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Glucan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34초

${\beta}$-Glucan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이화학적${\cdot}$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 Cake with Added ${\beta}$-Glucan)

  • 유정선;조경미;신유미;권오윤;김미경;조한영;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97호
    • /
    • pp.70-77
    • /
    • 2007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different amounts of ${\beta}$-glucan, 2%, 4% and 6%. Addition of ${\beta}$-glucan did not affect the texture property of batter in terms of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hardness. The volume of the sponge cak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only 6% ${\beta}$-glucan add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H, height, weight and moisture content of the cak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beta}$-glucan added groups. Lightness and yellowness of the cake crust were the highest in the 4% ${\beta}$-glucan group, while rednes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beta}$-glucan content. The color of the cake crumb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beta}$-glucan group, and nor were the texture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y of the sponge cake. Thes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addition of ${\beta}$-glucan up to 4%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sponge cake.

조직 재생을 위한 Poly (D, L-lactide-co-glycolide) 표면에 $(1{\to}3)(1{\to}6)-{\beta}-glucan$ 고정에 대한 세포 점착 및 성장 효과 (Surface Immobilization of $(1{\to}3)(1{\to}6)-{\beta}-glucan$ onto Biodegradable Polymer for Tissue Regeneration)

  • 이상길;이정복;유성미;박종철;최재봉;김정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18-223
    • /
    • 2006
  • We examined the effects of ${\beta}$-glucan-reinforced PLGA film and scaffold on HDFs (human dermal fibroblast)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The PLGA films were prepared by simple solvent-casting method. The prepared films were grafted with $(1{\to}3)(1{\to}6)-{\beta}-glucan$ in various ratios after plasma treatment on surface. The surface of the film was characterized by contact angle measurement,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FT-IR). The amount of $(1{\to}3)(1{\to}6)-{\beta}-glucan$ in the prepared film was indirectly determined by phenol-sulfuric acid method. The HDFs (Human dermal fibroblasts) were used to evaluate the cel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n PLGA specimens before and after plasma/${\beta}-glucan$ treat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plasma treated groups exhibited more mont of ${\beta}-glucan$ might be grafted than the non plasma treated groups. Cell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plasma/${\beta}-glucan$ grafted group after 4 hours incubation (p<0.05) due to the improved hydrophilicity and cytoactivity effect of the ${\beta}-glucan$. The cell proliferation of plasma/${\beta}-glucan$ (2mg/ml) grafted group was the highest rate among the groups (p<0.05).

메성 및 찰성보리 ${\beta}-Glucan$의 리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beta}-Glucan$ Isolated from Non-waxy and Waxy Barley)

  • 최희돈;박용곤;장은희;석호문;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90-597
    • /
    • 2000
  • ${\beta}-Glucan$의 점증제 및 겔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메성 및 찰성보리 ${\beta}-glucan$ 용액의 리을로지 특성을 비교하였다. 메성 및 찰성보리 ${\beta}-glucan$ 용액 모두 의가소생 유체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Power law mdel에 잘 적용되었다. Arrhenius 식에 의해 구한 층밀림 속도 $700s^{-1}$에서의 겉보기 점도의 활성화에 너지는 농도가 1%에서 4%로 .증가함에 따라 메성 ${\beta}-glucan$의 경우 20.01에서 16.78kj/mol로, 찰성 ${\beta}-glucan$의 경우 지수의 경우 27.18에서 17.82kj/mol로 감소하였으며, 지수함수식에 의해 구한 농도의존성 상수인 A는 온도가 $20^{circ}C$에서 $65^{circ}C$로 증가함에 따라 메성 ${\beta}-glucan$의 경우 $0.37%^{-1}$에서 $0.42%^{-1}$로, 찰성 ${\beta}-glucan$의 경우 $0.49%^{-1}$에서 $0.57%^{-1}$로 증가하였다. 찰성보리 ${\beta}-glucan$의 고유점도는 2.38dL/g으로 메성보리 ${\beta}-glucan$의 1.60dL/g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비점도와 환원농도의 관계에서 구한 critical coil overlap parameter($C^*[{\eta}]$)를 경계로 기울기가 달라져 $C[{\eta}] 영역에서는 메성 및 찰성보리 ${\beta}-glucan$ 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C[{\eta}]>C^*[{\eta}]$ 영역에서는 각각 2.907과 3.757을 나타내었다. 동적점탄성 측청 결과 진동수 변환중 cross-over가 일어나고 이후의 진동수 영역에서는 저장탄성율이 손실탄성율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24시간 경과 후 겔을 형성하여 겔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베타-1,3-글루칸 합성효소 저해제의 스크리닝을 위한 효소원 제조법 (Preparation of Enzyme Source for Screening of Enzyme Inhibitor of $\beta$-1,3-glucan Synthase)

