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ynthesis control system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3초

폴리올법에 의한 편상의 은 분말 합성 (Synthesis of Flake Ag Powder by Polyol Process)

  • 김동진;양환진;안종관;이재령;정헌생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77-485
    • /
    • 2004
  • Monodispersed flaky silver powder was obtained by controlling the ratios of $H_{2}O_{2}/NH_{3}$ and Agin in a mixed solution of ethylene glycol and ammonia with an addition of PVP. The effects of $NH_{3}/Ag,\; H_{2}O_{2}/Ag\;and\;H_{2}PtCl_{6}/Ag$ on its morphology and size were investigated. In $H_{2}O_{2}-NH_{3}-AgNO_{3}\;system,\;NH_{3}/Ag$ molar ratio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reaction factor for the nucleation and crystal growth of Ag powder. The synthesis of flaky powder was optimized at over 6 of $NH_{3}/Ag \;and\;5\;of\;H_{2}O_{2}/Ag\;under\;1.0{\times}10^{-3}\;of\;Pt/Ag.\;Moreover,\;as\;the\; NH_{3}/Ag$ molar ratio increased, the size of precipitates was increas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Pt. In the absence of $H_{2}PtCI$, the morphology and size of reduced Ag powder were found to be irregular in shape $2-4{\mu}m$ in diameter. However, homogenized fine Ag powder was obtained due to heterogeneous nucleation when $H_{2}PtCI$ used as a cat-alyst, and flaky one was synthesized with the addition of Pt over $1.0{\times}10^{-3}$ of Pt/Ag.

옥살산염법에 의한 (Bi, Pb)-2223계 초전도 분말 합성과 후막 제조 (The Powder Synthesis of (Bi,Pb)-2223 System Superconductor by Oxalate Method and Thick Film Preparation)

  • 하성원;김형태;이응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083-1091
    • /
    • 1997
  • 반응성이 좋은 미분말의 고온 초전도상을 얻고자 액상 합성법 중의 하나인 옥살산염법을 이용하였다. 본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 분체의 초기 형상과 입도를 제어하였고, 개선된 균일성을 가진 Bi(Pb)-Sr-Ca-Cu-O 초전도 분말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합성된 산화물 초전도체 분말의 특성 및 pellct으로 성형후 열처리한 시편의 미세구조와 전기적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Tape casting법에 의해 후막을 제작하여 미세구조와 전기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합성된 분말의 입자 크기는 100~300nm 이하의 구형이었으나 대부분이 1~3 ${\mu}{\textrm}{m}$ 크기로 응집되어 있었다. 84$0^{\circ}C$로 72시간 동안 열처리한 괴상 시편의 임계저항온도는 110K였으며, 열처리한 후막의 임계전류는 각각 0.6A, 1.9A였다.

  • PDF

새로운 캅사이신 유도체 DA-5018의 진통활성 기전연구: Substance P 관련성 (A Possible Mechanism of Analgesic Action of DA-5018i A New Capsaicin Derivative : Capsaicin-like Effect on The Release of Substance P)

  • 손미원;손문호;배은주;김순희;김원배;양중익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5권1호
    • /
    • pp.94-99
    • /
    • 1997
  • Capsaicin is known to be an analgesic agent, affecting the synthesis, storage, , transport and release of substance p, the principal neurotransmitter of pain from periphery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CNS). DA-5018, a newly synthesized capsaicin derivative has shown potent analgesic effect comparable to that of morphine in various rat models of experimentally inducted acute pairs. In this study the mechanism of analgesic actlvity of DA-5018 was examined. First, the electrically-evoked contraction of guinea pig trachea was inhibited by DA-5018 and these inhibition was recovered by incubation with capsafepine(3$\muM$), capsaicin receptor antagonist and this result suggested that DA-5018 has affinity on capsaicin recept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rciceptive threshold and the release of substance P was evaluated. In vivo perfusion of slices of the rat spinal cord with DA-5018(10, 100$\muM$) produced a significant increase of the release of substance P and this increase was less than that of capsaicin(10$\muM$). The norciceptive threshold of rat treated with DA-5018(1 mg/kg, p.o) in tall pinch test increased from 2.9$\pm$0.3 to 23.5 $\pm$6.61. Tail pinch latency increased to a maximun at 15 min after DA-5018 treatment and then declined to control values by 120 min. The capsaicin-evoked release ot substance P from the spinal cord slices of rat treated with DA-5018 reduced from 2.38$\pm$ 0.79 to 0.69$\pm$ 0.26 pg/mg wet weight. This reduction reached to a minium at 15 min after DA-5018 treatment and then recovered to control value by 120 min. These results mean that analgesic activity of DA-5018 is due to release of substance P The effect of DA-5018 cream on electrically-evoked neurogenic inflammation of rat saphenous nerve was compared with capsaicin (zostrix-HP). DA-5018 showed 34% inhibition of the neurogenic extravasation while capsaicin showed significant 67% inhibi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otency of DA-5018 in the release of substance P is less than that of capsaic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ease of substance P is partially involved in the mechanism of analgesic action of DA-50l8.

