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Amylase$

검색결과 968건 처리시간 0.027초

외래 알파아밀라제의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의 생산과 분비효율의 증진 (Improvement of Production and Secretion of Heterologous \alpha-Amylas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최성호;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6-41
    • /
    • 2003
  • Saccharomyces cerevisiae로부터 외래 $\alpha$-amylase의 발현 및 분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여러 실험이 수행되었다. ADC1 promoter와 mouse salivary $\alpha$-amylase cDNA gene의 native signal sequence를 효모의 PRB1 promoter와 invertase leader sequence로 대치한 plasmid vector pCNN(AMY)를 제작하였다. 효모세포에서 생성된 $\alpha$-amylase의 세포외로의 분비율은 mouse o-amylase의 native signal sequence인 경우는 약 89.4%이었으며 invertase leader sequence로 치환된 경우는 96.3%로 분비효율이 증진되었다. 야생주인 K8l/pCNN(AMY)와 호흡결여변이주인 K81/pCNN(AMY)p-의 혐기적 조건하에서의 배양 결과 $\alpha$-amylase 생산량이 K8l/pCNN(AMY)보다 K81/pCNN(AMY)p-가 약 5~8배 정도 증가하였다. $\alpha$-Amylase의 생산에 있어서 배지조성에 따른 K81/pCNN(AMY)의 생산증진의 비교는 배지성분인 yeast extract와 peptone의 구성비율을 비교하였을 때 yeast extract 1%와 peptone 2%, NaCl의 경우 100 mM, 2-mercaptoethanol인 경우에는 0.015%(w/v)을 첨가하였을 때 최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2-mercaptoethanol인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해 효소 생산량이 약 3배 정도 증진되었다.

말채나무 추출물의 ${\alpha}-amylase$ 저해 활성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alpha}-amylase$)

  • 임채성;이춘영;김용무;이위영;이해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103-108
    • /
    • 2005
  • ${\alpha}-Amylase$ 저해제는 소장에서 전분의 소화를 저해하여 포도당의 흡수를 지연시킴으로써 혈당 조절 목적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lpha}-amylase$ 저해제를 탐색할 목적으로 국내 자생 목본류 약 1400여종의 70% ethanol 추출액을 대상으로 ${\alpha}-amylase$ 저해제 분포를 검색하였다. 수종의 목본류에서 ${\alpha}-amylase$ 저해제가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활성이 비교적 높은 말채나무 기원의 저해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원별 효소에 따른 저해 활성도를 살펴보면 salivary와 pancreatic ${\alpha}-amylase$, 미생물 기원의 ${\alpha}-glucosidase$에는 탁월한 저해 활성을 보인 반면 돼지 기원의 ${\alpha}-glucosidase$ 저해제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alpha}-Amylase$${\alpha}-glucosidase$의 kinetic을 분석하면 salivary와 pancreatic 두 효소에 모두 경쟁적 저해제로, 효모의 ${\alpha}-glucosidase$에는 비경쟁적과 반경쟁적의 혼합형 저해제로 나타났다. 또한 열과 산성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추출물의 식이 섭취에 따른 혈당 강하 효과와 체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혈당과 체중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었고, mRNA수준에서 대퇴근 세포에 있어서 GLUT4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내산성 ${\alpha}-Amylase$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cid-stable Alpha-amylase)

  • 김학주;변시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1권2호
    • /
    • pp.103-108
    • /
    • 1978
  • Paecilomyces subglobosum이 생산하는 내산성 ${\alpha}-amylase$를 Sephadex G-150으로 정제한 결과 순수정제가 되지 않았으나 glucoamylase와 분리되었다. 조효소를 사용하여 내산성 amylase의 일반 성질을 조사한 결과 최적 pH는 4.0이었고 최적온도는 $38^{\circ}C$이었다. 이 효소는 보통 ${\alpha}-amylase$와 비교하여 pH에 대한 안정성은 매우 좋았으나 열 안정성은 비슷하였다. 전분에 대한 가수분해력이 좋았으며 생성물을 박충 크로마토그라피로 조사한 결과 말토스도 분해하는 것을 알았다.

