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Cypermethri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2초

키토산 캐리어 나노제형의 α-cypermethrin과 etofenprox의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살충효과 (Insecticidal effects of Chitosan-formulated etofenprox and α-cypermethrin against Myzus persicae and Aphis gossypii (Homoptera: Aphididae))

  • 서미자;강민아;권혜리;윤규식;박민우;강은진;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33-342
    • /
    • 2010
  • 키토산 캐리어의 분자량차이에 따른 ${\alpha}$-cypermethrin 두 제형(Nano M.W. 3,000과 30,000)과 키토산 함량차이에 따른 etofenprox 두 가지 채형(Nano M.W. 30,000의 70%와 80%)의 처리후 경과일에 따른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율과 재체군증가율을 조사하여, 서방형 제형의 키토산 캐리어 나노제형 살충제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lpha}$-cypermethrin 나노제형은 목화진딧물에 대해 처리 후 14 일이 경과했음에도 40% 정도의 살충율을 유지하고 있어 처리 후 시간이 경과했음에도 캐리어를 통한 살충제의 용출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처리 후 4일까지는 나노타입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처리 후 14 일 이후부터 키토산 분자량차이에 따른 제형간 차이를 보였는데, 키토산분자량 30,000 제형이 개체군증가율 -0.037로 3,000제형의 개체군증가율인 0.218보다 훨씬 낮아 살충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etofenprox는 두 종 모두의 진딧물에 대해 나노제형의 살충효과의 지속효과가 확인되지 않아 서방형 나노제형으로서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고춧가루 중 잔류농약 제거효과 연구 (Removal effect of residual pesticides in red pepper powder by UV irradiation)

  • 정유정;엄미나;정일형;손종성;김경아;신상운;오상헌;김봉렬;채경석;윤미혜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5-150
    • /
    • 2012
  • 고춧가루에 잔류되어 검출 빈도가 높은 농약인 Endosulfan(${\alpha}$-, ${\beta}$-체) Cypermethrin, Fenitrothion, Hexaconazole, EPN을 고춧가루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뒤 365, 254 nm 파장에서 조사거리와 조사시간을 달리하여 잔존률을 조사하여 자외선 조사로 인한 농약의 제거효과를 알아보았다. 365 nm의 경우 조사거리 20 cm, 조사시간이 5분일 때 ${\alpha}$-Endosulfan 73.4%, ${\beta}$-Endosulfan 69.6%, Cypermethrin 60.8%, Fenitrothion 92.7%, Hexaconazole 73.8%, EPN 90.5%의 잔존률을 나타내었으며, 254 nm의 경우 조사거리 5 cm, 조사시간 36시간 일 때 ${\alpha}$-Endosulfan 74.6%, ${\beta}$-Endosulfan 64.5%, Cypermethrin 71.1%, Fenitrothion 79.1%, Hexaconazole 79.4%, EPN 64.7%의 잔존률을 나타냈다.

농약 및 동물용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약제의 잔류허용기준 설정 개선 - 축산물 중 cypermethrin의 잔류 사례 (Harmonization of MRL Setting for Compounds Used Both as Pesticides and as Veterinary Drugs with Regulatory Aspects - Cypermethrin in Food of Animal Origin)

  • 권진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9-97
    • /
    • 2011
  • 축산물 중 cypermethrin 잔류를 예로 농약 및 농물용의 약품으로 사용되는 약제와 이성질체를 포함한 약제에 대한 잔류허용기준 설정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실험과 문헌을 통해 검토하였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잔류허용기준설정을 위해서는 분석 대상 시료 및 적용부위의 명확성과 합의된 정의의 도출 그리고, 분석 대상화합물의 명확한 지정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규제 검사, 연구목적의 모니터링, 관련 분석법 개발 등이 보다 깊은 연관성을 가질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들의 관심과 합의점 도출은 매우 중요하다.

