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Glucosidase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7초

Intestinal Bacterial Metabolism of Flavonoids and Its Relation to Some Biological Activities

  • Kim, Dong-Hyun;Jung, Eun-Ah;Sohng, In-Suk;Han, Jung-Ah;Kim, Tae-Hyung;Han, Myung-J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7-23
    • /
    • 1998
  • Flavonoid glycosides were metabolized to phenolic acids via aglycones by human intestinal microflora producing ${\alpha}$-rhamnosidase, exo-${\beta}$-glucosidase, endo- ${\beta}$-glucosidase and/or ${\beta}$-glucuronidase. Rutin, hesperidin, naringin and poncirin were transformed to their aglycones by the bacteria producing ${\alpha}$-rhamnosidase and ${\beta}$-glucosidase or endo- ${\beta}$-glucosidase, and baicatin, puerarin and daidzin were transformed to their aglycones by the bacteria producing ${\beta}$glucuronidase, C-glycosidase and ${\beta}$-glycosidase, respectively. Anti-platele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the metabolites of flavonoid glycosides by human intestinal bacteria were more effective than those of the parental compounds. 3,4-Dihydroxyphenylacetic acid and 4-hydroxyl-phenylacetic acid were more effective than rutin and quercetin on anti-platelet aggregation activity. 2,4,6-Trihydroxybenzaidehyde, quercetin and ponciretin were more effective than rutin and ponciretin on the cytotoxicity for tumor cell lines. We insist that these flavonoid glycosides should be natural prodrugs.

  • PDF

한국인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Bacteroides fragilis Roid 8의 Glycosidase 패턴 (Glycosidase Pattern of Bacteroides fragilis Roid 8 Isolated from a Korean Adult Feces)

  • 지근억;이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1-195
    • /
    • 1993
  • 인체의 대장은 여러 종류의 균들에 의하여 상재균총이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중 혐기성 균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들 혐기성 균들 중 가장 많은 수가 Bacteroides이다. 본 연구에서 한국인으로부터 분리된 Bacteroides fragilis Roid 8은 장내의 다른 혐기성 균주들에 비하여 $N-acetyl-{\beta}-glucosaminidase$, ${\alpha}-fucosidase$, ${\beta}glucuronidase$ chitobiase, PNPCase 등의 활성이 높았다. ${\beta}-galactosidase$, ${\beta}-xylosidase$, ${\alpha}-arabinofuranosidae$활성은 없었고 ${\alpha}-glucosidase$, ${\beta}-glucosidase$, ${\alpha}-galactosidae$ 등의 생산은 Bifidobacteria 에 비하여 낮았다. BHI 기본배지에 여러 종류의 탄수화물을 첨가하여 배양한 뒤 생산된 $N-acetyl-{\beta}-glucosaminidae$, ${\alpha}-fucosidase$, ${\beta}-glucuronidase$ chitobiase, PNPCase, ${\beta}-glucosidase$, ${\beta}-glucosidase$ ${\alpha}-galactosidase$ 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glucose와 lactose 첨가배지에서 이들 효소들의 활성이 낮았다. 조사된 모든 효소들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현저히 생산을 증가시키는 당은 없었다. 이들 8개의 효소에 대하여 최적 pH와 최적온도가 조사되었다.

  • PDF

$\beta$-Glucosidase 처리된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상승효과 (Antioxidant and Synergistic Effect of Sesame Oil Cake Extract Treated from $\beta$-Glucosidase)

  • 손종연;강동우;신길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1-595
    • /
    • 2001
  • 참깨 탈지박에 다량존재하는 수용성 lignan화합물을 $\beta$-glucosidase로 처리하여 얻어진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기존 항산화제들과의 상승효과를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참깨박 추출물 중에서도 sesamin 및 sesamolin이 peak가 확인되었으며, 각각 8.32%(8,315.4mg/100g) 및 0.28%(2,824.5mg/100g)의 함량을 나타냈다. Sesamin과 sesamolin은 배당체의 aglycone으로서 탈지박 중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이들의 효과는 같은 농도(100ppm)의 $\alpha$-tocopherol이나 ascorbyl palmitate 첨가구보다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으나 BHA보다는 다소 약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가수분해 물은 $\alpha$-tocopherol과 강한 상승 작용을 보여주었으나 ascorbyl palmitate와는 비교적 약한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의 항멜라닌 효과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Whitening Agent Containing Arbutin and ${\beta}-Glucosidase$)

