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 C-oleic acids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7초

한우 간 및 등심 조직에서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율과 Stearoyl-CoA Desaturase mRNA의 발현 양상 (Relationship between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and Stearoyl-CoA Desaturase mRNA Level in Hanwoo Liver and Loin Muscle)

  • 이승환;윤두학;황수한;정은영;김언현;이창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7-14
    • /
    • 2004
  • 쇠고기내의 oleic acid(18:1)의 힘량은 고기의 향미와 다즙성에 영향올 미치며, 그 함량이 높으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한우의 간 조직과 등심 조직에서 불포화지방산의 조성과 불포화지방산 합성효소의 mRNA 발현량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그 상호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인 palmitoleic acid(16:1)와 oleic acid (18:1)의 조성은 등심 조직에서 총 지방산의 51%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지방대사가 활발한 간 조직에서는 22%에 지나지 않았다. 반면에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16:0) 와 stearic acid (18:0)의 조성비는 등심 조직과 간 조직에서 각각 37%와 58%'를 차지하였다. 이같이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은 조직간 현격한 차이가 나타나며, 조직내 stearoyl-CoA desaturase(SCD) 활성을 나타내는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인 불포화도(the desaturation index)를 살펴보면 등심 조직은 간 조직보다 약 3.6배 높았다. SCD는 palmitic acid(16:0) 와 stearic acid(18:0)를 기질로 하여 palmitoleic acid(16:1)와 oleic acid (18:1)로 전환하는 중요한 효소이다. 등심 조직과 간 조직에서 단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 차이가 SCD mRNA 의 발현량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를 RT PCR 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SCD mRNA는 등심 조직에서 간 조직보다 약 3배 많이 발현되었다. 이상과 같이 한우 등섬 조직과 간 조직에서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의 현격한 치아는 SCD 활성지표인 지방산의 불포화도(3.6배 차이)와 SCD mRNA 발현량(3배 차이)과 상호 밀접한 관련성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품종별 감피의 화학적 성분 특성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Persimmon Peels According to Cultivars)

  • 김숙경;임정현;김영찬;김미연;이병우;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70-76
    • /
    • 2005
  • 곶감 원료용 떫은감(상주둥시, 고종시, 월하시, 청도반시, 함안수시, 평핵무, 횡야)의 과피로부터 유용성분 및 카로티노이드, 총페놀 등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감피의 일반성분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품종별로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가 확인 되었으며, $Myristic\;acid(C_{14:0}),\;palmitic\;acid(C_{16:0}),\;palmitoleic\;acid(C_{16:1})\;oleic\;acid(C_{18:1})$$linolenic\;acid(C_{18:3})$가 주된 지방산으로 확인되었다.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244.84-371.45 mg/100 g이고,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3.69-28.31 mg/100 g이었다. 감피의 식이섬유중 불용성 식이섬유가 34.89-50.76 g/100 g으로 가용성 식이섬유(2.44-7.09 g/100 g)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retinol equivalent(R.E.)은 20.02-60.60 mg/100 g이었으며, 비타민 C는 24.69-106.01 mg/100 g으로 품종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상주둥시가 340.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페놀 함량에서도 44.07-196.98 mg/100 g으로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감피는 카로티노이드, 식이섬유, 페놀화합물 등 유용성분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일반성분 및 맛 성분의 계절별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Seasonal Change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aste Components in the Conger Eels (Conger myriaster))