시설재배 부추(Allium tuberosum R.)와 쪽파(Allium wakegi Araki) 중 α-Cypermethrin과 Deltamethrin의 잔류특성 및 안전성 평가 (Study on Residual Properties and Risk Assessment of α-Cypermethrin and Deltamethrin in the Chives (Allium tuberosum R.) and Spring onion (Allium wakegi Araki))

  • 조영주;최정윤;함헌주;허장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5-64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assessment of αcypermethrin and deltamethrin in minor crops, chives and spring onion cultivated in greenhouse. METHODS AND RESULTS: The insecticides α-cypermethrin 2% EC and deltamethrin 1% EC used in the experiment were diluted 1,000 times and then sprayed on chives and spring onion twice with 1-week intervals at 0, 7, 14, and 21 days before harvest. The residual insecticides were extracted from the minor crops using QuEchERS method and analyzed by GC-MS/MS. The average initial residues of α-cypermethrin and deltamethrin in chives after 21 days decreased from 2.74 to 0.82 mg/kg and 1.12 to 0.16 mg/kg, respectively. Similarly, in spring onion the residues after the same periods decreased from 0.26 to <0.01 mg/kg for α-cypermethrin and from 0.07 to <0.01 mg/kg for deltamethrin. CONCLUSION(S): The PHIs (pre-harvest intervals) for α-cypermethrin and deltamethrin in chives are recommended as 14 days before harvest with twice applications of the pesticides, whereas for α-cypermethrin in spring onion PHI of 7 days before harvest is recommended with 3 times of applications and PHI of 21 days for deltamethrin. The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s of cypermethrin and deltamethrin were 68.8% and 64.2%,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residues of both compounds did not pose considerable health risks to consumers.

권연벌레와 어리쌀바구미에 대한 26종 살충제의 접촉독성 및 잔효성 (Contact and Residual Toxicities of 26 Insecticides Against the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and the Maize Weevil, Sitophilus zeamais)

  • 조선란;신윤호;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0-316
    • /
    • 2011
  • 시판되고 있는 26종의 살충제를 이용하여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와 어리쌀바구미(Sitophilus zeamais) 성충에 접촉독성 방법인 약제감수성 잔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권연벌레 성충에 100%의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cypermethrin, ${\alpha}$-cyhalothrin등 7종이었으며, 어리쌀바구미 성충에 대해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등 5종이었다. 이들 약제의 반수치사농도($LC_{50}$ ppm)를 구한 결과, 권연벌레는 ${\alpha}$-cyhalothrin이 1.46, 어리쌀바구미는 chlorpyrifos-methyl이 0.64로 가장 낮아 독성이 높았다. 잔효성은 권연벌레 성충에 대해서는 chlorpyrifos-methyl이 처리 후 90일, ${\alpha}$-cyhalothrin이 처리 후 9일 경과까지 100%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어리쌀바구미 성충에 대해서는 chlorpyrifos-methyl이 처리 후 90일, phenthoate가 27일까지 100%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총채벌레의 천적인 으뜸애꽃노린재에 대한 농약 독성 (Toxicity of Pesticides to Minute Pirate Bug, Orius strigicollis Poppius (Hemiptera: Anthocoridae), a Predator of Thrips)

  • 안기수;이기열;강효중;박성규;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7-262
    • /
    • 2004
  • 병해충 방제약제로 등록된 51종의 농약(살충제 25종, 살비제 11종, 살균제 11종 그리고 농약보조제 4종)에 대한 으뜸애꽃노린재 약충과 성충의 독성을 조사하였다. 살충제 중에서는 flpronil, lufenuron, acetamiprid+fipronil, $\alpha$-cypermethrin+flufenoxuron, buprofezin+amitraz of 독성이 낮았고, 살비제 중에서는 acequinocyl, bifenazate, chlorfenapyr, etoxazole, fenpyroximate, flufenoxuron, milbemectin, spirodiclofen, tebufenpyrad가 독성이 낮거나 없었다. 살균제와 농약보조제는 모두 낮은 독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시설 병해충의 종합관리체계 에서 으뜸애꽃노린재에 독성이 적은 약제와 으뜸애꽃노린재를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삼과 홍삼농축액 중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 (Residue of Organophosphoru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Fresh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

  • 김정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7-34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경북의 풍기와 상주에 있는 인삼재배포장에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이용한 홍삼농축액제품을 제조하였다. 수삼과 홍삼농축액 중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을 GC-NPD와 GC-ECD로 각각 정량분석 하였으며 GC-MSD로 정성분석을 실시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이 2007년 1월1일부터 시행한 농약잔류허용기준에 따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풍기 수삼에서 유기인계 농약은diazinon을 비롯한pyrimethanil, tolclofos-methyl, metalaxyl, diethofencarb, parathion, cyprodinil, tolylfluanid와 kresoxim-methyl이 모두 불검출 되었다. 그러나 상주 수삼에서는 tolclofos- methyl이 평균 $0.054{\pm}0.008\;mg/kg$ 검출되어 수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0.3mg/kg의 $18{\pm}2%$ 수준이었다. 풍기와 상주 수삼에서 유기염소계 농약은 BHC, DDT의 이성질체와 aldrin, azoxystrobin, captan, cypermethrin, deltamethrin, dieldrin, difenoconazole, endosulfan-sulfate, endrin, fenhexamid, quintozene,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도 검출 되지 않았다. 한편 풍기와 영주의 인삼으로 제조한 홍삼농축액 중에도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은 모두 검출 되지 않았다.