  • 유박린;류지호;이무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5-418
    • /
    • 2004
  • 알부틴은 glycosylated hydroquinone으로 여러 식물들에서, 고농도로 발견되며 비교적 안정한 물질이다. 이는 멜라닌화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베타-글루코시다제에 의해 포도당과 hydroquinone으로 쉽게 가수분해된다. Hydroquinone 역시 우수한 항멜라닌화 작용을 가지나, 여러 가지 부작용들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거나 주의를 요한다. 이 연구는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품이 자외선 조사로 유도된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10명의 건강한 성인으로 등 부위에 자외선 B를 조사하여 색소 침착 병변을 만들었고 이 병변들은 세 그룹: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도포군, vehicle 대조군, no-application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알부틴과 베타-글주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도포군은 no-application 대조군에 비교하여 색소 침착을 $50.17\%$ 억제하였다(N = 10:P<0.05). 따라서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이 기미 등 자외선 조사로 유도되거나 악화되는 과색소성 질환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겠다.

Cellulomonas sp. KL-6에 의한 섬유소 분해효소의 생산 (Production of Cellulase from Cellulomonas sp. KL-6)

  • 정영건;권오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490-495
    • /
    • 1995
  • Cellulomonas sp. KL-6 균주가 생산하는 cellulase 중 CMCase나 FPase는 세포외로 다량 분비되나 ${\beta}-glucosidase$는 cell bound form으로 존재하여 배양액에서의 생산은 극히 미약하였다. CMCase와 FPase는 배양 5일째에, ${\beta}-glucosidase$는 배양 4일째에 각각 최대생산을 나타내었다. $CaCO_3(0.1%)$가 첨가된 효소생산 최적조건에서 CMCase는 $82\;unit/m{\ell}$를, FPase는 $80\;unit/m{\ell}$를 그리고 ${\beta}-glucosidase$$1.2\;unit/m{\ell}$를 각각 생산하였고 이는 기본배지에서 보다 $60{\sim}70%$의 생산증가를 가져왔다. KL-6 균주는 lignase와 laccase의 생산은 없었다.

  • PDF

Cellulomonas sp.의 β-글루코시다아제 생성 (β-Glucosidase Formation In Cellulomonas sp.)

  • 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225-234
    • /
    • 1976
  • 섬유소 분해균 Cellulomonas sp. CS1-1의 각종 탄소원에서의 ${\beta}$-글루코시다아제 생성을 살피기 위하여 Quickfit FVIL 발효장치를 이용하고, 뉴트리엔트 이스트브로스, 카르복시멜틸셀룰로오스, 아비셀, 셀로비오스 등을 탄소원으로 한 배지에 뱃치로 배양하여 그 배양적 특성과 세포내 또는 세포외 ${\beta}$-글루코시다아제의 분포를 검토한 결과 : i)${\beta}$-글루코시다아제는 공시한 모든 배양 조건하에서 생성되었고 세포내 효소로서 배양여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ii) 뉴트리엔트 이스트브로스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탄소원으로 할 때 보다 셀로비오스 및 아비셀을 탄소원으로 하는 경우 효소의 비활성도가 높았다. iii) 공시한 모든 기질에서 공히 균의 대수기(對數期)에 극대치의 비활성도를 나타내었다.