  • 류근영;심성례;김원;정민석;황인민;김준형;홍철희;정찬희;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69-1075
    • /
    • 2009
  • 외식산업에서의 붕장어 이용성 증대에 기여하고자 계절에 따른 일반성분, 지방산, 핵산관련성분 및 아미노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여름철 붕장어의 조지방 함량이 3.2%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붕장어의 산란기에 따른 영향으로 생각된다. 지방산 조성 중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stearic acid,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 palmitoleic acid 그리고 다가불포화지방산인 DHA, EPA가 주요 지방산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지방산 중 oleic acid가 36.76$\sim$45.11%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봄에서 겨울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지방산 조성비의 계절적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핵산관련성분 중 맛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IMP(3.617$\sim$5.524 $\mu$ mol/g)와 Hx(0.913$\sim$2.238 $\mu$ mol/g) 그리고 무미의 HxR(0.625$\sim$1.652 $\mu$mol/g)이 ATP(0.058$\sim$0.083 $\mu$mol/g), ADP(0.145$\sim$0.161 $\mu$mol/g), AMP(0.166$\sim$0.179 $\mu$mol/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어류의 지미성분인 IMP와 Hx의 함량이 7.219 $\mu$mol/g으로 겨울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14,178.7$\sim$7,802.6 mg%), aspartic acid(4,669.2$\sim$8,259.0 mg%), lysine(4,198.3$\sim$7,540.8mg%), leucine(3,843.6$\sim$6,782.1 mg%)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으로, histidine(199.6$\sim$644.4 mg%), glycine(94.8$\sim$152.2 mg%), alanine(35.3$\sim$71.2 mg%), glutamic acid (44.1$\sim$70.6 mg%)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확인되었으며, 정미물질 중 맛과 관련 있는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여름철과 겨울철에 각각 1,179.2과 1,605.2 mg%로 높게 나타났다. 어류의 주요 정미성분의 함량으로 확인한 결과 핵산관련성분은 겨울철이, 유리아미노산은 여름철이 가장 많았으나 이들 정미성분의 함량이 특정 계절에만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따라서 붕장어의 맛은 정미관련성분들과 관련이 크지만 단순히 정미성분만이 아닌 다른 여러 성분과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쪽제비싸리종자(種子)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Amorpha Fruticosa Seed)

  • 이영;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84-290
    • /
    • 1977
  • 쪽제비싸리 종자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diethyl ether로 추출한 조지방질(粗脂肪質)에 대한 몇가지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항수(恒數), 지방질(脂肪質)의 구성(構成) 및 지방산(脂防酸)의 조성(組成)을 분석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쪽제비싸리 종자의 일반성분은 수분(水分) 10.14 %, 조단백질(粗蛋白質) 21.77 %, 조지방질(粗脂肪質) 12.73 %, 탄수화물(炭水化物) 51.75 %, 조회분(粗灰分) 3.61 %였다. 2) 유지(油脂)의 비중(比重)$(15/15^{\circ}C)$은 0.925, 굴절율 $(15^{\circ}C)$은 1,477, 발연점은 $175^{\circ}C$, titer는 $14.8^{\circ}C$였다. 3) 유지(油脂)의 요오드값은 144, 비누화값은, 182, 산값은 2.9, 에스테르값은 179, 비비누화물량은 5.17%였으며 특히 요오드값과 비비화물량이 다른 식물성 유지 보다 높았다. 4) 지방질(脂肪質)의 구성은 다른 식물성 유지와 같이 triglyceride가 주성분으로 약 75% 함유 되어 있으며 esterified sterol이 약 14% 로 그 다음으로 많고, phospholipid, free sterol 및 free fatty acid가 3.08 %, 4.40 %, 3.77 % 각각 함유되어 있었다. 5) 지방산(脂肪酸)의 조성은 linoleic acid가 76.21 %로 주성분이며,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9.92 % 및 5.07 %로 그 다음으로 많으며, 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4.45 % 및 2.03 %씩 각각 함유되어 있었고, 그 외에 palmitoleic acid와 arachidic acid는 1 %내외의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알대구의 식품성분(食品成分) (Food Components of Aldaegu(Salted and Dried Cod))