  • 박희문;이동원;송미령;김정윤;김성욱;복성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1-315
    • /
    • 1995
  • Assay conditions for screening of $\beta$-1,3-glucan synthase inhibitor were evaluated. Cells in the beginning of mid-log phas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f the $\beta$-1,3-glucan synthase. Cells permeabilized with 1% digitonin treatment could be used as a good crude enzyme source for convenient screening of the $\beta$-1,3-glucan synthase inhibitors. Calcofluor white (0.125% in final) and papulacandin B (25 $\mu$g/ml) inhibit 90% and more than 50% of the $\beta$-1,3-glucan synthase activity, respectively. Cells grown at 37$\circ$C showed higher enzyme activity than those of 25$\circ$C. Catalytic factor of the $\beta$-1,3-glucan synthase was solubilized from particulated membrane preparations, holoenzyme, by extracting with 0.00938% CHAPS.

  • PDF

Generation and Evaluation of High ${\beta}$-Glucan Producing Mutant Strains of Sparassis crispa

  • Kim, Seung-Rak;Kang, Hyeon-Woo;Ro, Hyeon-Su
    • Mycobiology
    • /
    • 제41권3호
    • /
    • pp.159-163
    • /
    • 2013
  • A chemical mutagenesis technique was employed for development of mutant strains of Sparassis crispa targeting the shortened cultivation time and the high ${\beta}$-glucan content. The homogenized mycelial fragments of S. crispa IUM4010 strain were treated with 0.2 vol% methyl methanesulfonate, an alkylating agent, yielding 199 mutant strains. Subsequent screening in terms of growth and ${\beta}$-glucan content yielded two mutant strains, B4 and S7. Both mutants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eta}$-glucan productivity by producing 0.254 and 0.236 mg soluble ${\beta}$-glucan/mg dry cell weight for the B4 and S7 strains, respectively, whereas the wild type strain produced 0.102 mg soluble ${\beta}$-glucan/mg dry cell weight. The results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chemical mutagenesis for generation of mutant mushroom strains.

등숙 중인 보리 종실중 (1-3, 1-4)-$\beta$-Glucan과 전분 함량 및 이들의 가수분해효소 활성 ((1-3, 1-4)-$\beta$-Glucan and Starch Contents and Their Hydrolytic Enzyme Activities in Developing Barley Kernels)

  • 윤성중;박상래;유남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03-409
    • /
    • 1997
  • 취반용 보리 종실 내 (1-3, 1-4)-$\beta$-glucan의 축적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화 후 일정 간격으로 보리 종실을 채취하여 (1-3, 1-4)-$\beta$-glucan 함량, (1-3, 1-4)-$\beta$-glucanase 활성 및 전분함량과 $\alpha$-amyl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beta$-glucan 함량은 등숙 초기에 매우 낮았으나 개화 후 15~25일 사이에 급속히 증가하였고 개화 후 30일경에는 종실 건물중의 3.5~4%로 증가하였다. (1-3, 1-4)-$\beta$-glucanase 활성은 등숙 초기에 높았으며 등숙이 진전될수록 감소하였다. $\beta$-glucan 함량과 (1-3, 1-4)-$\beta$-glucanase 활성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나 등숙 종실 중의(1-3, 1-4)-$\beta$-glucanase 활성이 매우 낮은 수준이므로 $\beta$-glucan 축적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분함량은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개화 후 10~20일에 가장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포도당함량은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등숙 초기와 중기에 감소 정도가 매우 컸다. $\alpha$-amylase의 활성도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감소 정도는 등숙 초기와 중기에 매우 컸다.