  • PDF

아몬드 첨가 콩 과자 제조 중 이소플라본 특성 변화 (Characterization of Isoflavone Profiles in Soy Cookies Using ${\beta}-Glucosidase-containing$ Almond Powder)

  • 양승옥;장판식;이재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1-468
    • /
    • 2006
  • 콩가루 50, 75, 100% 첨가 콩 반죽에 0, 1, 3%의 아몬드 첨가와 0, 20, 40분의 반죽 정치시간을 통해 제조 된 콩 과자 반죽에서 ${\beta}-glucosidase$ 활성을 측정하였고 콩 과자에서의 이소플라본 함량 및 aglycone 이소플라본 변화를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콩가루 첨가량이 증가 될수록, 아몬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beta}-glucosidase$ 효소 활성도는 높았으며 반죽 정치시간 20분이 0분이나 40분 보다 효소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콩 과자 반죽에 포함된 이소플라본 함량은 예상된 함량 보다 약 15.2-31.5% 가량 적게 검출 되었다. 콩가루의 이소플라본 분포에 비해 콩 과자는 aglycones과 $6@-O-{\beta}-glucosides$는 증가하였고 $6@-O-malonyl-{\beta}-glucosides$는 감소하였다. 콩 과자의 aglycone 함량 증가에는 아몬드 첨가 보다 반죽 정치시간 증가가 더 효율적이었다.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ta}-Glucosidase$ from Penicillium verruculosum

  • Chun, Soon-Bai;Kim, Dong-Ho;Kim, Kang-Hwa;Chung, Ki-Ch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188-196
    • /
    • 1991
  • The ${\beta}-glucosidas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the culture filtrate of P. verruculosum by column chromatography. The enzyme was a glycoprotein with a relative size of approximately 220 kDa with an isoelectric point of 4.8, which was composed of dimeric protein of 105 kDa. The enzyme was stable up to $60^{\circ}C$ and the presence of glycerol significantly increased its thermostability. The enzyme was found to hydrolyze both ${\beta}-aryl$ and ${\beta}-alkyl-glucosides$ in addition to ${\beta}-glucosyl$ glucose and catalyzed glucosyl transfer to cellobiose. The enzyme attacked laminarin in an exotype-like fashion. The apparent Km's of the enzyme toward cellobiose, laminaribiose, laminarin were 0.53 mM, 0.35 mM and 1.11 mM, respectively. Glucose and glucono-${\delta}-lactone$ were competitive inhibitors for the enzyme. Copper ($Cu^{2+}$), mercury ($Hg^{2+}$) and p-chloromercuribenzoate were strong inhibitors of the enzyme. The immunoblotting result revealed that one form of ${\beta}-glucosidase$ was biosynthesized, irrespective of carbon sources use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the in vitro translated product of total RNA from avicel grown mycelium established that the P. verruculosum ${\beta}-glucosidase$ precursor was approximately 95 kDa in size.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are given.

  • PDF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물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 (Inhibition of α-Glucosidase by a Semi-Purified Ethyl Acetate Fraction from Submerged-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urill)

  • 정관주;문연규;권정민;안채린;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79-1585
    • /
    • 2011
  • ${\beta}$-Glucan 분획을 제거한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액(${\beta}$-glucan-free HEAB)으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alpha}$-glucosidase 활성저해 소재를 개발하였다. ${\beta}$-Glucan-free HEAB를 용매분획하여 10 mg/ml 농도에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A분획이 가장 강한 활성(61.6% 저해)을 나타내었고, 경구혈당강하제인 acarbose (5 mg/ml; 39.5% 저해) 보다 강하였다. EA분획을 더 분획하여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80.4%인 분획을 얻었다. 이 분획에는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갖는 daidzin 및 genistin과 같은 isoflavone과 isoflavone의 sugar conjugate된 물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beta}$-glucan-free HEAB나 EA분획물은 인체의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treptomyces속 균주가 생성하는 $\alpha$-D-Glucosidase 저해물질의 작용상 (Inhibition Mechanism of $\alpha$-D-Glucosidase Inhibitor from Streptomyces sp)

  • 도재호;주현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3
    • /
    • 1990
  • 본 저해물질은 10Mug의 Alpha-D-glucosidase에 대해서 50Mug 및 100Mug을 첨가했을 때 저해율은 각각 60, 80 정도였으며 enzyme-inhibitor complex를 비교적 서서히 형성하여 5분간 진처리하였을 때 약 5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Alpha-D-glucosidase, Alpha-galactosidase및 Beta-galactosidase를 제외한 탄수화물 분해효소에 대해서는 저해능이 없었으며, Alpha-D-glucosidase에 대한 저해양상은 non-competitive type 이었으며 Ki 값은 118 $\mu$g/m$\ell$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