  • PDF

해양 호염성 세균 Vibrio alginolyticus가 생산하는 Extracellular Amylase의 특성 (Properties of an Extracellular Amylase Produced by the Marine Halophilic Bacterium Vibrio alginolyticus)

  • 김영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3-207
    • /
    • 1999
  • V. alginolyticus 138-2, a marine halophilic bacterium, produced an extracellular amylase with a molecular weight of ca. 56,000. The analysis of the digestion products of soluble starch by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revealed that the extracellular amylase of V. alginolyticus 138-2 is a saccharifying-type alpha-amylase. The alpha-amylase activity of the culture supernatant of soluble starch was optimal at pH 6.0 and 45$^{\circ}C$. Ca2+ slightly increased the alpha-amylase activity, whereas Hg2+, An2+, Cu2+, Ni2+, Fe2+, and Mn2+inhibited the enzymatic activity. Alkylating thiol group agent, iodoacetic acid did not affect the alpha-amylase activity, but reduced thiol reagents such as dithiothreitol, cysteine, and beta-mercaptoethanol stimulated theenzymatic activity. On the other hand, even if V. alginolyticus 138-2 is a marine halophilic bacterium, its alpha-amyl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NaCl.

  • PDF

Studies on Screening and Isolation of .$\alpha$-Amylase Inhibitors of Soil Microorganisms (I)

  • Kwak, Jin-Hwan;Choi, Eung-Chil;Kim, Byong-Ka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67-75
    • /
    • 1985
  • To find emylase inhibitors produced by microorganisms from soil, a strain which had a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alpha.-amylase was isolated from the soil smaple collected in Seoul.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s strain on several media and its utilization of carbon sources showed that it was one of Streptomyces specti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reptomyces Project method. The amylase inhibitor of this strain was purified by means of acetone precipitation, adsorption on Amberlite XAD-2, and column chromatography on Amberlite CG-50 and SP-Sephadex C-25. The inhibitor was stable at the pH range of 1-10 and at 100.deg.C for half an hour, and had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other amylases such as salivary .alpha.-amylase, pancreatic .alpha.-amylase, fungal .alpha.-amylase and glucoamylase. The kinetic studies of the inhibitor showed that its inhibitory effect on starch hydrolysis by .alpha.-amylase was non-competitive.

  • PDF

Herpetosiphon geysericola 균주의 Amylase 생성 (Production of Amylases from Herpetosiphon geysericola)

  • 전영수;서정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8-191
    • /
    • 1985
  • 퇴비 숙성초기에 고온성 cellulose 분해이용균으로 분리된 Herpetosiphon geysericola CUM 317균주는 전분분해 효소인 ${\alpha}-amylase,\;{\beta}-amylase$ 및 glucoamylase를 모두 생성한다. 이 균을 사용하여 그 배양조건을 달리하여 각 amylase의 생성관계를 서로 비교한바 50℃의 밀기울 고체배지나 $40^{\circ}C$의 액체배지상에서 ${\beta}-amylase$는 배양초기 10시간만에 최대의 생성력가를 보였는 반면, ${\alpha}-amylase$와 glucoamylase는 30 내지 40시간 정도의 배양말기에 최대를 이루었다. Polypeptone을 함유한 액체배지에 탄소원의 첨가나 무기질소원의 첨가는 전반적으로 amylase들의 생성이 크게 저하되었으나 cellulose에 의해서 glucoamylase의 경우 150% 정도 증가되었다. 액체배지에 $CuSO_4$를 첨가해 줌으로서 ${\alpha}-amylase$만의 생성증가 효과를 얻었고 $CdSO_4$에 의하여 ${\beta}-amylase$만의 생성증가가 있었으며, 그리고 $CaCl_2$에 의하여 glucoamylase만의 증가효과가 있은 반면, 상대적으로 ${\beta}-amylase$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났다. 이들 amylase들의 최적 효소생성 pH는 7.5였으며, 최적온도는 ${\alpha}-amylase$와 glucoamylase의 경우 $40^{\circ}C$였고 ${\beta}-amylase$$30^{\circ}C$였다.

  • PDF

과요오드산 산화전분 변형에 의한 아밀라아제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Amylolytic Enzymes by Modification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61-564
    • /
    • 1998
  • The stabilizatio of amaylolytic enzyme such as $\beta$-amylase of barley, $\beta$-amylase of wheat, $\beta$-amylase of sweet potato, $\alpha$-amyl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alpha$-amylase of Aspergillus sp. and $\alpha$-glucosidase of Aspergillus awamori was attained by modification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The pH stability of modified enzyme was increased at pH 9 for $\beta$-amylase of sweet potato, pH 3~5 and 8~11 for $\beta$-amylase of barley, pH 2~3 and 7~12 for $\beta$-amylase of wheat and pH 6 for $\alpha$-glucosidase of Aspergillus awamori. Thermal stability increased 17.6% for $\alpha$-amylase of Aspergillus sp. at 6$0^{\circ}C$ for 10min, 30% for $\alpha$-amyl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at 10$0^{\circ}C$ for 5min and 4.5% for $\alpha$-amylase of sweet potato at 6$0^{\circ}C$ for 10min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enzymes.