시설재배에서의 상추품종별 살포농약의 소실양상 (Dissipation pattern of pesticide residues in/on different varieties of lettuce applied with foliar spraying under greenhouse condition)

  • 이희동;임양빈;권혜영;김진배;경기성;김찬섭;오병렬;임건재;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4-358
    • /
    • 2005
  • 본 연구는 시설재배에서 상추품종별 살포농약의 잔류양상을 구명하기위하여 실시하였다. 농약살포직 후의 alpha-cypermethrin과 imidacloprid의 상추 중 잔류량은 품종의 외관에 따라 크게 상이하였다. 살포 후 경과일수별 상추 중 잔류농약의 감소는 작물의 증체에 의한 희석효과보다는 햇빛에 의한 분해 및 관수에 의한 세척효과가 더 큰 것으로 보였다. 엽채소류인 상추는 작물을 group화 함에 있어 품종간의 차이로 고려해야 함이 인정되었다.

국내등록사용중인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의 감수성 (Susceptibility of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Homoptera: Aleyrodidae) against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김창우;김정화;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75-8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38종의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의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IGR계인 pyriproxyfen만이 90%이상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령약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acetamiprid, chlorpyrifos-methyl, imidacloprid, pyripoxyfan, acetamiprid+ethofenprox가 90%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에 대해서는 유기인계의 acephate, fenitrothion, phenthoate, 카바메이트계의 berfurcarb, furathiocarb, 피레스로이드계의 bifenthrin, 네오니코티노이드계의 acetamiprid, imidacloprid, 혼합제의 acetamiprid+ ethofenpox, ethofenprox+ diazinon, furathiocarb+ diflubenzuron, triazamate+${\alpha}$-cypermethrin 기타 abamectin, endosulfan, pymetrozine 등이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는 성충에 대해서 잔효성뿐만아니라 침투이행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처리후 11일째부터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제 저항성(抵抗性)에 관한 연구(硏究) III. Acephate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 및 Esterase Isozymes (Studies of Insecticide Resistance in Green Peach Aphids, Myzus persicae(Sulz) III. Acephate Resistance, Cross-Resistance, and Esterase Isozymes)

  • 최승윤;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9-105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실내(室內)에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을 OP계(系) 살충제 acephate로 누대도태(累代淘汰)시켜 저항성(抵抗性) 발달속도(發達速度)와 정도(程度), 다른 살충제와의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 유무(有無), 나아가 그들 계통(系統)에서 esterase isozyme을 검출(檢出)하여 살충제) 저항성(抵抗性)과의 관계를 검토(檢討)코자 하였다. 1. 복숭아혹진딧물의 acephate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 속도(速度)는 5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1.0{\sim}1.6$배(倍), 10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2.2{\sim}2.8$배(倍), 15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3.5{\sim}5.1$배(倍), 20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6.7{\sim}9.3$배(倍)로 증대(增大)되었다. 2. Acephate 20세대(世代) 도태저항성(淘汰抵抗性) 계통(系統)은 24시간(時間) 조사(調査)에서는 acephate자체(自體)에 대하여 31.7배(倍), cypermethrin에 대해서는 507.3배(倍), oxydometon-methyl에 대해서는 49.7배(倍), pirimicarb에 대해서는 7.5배(倍)이었고 48시간((時間) 조사(調査)에서는 acephate 자체(自體)에 대하여 32.0배(倍), cypermetherin에 대하여 475.6배(倍), oxydemeton-methyl에 대하여 21.5배(倍), pirimicarb에 대(對)하여 8.9배(倍)이었다. 3. Acephate 저항성(抵抗性) 계통(系統)은 cypermethrin과 oxydemeton-methyl에 대하여 높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을 나타내었고 pirimicarb에 대해서는 낮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을 나타내었다. 4. Esterase isozyme의 영동대(泳動帶)에 있어서 $Est\;{\alpha}-1,\;Est\;{\alpha}-2,\;{\beta}-1$는 저항성(抵抗性), 감수성(感受性) 두 계통(系統) 모두에서 검출(檢出)되었으나 $Est\;{\beta}-2$는 acephate 저항성(抵抗性) 계통(系統)에서만 검출(檢出)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