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H-$^1$H COSY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2초

황정(黃精) 추출물의 화학구조 결정에 관한 연구(I) (Studies on Chemical Structure Determination of Polygonatum sibiricum Extracts(I))

  • 신동수;윤중호;박주희;권기락;안철진;주우홍;강진호;문병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7-211
    • /
    • 1999
  • 당뇨에 대한 황정의 약효가 알려지면서 황정의 생리활성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정 추출물의 hexane층에서 생리활성 물질로 기대되는 새로운 화합물 I를 분리하고, 분리한 화합물의 화학적인 구조를 분광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1H-nmr, 13C-nmr, DEPT135, COSY, HMQC, HMBC 스펙트럼 및 MS 스펙트럼으로 확인하여 화합물 I의 구조가 9,12-(9E, 12E)-octadecadienoic acid 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lexation between Venlafaxine Hydrochloride and β -Cyclodextrin:Structural Study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 Ali, Syed Mashhood;Koketsu, Mamoru;Asmat, Fahmeen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9호
    • /
    • pp.1397-1400
    • /
    • 2006
  • A detailed spectroscopic study ($^1H$ NMR, COSY, ROESY) of complexation of venlafaxine hydrochloride (VEN) with $\beta$-cyclodextrin ($\beta$--CD) was carried out in solution. The stoichiometry of the complex was determined to be 1 : 1 and penetration of aromatic ring into $\beta$-Cyclodextrin cavity was confirmed from primary rim side, with the help of ROESY spectral data. The structure of the venlafaxine hydrochloride-$\beta$-CD complex has been proposed. The association constant was determined to be 234 $M^{-1}$.

Phenolic glycosides from Pyrola japonica-(II)

  • Kim, Ju-Sun;Kang, Sam-Sik;Son, Kun-Ho;Chang, Hyeun-Wook;Kim, Hyun-Pyo;Bae, Ki-Hwa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02.3-202.3
    • /
    • 2003
  • Two Known compounds, syringaresinol monoglucoside(8), chimaphilin(14), together with three new compounds, (9)[mp. $106{\sim} 111^{\circ}C$, C_{29}H_{44}O_{13}$], (10)[mp. $180{\sim}182^{\circ}C$, $C_{15}H_{20}O_{9}$] and (11)[mp. $100{\sim}105^{\circ}C$, $C_{18}H_{28}O_{8}$] were isolated from the BuOH fractionof Pyrola japonics(Pyrolaceae). The structures of the known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pectorscopic methods. The assignments of the $^{1}H-$ and $^{13}C-NMP$ spectra of these compounds were carried out by two-dimensional $^1H-^1H-COSY$, NOESY and $^1H-^{13}C$ multiple-bond, multiplequantum spectroscopic correlation techniques. The characterization of the three new compounds is now in progress.

  • PDF

토양균에서 항생물질 및 효소억제제의 분리와 구조 연구

  • 구양모;이윤영;김경자;최응칠;김범태;주정호;이창훈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79-179
    • /
    • 1994
  • 새로운 항생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를 액체 및 고체배지에서 배양하여 여러 검정균에 대하여 종이디스크법으로 항균효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 G(-), fungi 등에 강한 항균 효력을 보인 토양균 SNUS 8810-43과 Mycobacterium, fungi에 항균력을 보인 토양균 SNUS 8810-129를 선택하여 각각의 배양액에서 항생물질을 분리하고,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토양균 SNUS 8810-43의 배양액으로부터 항생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양이온 교환 수지 관 크로마토그래피와 셀룰로오스 관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시료 JJH-II-46-43을 얻었다. 시료 JJH-II-46-43의 IR, $^1$H-NMR, $^{13}$C-NMR, $^1$H-$^1$H COSY, $^1$H-$^{13}$C COSY, FAB-MS 스펙트럼을 얻어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분석하여 이 항생물질의 구조가 N-methylstreptothricin과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ycobacterium smegmatis에 강한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토양균 SNUS 8810-129로 부터 분리하였다. 토양균 SNUS 8810-129를 배양한 V-8 아가판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이를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와 preparative TLC로 시료 LCH-IV-17B, LCH-III-387을 얻었다. 시료LCH-IV-l7B, LCH-III-387의 $^1$H-NMR, $^{13}$C-NMR, FAB-MS, CI-MS, IR등의 스펙트럼을 얻어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분석하여 이 항생물질이 glycolipid계 항생물질이라는 것을 알았다. $^{13}$C-NMR 상의 자료와 화학적인 방법으로 구성당을 조사한 결과 이 항생물질을 이루고있는 당은 rhamnose 임을 알았다. 또 이 항생물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화학적인 방법과 MS 스펙트럼, $^{13}$C-NMR 스펙트럼으로부터 hydroxydecano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생물질 LCH-III-387와 항생물질 LCH-IV-l7B는 각각 rhamnose를 1, 2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탄소수의 지방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들 항생물질을 이루는 구성당과 지방산간의 정확한 연결및 구조,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계속 수행중에 있다.