  • PDF

영지버섯에서 추출한 $\beta$-glucan 이 자돈의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glucan Extracted from Youngji Mushroom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Weaning Pigs)

  • 김종덕;심금섭;최낙진;김지훈;김용현;권현정;김선기;한만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01-418
    • /
    • 2010
  • 영지버섯에서 추출한 균사체 함량은 배지 L당 8.52g, 균체외 다당류는 4.49g으로 $\beta$-glucan 생산능력이 우수한 영지버섯을 선발하였으며, 대두분과 수용성전분 등을 이용한 최적의 산업용 버섯배양배지를 개발하였다. 원심분리와 냉동건조방법으로 제조한 $\beta$-glucan을 자돈사료에 첨가하여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설사, 폐사율 및 경제성을 비교하여 항생제대체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삼원교잡종(Landrace${\times}$Large White${\times}$Duroc) 이유자돈(8.6kg) 144두를 선발하여 28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은 4처리 4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T1 처리구(-control)는 무항생제, T2 처리구(+control)는 항생제, T4 처리구는 무항생제에 $\beta$-glucan 0.2% 첨가, T3 처리구는 항생제와 $\beta$-glucan 0.2% 첨가하였다. 이유전기 (phase I, 0~14일)에서는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효율은 처리간에 차이가 있었다(p<0.05). 한편 이유후기(phase II, 15~28일)와 전 기간(0~28일)에서는 사료섭취량과 사료효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당증체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전 기간의 일당증체량의 비교에서 설사지수와 분변의 수분함량은 T3와 T4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다(p<0.05). 이유자돈 분변의 수분함량은 T3와 T4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으나(p<0.05), 설사지수와 폐사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유자돈 시험의 경제성분석 결과 이유전기에서는 항생제와 $\beta$-glucan을 첨가함에 따라 사료비가 증가하였으나, 섭취량과 증체량을 고려한 사료비에서는 $\beta$-glucan을 첨가한 처리구(T3 및 T4)가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T1 및 T2)보다 감소하여 $\beta$-glucan의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유후기의 $\beta$-glucan의 효과가 이유전기의 효과가 적 었다. 이상의 이유자돈시험을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능성 $\beta$-glucan은 이유자돈의 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경제성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항생제 대체제로서 일정 부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보리 ${\beta}-glucan$ 농축획분 섭취가 흰쥐 혈장과 변의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ta}-glucan-enriched$ Barley Fraction on the Lipid and Cholesterol Contents of Plasma and Feces in Rat)