  • PDF

NaCl이 황백화된 보리(Hordeum vulgare L.) 잎의 녹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Cl on the Greening of Etiolated Leaves of Barely (Hordeum vulgare L.) Seedings)

  • 정화숙;임영진;송승달;노광수;송종석;박강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023-1030
    • /
    • 2002
  • The effects on photosynthesis of NaCl(0, 0.2, 0.4, 0.6, 0.8 or 1.0 M) were examined in etiolated barley seedlings. Chlorophyll(Chl) a, Chl b and carotenoid contents, Chl a fluorescence and quenching coefficients of Chl fluorescence have been determined in the primary leaves of etiolated barley seedlings cultivated under low light(60 $\mu$$m^{-2}\;s^{-1}$). Chl a, b, and carotenoid contents were decreased remarkabl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0.4 M NaCl. However, the value of Fo and Fv were decreased at 0.6 M NaCl and the ratio of Fv/Fm were deceased at 1.0 M NaCl. Chlorophyll synthesis was seriously inhibited from 0.4 M NaCl, and the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system was inhibited from 0.6 M NaCl. Quantum of photosystem II reaction center was inhibited at 1.0 M NaCl. The effects of NaCl on the Chl content were raised in a 6 hrs, but the effects of NaCl on the value of Fo, Fv and Fv/Fm were raised in 30 hrs. The value of qP wa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all concentrations, but there was a small change in the value qE.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NaCl inhibited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 of NaCl were inhibited quinone redox, however, proton gradient between thylakoid membranes was little damaged.

병렬 구조의 직접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의 설계 (A practial design of direct digital frequency synthesizer with multi-ROM configuration)

  • 이종선;김대용;유영갑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235-3245
    • /
    • 1996
  • 이산스펙트럽(Spread Spectrum)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DDFS(Direct Digital Frequency Synthesizer)는 짧은 천이시간과 광대역의 특성을 요구하고, 전력소모도 적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의 DDFS는 파이프라인 구조의 위상 가산기와 4개의 sine ROM을 병렬로 구성하여, 단일 sine ROM으로 구성된 DDFS에 비해 처리 속도를 4배 개선하였다. 위상 가산기의 위상 잘림으로 나빠지는 스펙트럼 특성은 위상 가산기 구조와 같은 잡음 정형기를 사용하여 보상하였고, 잡음 정형기의 출력 중 상위 8-bit만을 sine ROM의 어드레스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sine ROM은 사인 파형의 대칭성을 이용하여, 0 ~ $\pi$/2 사인 파형의 위상, 진폭 정보를 저장함으로 0 ~ 2$\pi$ 사인 파형의 정보를 갖는 sine ROM에 비해 크기를 크게 줄였고, 어드레스의 상위 2-bit를 제어 비트로 사용하여 2$\pi$의 사인 파형을 조합했다. 입력 클럭을 1/2, 1/4로 분주하여, 1/4 주기의 낮은 클럭 주파수로 대부분의 시스템을 구동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켰다. DDFS 칩은 $0.8{\mu}$ CMOS 표준 공정의 게이트 어레이 기술을 이용ㅇ하여 구현하였다. 측정 결과 107MHz의 구동 클럭에서 안정하게 동작하였고, 26.7MHz의 최대 출력 주파수를 발생시켰다. 스펙트럼 순수도(Spectral purity)는 -65dBc이며, tuning latency는 55 클럭이다. DDFS칩의 소비 전력은 40MHz의 클럭 입력과 5V 단일 전원을 사용하였을 때 276.5mW이다.

