}$, and $emodin-8-O-{\beta}-{_D}-glucoside$ (IV), mp $191{\sim}192^{\circ}$ together with ${\beta}-sitosterol$ glucoside (III), mp $280{\sim}282^{\circ}$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Polygonum ellipticum Migo and P. sachalinense Fr. Schm. (Polygonaccae). Stilbene derivatives, 3,5,4'-trihydroxystibene (V), mp $258{\sim}260^{\circ}$ and $3,5,4'-trihydroxystilbene-3-O-{\beta}-{_D}-glucoside$ (VI), mp $142{\sim}144^{\circ}$ were also isolated.

  • PDF

골담초근의 Lipid성분에 관한 연구 (Acylucosyl Sterols from the Roots of Caragana chamlagu)

  • 조영경;이명환;강현모;이한구;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19
    • /
    • 1992
  • A mixture of acylglucosyl sterols together with ${\beta}-sitosterol$, ${\beta}-sitosterol\;3{\beta}-O-glucoside$ and fatty acids was isolated from the roots of Caragana chamlagu as their acetate forms and the structure elucidat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ans. The major acylglucosyl sterol was ${\beta}-sitosteryl\;3-O-[6'-O-oleoyl]-{\beta}-D-glucopyranoside$ while the minor components were $6'-O-palmitoyl-\;and\;6'-O-stearoyl-{\beta}-D-glucosyl$ sitosterol congeners. The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these acylglucosyl sterol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genus Caragana.

  • PDF

쑥갓 스테롤배당체의 아질산염소거작용 및 SOD 유사활성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of a Sterol Glucoside form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 조민정;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7-82
    • /
    • 2007
  • 쑥갓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쑥갓 총 메탄올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는 총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클로로포름,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pH가 1.5일 때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IC_{50}$값은 39ppm으로 가장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15ppm과 36ppm일 때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양성대조군인 chlorogenic acid와 동등한 소거작용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활성을 나타낸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silica gel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의 활성성분인 compound I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compound를 $^{1}H-NMR$$^{13}C-NMR$ spectral data를 통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compound I은 ${\beta}-sitosterol-O-{\beta}-D-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Compound I과 그 aglycone인 ${\beta}-sitosterol$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pH 1.5에서 각각 15ppm과 36ppm일때 compound I의 $IC_{50}$값이 335ppm, ${\beta}-sitosterol$$IC_{50}$값이 41ppm으로 가수분해된 aglycone이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훨씬 높았다. SOD 유사활성의 경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EC_{50}$ 값은 38ppm, 449ppm으로 이와 비교시 ${\beta}-sitosterol$과 배당체의 $EC_{50}$ 값은 1,291ppm과 2,000ppm 이상으로 나타났다.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Leaves of Flaveria trinervia

  • Umadevi, S.;Mohanta, G.P.;Balakrishna, K.;Manavalan, R.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13-15
    • /
    • 2005
  • Phytochemical study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Flaveria trinervia (Asteraceae) leaves has led to the isolation of three constituents characterised as 3,5,7,4' tetrahydroxy-6-methoxy flavone (6-methoxy kaempferol), oleanolic acid and ${\beta}-sitosterol-{\beta}-D-glucoside$. The identities of the compounds were confirmed by the physical and spectroscopic data and by comparison with authentic samples.

Pergularia tomentosa L.로부터의 카르데노리드와 ${\beta}$-시토스테롤 글루코사이드 (Cardenolides and ${\beta}$-Sitosterol Glucoside from Pergularia tomentosa L.)

  • Gohar, Ahmed A.;El-Olemy, M.M.;Abdel-Sattar, Essam;El-Said, M.;Niwa, M.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42-146
    • /
    • 2000
  • 본 논문은 Pergularia tomentosa L.로부터의 카르데노리드와 ${\beta}$-시토스테롤 글루코사이드를 연구한 논문으로 주요내용으로는 Pergularia tomentosa L.의 지상부로부터 ${\beta}$-시토스테롤 글루코사이드와 함께 3가지 카데노이드, desglucouzarin, coroglaucigenin와 uzarigenin를 얻었다. 분리된 화합물은 IR, UV, $[{\alpha}]_D$, ID-, 2D-NMR 및 FAB-MS 실험을 포함하는 물리적 수단과 분광수단을 이용하여 동정되었다. 이전에 식물뿌리로부터 보고된 카르데노리드, ghalakinoside, calactin과 pergularoside가 지상부에서도 동정되었다는 내용이다.

  • PDF

Chemical Constituents of Gomphrena globosa. II

  • Dinda, Biswanath;Ghosh, Biplab;Achari, Basudev;Arima, Shiho;Sato, Nariko;Harigaya, Yoshihir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2호
    • /
    • pp.89-93
    • /
    • 2006
  • One new sterol glucoside, $gomphsterol\;{\beta}-D-glucoside$ 1 along with known compounds, ${\beta}-sitosterol$, stigma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beta}-D-glucoside$, friedelin, 3-epi-friedelinol, allantoin, and $chrysoeriol-7-O-{\beta}-D-glucoside$ have been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Gomphrena globosa (Amaranthaceae).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including 2D NMR) and chemical studies, the structure of 1 was elucidated as $(22E,24S)-24-ethylcholesta-7,9(11),22-trien-3{\beta}-ol-3-O-{\beta}-D-glucopyranoside$. Known compound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species.