  • 석호문;김성란;최희돈;김흥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78-683
    • /
    • 2002
  • 메보리인 송학과 찰보리인 찹쌀보리를 대상으로 ${\beta}-glucan$ 함량을 높인 농축획분을 제조한 후 이를 실험식이에 첨가하여 흰쥐의 혈장과 분변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보리 ${\beta}-glucan$ 농축획분을 식이섬유원으로 첨가한 N glucan(5%)군과 W glucan(5%)군의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fiber-free 군 및 control 군보다 낮았다. 혈장의 HDL 콜레스테롤 함량은 control 군이 30.2 mg/dL인 반면 N glucan(5%)군에서 39.6 mg/dL, W glucan(5%)에서 33.8 mg/dL로 나타나 보리 ${\beta}-glucan$ 농축획분 섭취에 의해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이 메보리인 N glucan(5%)군에서 관찰되었다. 식이섬유 함량 10%까지 농축획분 첨가량을 증가시킨 W glucan(10%)군을 W glucan(5%)군을 비교해보면 식이섬유 함량이 증기됨에 따라 혈장의 중성지방 수치가 낮아지고 HDL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소 증기되었으나 유의적이 차이는 아니었다. 변의 무게는 보리 ${\beta}-glucan$ 첨가 군들이 control 군보다 $1.5{\sim}2$배 이상 많았다. Control군인 cellulose 첨가군은 변으로 38.2 g/day의 콜레스테롤과 2.6 g/day의 중성지방을 배설하였다. 따라서 0.5%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고 5%의 식이섬유를 보리 ${\beta}-glucan$ 농축획분으로부터 공급했을 때 체내 지질 흡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배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지방 배설과 관련된 효과는 송학 메보리보다 분자량이 크고 점성이 높은 찰쌀보리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루칸 투여에 의한 한국산 메기(Silurus asotus)의 Edwardsiella ictaluri와 Aeromonas hydrophila감염증에 대한 저항성의 증가 (Enhancement of the resistance of Korean catfish(Silurus asotus) to experimental Edwardsiella ictaluri and Aeromonas hydrophila infection by $\beta$-glucan administration)

  • 박성우;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9-85
    • /
    • 1996
  • $\beta$-glucan의 투여가 세균감염증에 대한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강주사 또는 침지에 의해 한국산 메기(Silurus asotus)에 투여하였다. 투여 농도는 어체중 100 g 당 200, 500, $1000{\mu}g$을 1회 또는 3일 간격으로 2회 복강주사하거나, $100{\mu}g$/ml의 $\beta$-glucan 부유액에 30분 또는 1시간 침지시켰다. $\beta$-glucan 투여 3일후에 Edwardsiella ictaluri와 Aeromonas hydrophila의 생균액($2{\times}106$ CFU/0.1 ml)을 복강주사한 다음 10일간 사육하면서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복강주사와 침지에 의한 투여결과 복장투여만이 생잔율을 높일 수 있었으며, 투여 농도에 있어 어체중 100 g당 $200\sim1000{\mu}g$의 범위에 있어서는 농도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투여회수는 1회 투여보다는 3일간격으로 2회 투여가 효과적이었으며, E. ictaluri보다는 A. hydrophila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한국산 메기에 $\beta$-glucan을 복강투여함으로서 세균감염증의 초기단계에 있어 생잔율을 높일 수 있었다.

  • PDF

식이 베타-글루칸이 흰쥐의 장내 단쇄지방산 조성 및 장내환경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β-Glucan on Short Chain Fatty Acids Composition and Intestinal Environment in Rats)

  • 홍경희;장기효;강순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2-170
    • /
    • 2016
  • The effects of dietary ${\beta}$-glucan, obtained from bacterial fermentation, on the intestinal mass, short chain fatty acids, lactate production and pH in Sprague-Dawley (SD) rats were evaluated. SD rats fed with 0% (control group), 1% or 5% ${\beta}$-glucan supplemented diets (w/w) for 3 weeks. The presence of ${\beta}$-glucan in the diet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colonic contents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amount of short chain fatty acids increased in rats fed ${\beta}$-glucan diets. Rats fed the 5% ${\beta}$-glucan diets had higher levels of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by 1.8, 1.7 and 3.0 fold of the control group in the cecum, and 2.2, 2.9 and 3.1 fold of the control group in the colon, respectively. The ${\beta}$-glucan diet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s of cecal and colonic lactate by 1.4~3.4 fol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indicating that dietary ${\beta}$-glucan stimula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ithin the intest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beta}$-glucan, by providing short chain fatty acids and reducing the cecal and colonic pH, may be beneficial in improving gut health, and provide evidence for the use of ${\beta}$-glucan as a dietary supplement for human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