  • 이응호;안창범;차용준;황규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2-187
    • /
    • 1985
  • 우리나라 전통수산가공식품(傳統水産加工食品)의 식품성분(食品成分)에 대한 자료를 얻은 목적으로 염건품(鹽乾品)의 일종인 알대구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및 무기질(無機質)등을 분석(分析)하였다. 알대구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28.3%였고 염도(鹽度)는 10.5%로서 일반염건품(一般鹽乾品)의 염도(鹽度)와 비슷하였다. 총유리아미노산함량(含量)은 814.9 mg%이었고 이중 tyrosine, alanine, histid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valine등이 전체의 45%를 차지하였다.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로는 inosine과 hypoxanthine만이 검출되었는데 hypoxanthine의 함량(含量)의 많았다. 알대구의 엑스분질소(分窒素)중에서 핵산관련물질질소(核酸關聯物質窒素), 유리아미노산질소(窒素), 암모니아질소(窒素), 총 creatinine질소(窒素) 및 betaine질소(窒素)가 전체의 78.6%를 차지하였는데 암모니아질소(窒素)가 특히 많아 36.0%나 차지하였다. 그리고 총지질(總脂質), 중성지질(中性脂質), 인지질(燐脂質)에서는 polyene산이 48% 정도로서 많은 양을 차지하였고, 탕지질(糖脂質)은 포화산이 39.8%로서 가장 많았으며, 양적(量的)으로 많은 지방산(脂肪酸)은 palmitic $acid(C_{16:0})$, stearic $acid(C_{18:0})$, oleic $acid(C_{18:1})$, docosahexaenoic $acid(C_{22:6})$, eicosapentaenoic $acid(C_{20:5})$, eicosatetraenoic $acid(C_{20:4})$ 등이었다. 알대구의 무기질(無機質)중 Na가 27, 430.24 ppm 으로서 함량(含量)이 많았으며, Pb, Cd는 기준치 이하로 위생적(衛生的)으로 안전한 값이었다. 알대구의 풍미(風味)에는 유리아미노산, 암모니아, hypoxanthine, betaine, creatine 및 creatinine, 무기질(無機質)등이 서로 어울려 독특(獨特)한 맛과 냄새에 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 PDF

고추향미유의 저장 중 화학적 특성 변화 (Chemical Changes of Red Pepper Seasoning Oil during Storage)

  • 양종범;고명수;이근보;김광수;문윤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0-315
    • /
    • 2006
  • 라면 수프의 품질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라면 수프의 원료 중의 하나인 고추향미유를 $65^{\circ}\C$에서 6주간 저장하면서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료의 산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며 과산화물가는 저장 4주에 크게 증가하다가 저장 6주에서는 감소하였다. ASTA value와 $CIE\;L^*$ 값, $CIE\;a^*$값, 그리고 $CIE\;b^*$ 값 모두 4주까지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다가 6주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료를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linoleic(51.02%), Oleic(30.17%), 그리고 palmitic(11.81%) acid이었다.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myristic acid(14:0)와 palmitic acid(16:0)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linoleic acid(18:2)는 감소하였고,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시료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은 linoleic acid(18:2)이었는데 6주간 저장 후에는 linoleic acid(18:2)의 양이 85.5에서 65.2(mg/kg oil)로 크게 감소하였고, 총유리지방산의 양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유리 불포화지방산과 유리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이용한 오징어 가공 부산물로부터 고도불포화 지방산 회수 (Recovery of High Unsaturated Fatty Acid from Squid Processing Waste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Method)

  • 강성실;김병준;전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7-222
    • /
    • 1999
  • 초임계 $CO_2$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 추출은 8.3$\~$13.8 MPa과 $25\~50^{\circ}C$에서 semi-continuous flow extractor로 수행되었다. 그리고 초임계 $CO_2$에 entrainer로서의 $2\%$ (v/v) ethanol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수행되었다. 초임계 $CO_2$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 추출에서 지질의 최고 추출 수율은 조건 12.4 MPa과 $40^{\circ}C$에서 이루어 졌다. 초임계 $CO_2$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 추출에서 최고 용해도는 압력 12.4 MPa $40^{\circ}C$에서 entrainer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 1.48g oil/kg $CO_2$를 나타내었고, entrainer를 첨가하였을 때 압력 12.4MPa $40^{\circ}C$에서 4.85g oil/kg $CO_2$를 나타내었다. 초임계 $CO_2$를 이용하여 추출된 오징어 내장유의 주요지방산조성은 myristric acid (14:0), palmitic acid (16:0), palmitoleic acid (16:1), oleic acid (18:1), arachidic acid (20:0), eicosapentaenoic acid (20:5), docosahexaenoic acid(22:6)이다. 초임계 $CO_2$ 추출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중 비소와 납은 검출되지 않으나 수은은 아주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기능성 유지의 효소적 합성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nzymatic Synthesis Condition of Structured Lipid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조은진;이종호;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31-536
    • /
    • 2004
  • Omega-3 지방산인 DHA가 풍부하고 이취가 적은 조류(microalgae, Schizochytrum sp.)로부터 지질을 획득하여 이를 옥수수유와 기질로 이용, 고정화효소인 RM IM(from Rhizomucormiehei)을 촉매로 하여 interesterification 반응에 의해 고기능성 유지를 효과적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합성조건을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최적화하였다. 항온교반수조에서 소량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TG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재구성지질에 함유된 DHA의 함량은 15.06mol%를 나타내었고, DHA-enriched algae oil에 과량 함유된 palmitic acid(30.67mo1%), myristic acid(11.64mol%)의 함량은 각각 30, 60% 감소하여 21.70, 4.96 mol%를 보였으며, oleic과 linoleic acid의 함량은 급격히 증가하여 각각 20.20, 27.34 mo1%를 나타내었다. RP HPLC-ELSD system을 이용하여 재구성지질의 TG 형태를 분리한 결과, 두 기질에 존재하지 않은 다수의 새로운 TG peak를 확인한 수 있었으며, 이중 쉽게 식별이 가능한 3개의 peak를 선택, 이들 peak area% 총합을 반응변수로 하고 온도$(35-75^{\circ}C,\;X_1)$, 시간(2-42시간, $X_2$) 및 효소농도(2-14%, $X_3$)를 요인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반응조건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온도$(70.28^{\circ}C)$, 시간(28.74시간), 효소농도(11.30%)의 최적합성조건에서 최대값 6.97 area%로 예측되었다.