  • PDF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V. 머위(Petasites japonicus)잎으로부터 Triterpene 배당체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 from Edible Plant Sources-XV. Isolation of Triterpene Glycosides from the Leaf of Petasites japonicus)

  • 방면호;박진규;송명종;양혜정;유종수;안은미;김대근;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421-424
    • /
    • 2005
  • 머위 잎을 80% MeOH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과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2종의 triterpenoid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은 $^1H-{^1H}$ gCOSY, gHMBC 및 gHSQC와 같은 2D-NMR기법을 포함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rosamutin(1) 및 peduncloside(2)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Electron Withdrawing Group을 함유한 Polythiophene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stic of Polythiophene Containing Electron Withdrawing Group)

  • 홍혁진;한신호
    • 공업화학
    • /
    • 제23권6호
    • /
    • pp.539-545
    • /
    • 2012
  • 전자를 끌어당기는 benzotriazole을 vinylene으로 thiophene과 연결한 3-(2-benzo-triazolovinyl)thiophene (BVT)을 합성하고, FT-IR 및 $^1H$-NMR, $^{13}C$-NMR, 2D hetero-cosy spectra로 구조분석을 하였다. 합성한 BVT와 3-octylthiophene (OT)을 공중합 하였다. 공중합체들은 수평균 분자량 12000 (PDI 2.67)과 15000 (PDI 2.55)을 나타내었으며, THF, TCE와 chloroform 등의 유기용매에 잘 용해되었다. 공중합체들의 BVT와 OT의 공중합된 비율은 $^1H$-NMR spectra에 의하여 BVT : OT = 1 : 1.8과 1 : 2.8 (mol/mol)로 확인되었다. 파장 470 nm와 465 nm에서 UV-vis 최대 흡수를 나타내었고, photoluminescence (PL)는 각각 ${\lambda}_{max}$ = 662 nm와 641 nm로 나타나 적색계로 관찰되었다. 공중합체의 band gap은 각각 1.96 eV, 2.02 eV로 poly(3-octylthiophene)보다 더 증가하였다. 또한, poly(3-octylthiophene)에 비해서 HOMO 에너지 준위는 모두 낮아졌으나, LUMO 에너지 준위는 모두 높아졌다.

Hepatoprotective constituents from Beta vulgaris var. cycla

  • Kim, In-Kyum;Chin, Young-Won;Song, Won-Lim;Yang, Hye-Kyung;Kim, Young-Choong;Kim, Jin-Woo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59.1-259.1
    • /
    • 2003
  • In the course of hepatoprotective screening for domestic plants. the aerial parts of B. vulgaris var. cycla exhibited hepatoprotective activity which was determined by using the primary cultures of rat hepatocytes injured by H2O2. Bioactivity-guided separation for this plant gave a new flavonoid (1) and the known compounds (2-4), which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1H-NMR, HMQC, 1H-1H COSY and HMBC as compound 1, apigenin 8-C-, 7-O-di-$\beta$-D-glucopyranoside, compound 2, vitexin 2"-O-$\beta$-D-glucopyranoside, compound 3, (+)-dehydrovomifoliol, and compound 4, 3-hydroxy-5$\alpha$, 6$\alpha$-epoxy-$\beta$-ionone.

  • PDF

염생식물 갯방풍의 화학적 성분연구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Halophyte Glehnia littoralis)

  • 엄영란;이정임;이진혁;김해진;예성수;서영완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01-706
    • /
    • 2010
  • 우리나라 동해안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인 갯방풍으로부터 2개의 polyacetylene 화합물인 falcarindiol(1)과 falcarinol(2), 4개의 coumarin 화합물인 bergapten(3), xanthotoxin(4), umbelliferone(5), scopoletin(6) 및 1개의 sesquiterpene 화합물인 $(5\beta,10\alpha)$-lasidiol angelate(7)가 분리되었다. 이들 화합물 중 scopoletin(6)과 $(5\beta,10\alpha)$-Lasidiol angelate(7)는 갯방풍으로부터 처음 분리되어진 것이다.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결정은 $^1H$ COSY, HMQC 그리고 HMBC와 같은 2D NMR 분광학적 실험과 문헌에 보고 된 값을 비교하여 이루어졌다.

Flavanone Glycoside from the Fruits of Chaenomeles sinensis

  • Kim, Ho-Kyoung;Jeon, Won-Kyung;Ko, Byoung-Seob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79-81
    • /
    • 2000
  • Investigation of the fruits of Chaenomeles sinensis (Rosaceae)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a minor flavonoid. The structure of flavanone glycoside was determined to be as $2-hydroxynaringenin-7-O-{\beta}-glucoside$ on the basis of FAB-MS and spectral evidence, especially by 2D-NMR $(^1H-^1H\;COSY,\;HMQC,\;HMBC\;and\;NOESY)$.

  • PDF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Ergosterol Peroxide from Naematoloma fasciculare and Reassignment of NMR Data

  • Kim, Dong-Seon;Baek, Nam-In;Oh, Sei-Ryang;Jung, Keun-Young;Lee, Im-Seon;Kim, Jung-Hee;Lee, Hyeong-Ky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01-205
    • /
    • 1997
  • A very high content (at least 0.23%) of ergosterol peroxide was isolated from Naematoloma fasciculare Karst. Not only ergosterol peroxide but also ergosterol showed very strong anticomplementary activity on the classical pathway, the $IC_{50}$ values being $5.0 {\mu}M$ and $1.0 {\mu}M$, respectively. The $ ^{1}H $and $^{13}C$ NMR data of ergosterol peroxide were revised and completely assigned by DEPT, $^{1}H-^{1}H$ COSY, HMQC and HMBC correl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