  • PDF

고전압맥동전류자극이 흰쥐 피부 창상치유와 교원질 축적에 미치는 효과 (Acceleration of Wound Healing and Collagen Deposition in Rat Skin by High Voltage Pulsed Current Stimulation)

  • 이재형;송인영;김종규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5권4호
    • /
    • pp.1-12
    • /
    • 2003
  • 고전압맥동전류자극이 흰쥐 피부의 창상치유와 섬유모세포 및 교원질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목적으로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20마리를 10마리씩 무작위로 고전압맥동전류자극군과 대조군에 배치하고 등에 10 mm의 전층 절개상을 만들었다. 고전압맥동전류자극군은 창상 위에 전극을 부착한 후 맥동빈도 100 pps, 맥동기간 $65{\mu}s$, 강도 50 V로 1일 30분씩 1주 동안 자극하였으며 대조군은 전극만 부착하고 전류를 통전시키지 않았다. 1주 후 창상 길이를 계측한 후 창상부위의 피부를 적출하여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파라핀 포매 절편을 제작하여 Massons trichrome 및 hematoxylin and eosin (H&E) 염색을 하였다. 이 표본을 고배율 현미경하에서 관찰한 다음 현미경에 부착된 CCD 카메라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로 보내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섬유모세포와 교원질 밀도를 계측한 후 비율을 산출하였다. 이를 군간 t-검정한 결과 고전압맥동전류자극군의 창상치유율, 섬유모세포 및 교원질 밀도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01). 이러한 결과는 고전압맥동전류자극이 흰쥐의 피부 창상 치유를 촉진시켰음을 보여 주었고 이는 전기자극에 의해 섬유모세포가 활성화되어 교원질 합성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oxoplasma gondii의 활성화된 uracil 도입 과정에 미치는 pyrimidine 대사 억제제의 영향 (Effects of pyrimidine salvage inhibitors on uracil incorporation of Toxoplasma gondii)

  • 윤지혜;남호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2호
    • /
    • pp.79-84
    • /
    • 1990
  • Pyrimidine salvage과정 및 de novo 합성과정에 작용하는 억제제들이 Toxeplasma gondii의 특이한 uracil 도입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방사능을 표지한 uracil과 thymidine을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Dihydrofolate reductase (DHFR)에 작용하는 억제제인 methotreBate, pyrimethamine 그리고 thymidylate synthase(75)의 경쟁적 억제제인 fluoro-uridine, fluoro-dUMP, fluoro-uracil을 각각 처리한 경우, 그 농도에 비례적으로 uracil 표지가 감소 하였다. OMP decarboxylase에 작용하는 억제제인 azauridine에 대해서는 100$\mu$M 농도 이상에서도 uracil 표지량에 변화가 거의 없었다. 본 결과로부터 Toxoplasma가 uracil을 DNA로 도입할 때 dihydrofolate reductase와 thymidylate synthase가 관여하는 TMP biosynthesis 과정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uracil salvage 과정이 있는 다른 기생성 원충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Toxoplasmn에 있어서도 효율적인 다기능의 DHFR-75 system의 존재를 예상할 수 있었다. Thymidine 도입의 양상은 모든 경우에 있어 HL-60세포만의 경우와 Toxoplasma가 함께 배양된 HL-60세포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로부터 thymidine은 Toxoplasmn 성장을 반영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oxoplasma의 특이한 uracil 표지와 Toxoplasma에 배타적인 thymidine 표지는 기생원충과 숙주세포의 성장, DNA합성 정도 및 이들 과정에 미치는 제제들의 영향을 쉽고 간단하게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 PDF

납(Lead)이 취외분비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d Acetate on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 신윤용;김원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5
    • /
    • 1981
  • No evidence has accumulated that lead compound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biological function in animals. Lead is absorbed primarily through the epithelial mucosal cells in duodenum and the absorption can be enhanced by the substances which bind lead and increase its solubility. Iron, zinc and calcium ions, however, decrease the absorption of lead without affecting its solubility, probably by competing for shared absorptive receptors in the intestinal mucosa. Therefore, the absorption of lead is increased in iron deficient animals. Lead shows a strong affinity for ligands such as phosphate, cysteinyl and histidyl side chains of proteins, pterins and porphyrins. Hence lead can act on various active sites of enzymes, inhibiting the enzymes which has functional sulfhydryl groups. lead inhibits the activity of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for the biosynthesis of hemoproteins and cytochrome, which catalyzed the synthesis of monopyrrole prophobilinogen from ${\delta}$-aminolevulinic acid. Accordingly lead decrease hepatic cytochrome p-450 content, resulting an inhibition of the activity of demethylase and hydroxylase in liver. Little informations are available on the effect of lead on digestive system although the catastrophic effects of lead intoxication are well documented.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 on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in rats. Albino rats of both sexes weighing $170{\sim}230g$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one control and three treated groups, i.e., control (physiologic saline 1.5ml/kg i.p.), lead acetate $(l0{\mu}mole/kg/day\;i.p.)$, $Pb(Ac)_2$ and EDTA$(each\;10{\mu}mole/kg/day\;i.p.)$, $Pb(Ac)_2$ and $FeSO_4(each\;l0{\mu}mole/kg/day\;hp)$. The pancreatico-biliary juice was collected under urethane anesthesia, and activities of amylase and lipase were determined by employing Sumner's and Cherry and Crandall's methods. The summarized results are follows. 1) In the experiment for acute toxicity of lead acetate, 20% of mortality was observed in rat treated with lead acetate as well as inhibition of the activity of amylase in the juice at the 3 rd day of the treatment. 2) No increases in body weight were observed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while in control group the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However, the body weights of animals were increased in the group lead acetate plus EDTA or $FeSO_4$. 3) Lead acetate decreased significantly the volume of pancreatico-biliary juice whereas additional treatment of EDTA and $FeSO_4$ prevented it. 4) Total activity of amylase was markedly reduced due to lead acetate treatment, but no change was showed following additional treatment with EDTA and $FeSO_4$. 5) No changes in the cholate and lipase output were observed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rats. 6) Increase in bilirubin output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was shown on the 2nd and 3rd weeks treatment. 7) In the case of in vitro experiment, lead acetate also markedly inhibited release of amylase from pancreatic fragment. 8) Histologic finding indicated that acini vacuolation was induced in the pancreatic tissue of rat treated with lead acete. From the above results, it might be concluded that lead acetate decreases the volume of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and inhibits the amylase activity, by acting directly on pancreatic cells.