Lipid Sources with Different Fatty Acid Profile Alters the Fatty Acid Profile and Quality of Beef from Confined Nellore Steers

  • Fiorentini, Giovani;Lage, Josiane F.;Carvalho, Isabela P.C.;Messana, Juliana D.;Canesin, Roberta. C.;Reis, Ricardo A.;Berchielli, Telm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7호
    • /
    • pp.976-986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pid sources with different fatty acids profile on meat fatty acids profile and beef quality traits of Nellore. A total of 45 Nellore animals with an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419{\pm}11kg$ (at $15{\pm}2mo$) were distribu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onsisting of 5 treatments and 9 replicates. The roughage feed was maize silage (600 g/kg on a dry matter [DM] basis) plus concentrate (400 g/kg on a DM basi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without fat (WF), palm oil (PO), linseed oil (LO), protected fat (PF), and soybean grains (SG). No effects of lipid sources were observed (p>0.05) on beef color, pH, water-holding capacity, and sarcomere length. Beef from cattle fed PO had greater shear-force values (p<0.05) compared to beef from cattle fed WF. Deposition of main unsaturated fatty acids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was greater in treatments WF, SG, and LO, respectively, while the valu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were greater when animals were fed LO. The inclusion of LO in the diet enhances the concentration of CLA in longissimus muscle and subcutaneous fat besides improving the atherogenicity index and elongase activity. As such, LO can be used with the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beef from confined Nellore cattle. Conversely, the use of PO is not recommended since it may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undesirable unsaturated fatty acids in muscle and subcutaneous fat, shear-force and the atherogenicity index.

적색육 어류의 부위별 지질 조성 및 지방산 함량 (Lipid Content of Different Sec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 이성갑;천성숙;김동수
    • 기술사
    • /
    • 제34권5호
    • /
    • pp.82-88
    • /
    • 2001
  • Mackerel(Scomber japonicus),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and sardine(Sardinops melanosticta) is widely distributed in coastal seawater of Korea, these fishes are not effective utilization as processing material cause by rapid lipid oxidation and off flavour. This study was attempted to lipid distribution in body section, whole body, meat, viscera, skin and hea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oils obtained from these body section. The content of total lipid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were 12.48%, 12.79% and 13.81% respectively, and lipid contents in different body section of mackerel was muscle 2.31%, viscera 3.54%, skin 1.43% and head 5.20%, while in cause of sardine was muscle 4.17%, viscera 3.15%, skin 1.72%, and head4.77%. The major saturated fatty acids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oil were C$\_$16:0/(palmitic acid), C$\_$18:0/(stearic acid), C$\_$14:0/(myristic acid), and monoenoic acids was C$\_$18:0/(oleic acid), C$\_$16:1/ (palmitolic acid), C$\_$22:0/(erucic acid) and C$\_$20:1/(gadoleic acid), in cause of polyenoic acid was C$\_$22:6/(DHA, docosahexaenoic acid), C$\_$20:0/(EPA, eicosapentaenoic acid), C$\_$22:4/(behenic acid), C$\_$18:2/(linoleic acid) high quantity in order. When fresh oil extracted from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was stored for 20 days at 5$\^{C}$, carbonyl and acid value of oil increased with storage day, but peroxide value decreased after 15 da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