음양곽의 성분에 관한 연구(II)$^1$ -삼지구엽초 지하부의 성분- (Phytochemical Studies on Epimedii Herba (II)$^1$ -Studies on the Underground Parts of Epimedium koreanum-)

  • 강삼식;김주선;강윤정;한혜경
    • 생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6-59
    • /
    • 1990
  • n-Alkanes (n-nonacosane and n-hentriacontane), phytosterols (campesterol and ${\beta}$-sitosterol) and phytosteryl glucosides (${\beta}$-sitosterol 3-O-${\beta}$-D-glucopyranoside and campesterol 3-O-${\beta}$-D-glucopyranoside) were isolated from the underground parts of Epimedium koreanum (Berberidaceae)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 PDF

냉초(冷草)의 화학성분(化學成分) 연구(硏究) (Chemical Components of the Root of Veronicastrum sibiricum Pennell)

  • 이숙연;유승조;지형준
    • 생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8-176
    • /
    • 1987
  •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Scrophulariaceae) is a perennial herb growing in moist land. It has been used as a korean folk medicine in treating common cold, leucorrhea, cystitis and liver damage and as cholagogue.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the elucidati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From the roots of the plant, five iridoi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minecoside $(mp\;142{\sim}3^{\circ})$, 6-O-veratryl catalpol ester $(mp\;216{\sim}8^{\circ})$, catalpol $(mp\;204{\sim}6^{\circ})$, aucubin $(mp\;180{\sim}2^{\circ})$ and 6-desoxy-8-isoferuloyl harpagide $(mp\;139{\sim}41^{\circ})$. Furthermore, ${\beta}-sitosteryl-3-O-D-glucoside$, campesteryl 3-O-D-glucoside, ${\beta}-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mannitol were also isolated.

  • PDF

백화사설초(百花蛇舌草)의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Oldenlandia diffusa)

  • 김영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1-95
    • /
    • 1995
  • 국내(國內)에서 생산(生産)된 백화사설초(百花蛇舌草) Oldenlandia diffusa(WiIId.) Roxb. 의 전초로 부터 얻은 MeOH extract를 $CHCl_3, EtOAc$ 및 BuOH로 분획하여 얻은 fraction으로 부터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3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및 분광학적(分光學的) data를 종합하여 화합물 I의 화학구조는 ${\beta}-sitosterol$에 소양(小量)의 stigmasterol이 함유된 sterol이며, 화합물 II는 ursolic acid이고, 화합물 III은 ${\beta}-sitostero\;3-0-{\beta}-D-glucoside$임을 밝혔다. 이 식물은 다양한 생리활성(生理活性)이 보고(報告)된 ursolic acid의 중요한 자원식물(資源植物)이 될 수 있음을 본실험을 통하여 밝혔으며 문헌(文獻)에 보고(報告)된 oleanolic acid는 함유(含有)되어 있지 않음을 알았다.

  • PDF

왕겨 메탄을 추출물을 이용한 독성 남조 Microcystis aeruginosa의 성장 억제 (Growth Inhibition of Toxic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Using Rice Hull Methanolextracts)

  • 박명환;정일민;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99-106
    • /
    • 2008
  • 본 연구는 왕겨의 메탄을 추출물이 유해 남조 Microcystis aeruginosa 생장에 미치는 영향 및 현장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왕겨 추출물은 미정제 추출물과 이를 다시 분획하여 분리, 정제한 후 얻은 ${\beta}$-sitosterol, ${\beta}$-sitosterol-${\beta}$-D-glucoside, 1-tetratriacontanol, hentriacontane, orizaterpenoid, stigmas-5-en-$3{\alpha}$ 26-diacetate, stearic acid, myristic acid 등 8가지의 순수화합물로서, 이들 추출물을 남조 세포에 처리하여 생장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조류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분양 받은 M. aeruginosa (NIER 10010)이고, 물벼룩은 독일 BBE사에서 분양 받은 Daphnia magna로서, 이들은 각각 CB배지와 경수를 이용하여 배양 유지되었다. 왕겨 메탄을 추출물을 1, 10, 100, $1,000{\mu}g\;L^{-1}$의 농도로 처리하여 조류 배양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일정시간 배양하였다. 실험결과, 왕겨 메탄을 추출물은 모든 처리구에서 7일 후 $59{\sim}73%$의 높은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M. aeruginosa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한편, 8가지 물질을 M. aeruginosa에 $1,000{\mu}g\;L^{-1}$ 농도로 처리한 실험에서는 3가지 물질 (${\beta}$-sitosterol-${\beta}$-D-glucoside, hentriacontane, orizaterpenoid)에서 생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M. aeruginosa에 이들 3가지 물질을 조합하여 실험한 결과, 이들 3가지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생장 억제에 대한 유의한 상승효과를 나타냈다(p<0.05). 왕겨 메탄올 추출물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1,000{\mu}g\;L^{-1}$의 추출물 농도에 물벼룩을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96시간 후에 85%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왕겨 추출물은 M. aeruginosa의 생장 억제에 효과적인 천연물질로서 조류 제어에 상승작용이 나타났으며, 현장 적용시 수중생물에 대한 독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