  • PDF

사과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Apple Extracts)

  • 정희록;조유나;정지희;진동은;송병기;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97-60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총 페놀화합물 함량(84.25, 318.25 mg GAE/g)을 나타낸 사과 과육 및 과피의 EtOAc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효과,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과 과육 및 과피의 EtOAc 분획물의 ABTS radical 소거활성과 FRAP assay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나타났으며, 과피에서 높은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미백 효능을 알아보기 위한 자외선 흡수도 측정 결과 역시 두 시료 모두 UV-B (270-290 nm) 영역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였으며, 특히 과피의 경우 UV-A (350-370 nm) 영역에서도 높은 흡수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멜라닌 함량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두 시료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인 멜라닌 함량의 감소를 나타냈으나 특히 과피의 경우 positive control로서의 arbutin보다도 높은 저해 효과를 보여주었다. 더불어 사과 과피의 EtOAc 분획물은 500 ${\mu}g$/mL의 농도에서 46.40%의 elastase 저해활성 역시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사과 과피의 EtOAc 분획물은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호르몬과 단쇄지방산이 HepG2 Cell 내에서 CYP7A1 발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ormones and Short Chain Fatty Acids on CYP7A1 Gene Expression in HepG2 Cell)

  • 양정례;이현정;김양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73-580
    • /
    • 2005
  • 수용성 식이섬유의 섭취는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있으며 , 그 작용기 작으로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점성으로 인한 콜레스테롤과 담즙산 흡수저해, 대장내 미생물 발효로 생성 된 단쇄지방산에 의한 콜레스테롤 합성률 변경 및 담즙산 합성증가 등으로 설명되어진다. 그러나 명확한 작용기전은 규명 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 핵내의 CYP7A1의 발현에 호르몬과 식이섬유의 발효로 생성된 단쇄지방산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람의 간세포(HepG2 세포)의 배양배지에 insulin, dexamethasone 및 triiodothyronine을 각각 $1\;{\mu}M$ 투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Semi-quantitative RT-PCR기법에 의해 CYP7A1 mRNA발현을 측정한 결과, dexamethasone에서 가장 높아 $173\%$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insulin에서 $150\%$, triiodothyronine 에서 $141\%$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transient transfection을 하지 않은 HepG2 세포에서 생리적 조절자로 알려진 insulin, dexamethasone 및 triiodothyronine이 CYP7A1의 발현을 모두 증가시킨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규명하며, rat gene and/or human gene 발현이 다르게 조절됨을 제안한다. 단쇄지방산에 의한 HepG2 세포에서의 CYP7A1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actetate, propionate 및 butyrate를 각각 1 M농도로 24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모든 단쇄지방산이 CYP7A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Acetate와 propionate는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어 대조군에 비하여 1.8배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 butyrate는 1.5배의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수용성 식이섬유 섭취시 나타나는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대장 발효가 대장을 자극함으로써 내인성 호르몬의 변화를 통해서 나타나거나 대장내 발효산물인 actetate, propionate 및 butyrate 등이 흡수되어 간에서의 CYP7A1의 up-regulation에 의한 담즙산 배설증가에 따른 결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단쇄지방산의 CYP7A1 발현에 미치는 작용은 acetate와 propionate가 butyrate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