  • PDF

[ Sr2+ ] Stimulation of α-amylase and RNAse in Wheat Aleurone Layer

  • Kim, Tae-W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0-293
    • /
    • 2003
  • To measure an effects of strontium on secretion of ${\alpha}$-amylase and RNase, wheat aleurone layers were isolated after the pre-incubation in a solution with or without 10 mM $SrCl_2$ or $CaCl_2$ for 3 days at $25^{\circ}C$ in the dark under aseptic conditions. The secretion of ${\alpha}$-amylase reached a maximum at 72 h after incubation. $Sr^{2+}$ induced more effectively secretion of ${\alpha}$-amylase than $Ca^{2+}$. The ${\alpha}$-amylase secretions by $Sr^{2+}$ or $Ca^{2+}$ ware about $2 (Ca^{2+})$ to $2.5 (Sr^{2+})$ fold higher than it without divalent ions, When aleurone layers were incubated without divalent ions, however, the ${\alpha}$-amylase was remarkably retained in the tissues. Total ${\alpha}$-amylase synthesis (ie. tissues + media) was slightly lowered by 10mM $SrCl_2$ addition. It seemed that the RNase secretion begins at 18 h after incubation. This meaned that the RNase secretion may process slower than ${\alpha}$-amylasee secretion. $Ca^{2+}$ effect on RNase secretion is stronger than $Sr^{2+}$ unlikely to ${\alpha}$-amylase. The secretion process is likely to be suddenly induced between 72 hand 96 h.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ecretion was enhanced after the accumulation in aleurone layers.

폴리에칠렌글리콜이 그라프트된 폴리우레탄 디바이스로부터 안지오텐신 및 ${\alpha}$-아밀라제의 방출 (In Vitro Release of Angiotensin and ${\alpha}-Amylase$ from Polyethylene Glycol-Grafted Polyurethane Devices)

  • 하정헌;김성호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9권4호
    • /
    • pp.185-190
    • /
    • 1989
  • The release of angiotensin and ${\alpha}-amylase$ from monolithic devices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 of polyethylene glycol (PEC) grafted polyurethane copolymer was investigated. Water-soluble PEG grafted polymer provided a controlled release of angiotensin and ${\alpha}-amylase$. The release rate of angiotensin and ${\alpha}-amylase$ could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molecular weight of PEC grafted. The release mechanism may be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pore or domain through the devices following the gel swelling and self-aggregation by PEC grafted polymer. Hydrophobic polyurethane grafted with PEG can provide a biomaterial for prolonged release of angiotensin and ${\alpha}-amylase$ from angiotensin and ${\alpha}-amylase$ blended system.

  • PDF

${\alpha}-Amylase$ 고생산성 Bacillus licheniformis 변이주의 개발과 특성 분석 (Development of an ${\alpha}-amylase-hyperproducing$ mutant of Bacillus licheniformis and its characteristics)

  • 정허진;정경화;장종수;윤기흥;박승환;김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18-22
    • /
    • 1998
  • Bacillus licheniformis를 화학적 돌연변이를 시켜 내열성 ${\alpha}-amylase$ 고생산성 변이주 SK-5를 얻었다. 변이주는 모균에 비하여 약 50배 정도의 ${\alpha}-amylase$를 생산하였으며, 그 모양이 가늘고 길이가 길어졌고, 성장속도가 감소되었다. 이 효소의 유전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변이주 SK-5로부터 ${\alpha}-amylase$ 유전자 염기배열을 결정한 결과 구조유전자의 염기배열은 동일하였으나 promoter 지역에서 일부 변이가 일어난 것이 확인되어 이것이 부분적으로 효소생산성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SK-5의 ${\alpha}-amylase$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이의 배양상층액으로부터 열처리와 황산암모늄 침전 후 한 단계의 hydroxyapatite 컬럼을 사용하여 순수하게 정제된 ${\alpha}-amylase$를 얻을 수 있었다. 변이에 따른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SK-5 배양액을 시간별로 준비하여 Western blot으로 분석한 결과 변이주에서 분비되는 ${\alpha}-amylase$의 구조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