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ALA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9초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 자극에 의한 염증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5-aminolevulinic acid phosphate의 영향 (Attenuation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and Oxidative Response by 5-Aminolevulinic Acid Phosphate in RAW 264.7 Macrophages)

  • 지선영;김민영;황보현;이혜숙;홍수현;차희재;김희수;김석만;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18-826
    • /
    • 2021
  • 5-ALA-p는 천연 아미노산인 5-ALA를 암모니아수로 용출하고 인산과 아세톤을 첨가하여 광역학 요법에 적합한 특성을 갖도록 개발된 물질이다. 그러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한 잠재적인 기전을 포함한 약리학적 효능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산화적 및 염증성 반응에 대한 5-ALA-p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5-ALA-p는 LPS에 의한 RAW 264.7 세포의 과도한 식균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약화시켰다. 5-ALA-p는 또한 LPS에 의해 감소된 미토콘드리아 생물 발생을 개선하였으며, 이는 5-ALA-p가 LPS로 인한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복원시켰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5-ALA-p는 NO와 TNF-α, IL-1β 및 IL-6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이는 iNOS 및 각 사이토카인의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다. 나아가 5-ALA-p는 NF-κB의 핵 전이를 감소시키고 MAPKs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5-ALA-p의 항염증 효과가 이들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 억제와 매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5-ALA-p가 산화적 및 염증성 스트레스를 줄이는 잠재적인 후보 약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식품 Selenium이 납중독된 흰쥐에 있어서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elenium on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Activity in Lead Poisoned Rats)

  • 방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6호
    • /
    • pp.526-533
    • /
    • 1991
  • 식이 셀렌이 납섭취에 따른 흰주의 혈액 및 간장중의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ALAD)활성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이 141$\pm$5g이 되는 Sprague-Dawley 종 숫쥐를 식이내 납함량을 0(대조군), 200, 1,000, 2,000, 5,000ppm으로 달리하고, 다시 0.5ppm의 셀렌을 첨가한군과 비첨가군등 9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후 체중증가, 식이효율, 혈중hemoglobin, hematocrit치, 혈액 및 간장중의 ALAD 효소활성, 그리고 뇨증 aminolevulinic acid(ALA)의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이섭취량은 대조군과 납식이군과 별 차이가 없었고, 식이효율 및 체중증가량은 2,000, 5,000 ppm 납식이군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셀렌을 첨가했을 때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2. 장기의 무게는 200, 1,000ppm 납식이군에서 신장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비대했으나, 셀렌을 첨가했을때는 타실험군과 차이가 없었다. 3. Hemoglobin 함량과 hematocrit치는 납함량이 높을수록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납함량이 1,000, 2,000ppm군에서는 셀렌을 첨가했을때 비첨가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4. 혈액중 ALAD효소 활성은 납함량이 증가될수록 대조군에 비해 ALAD활성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200, 1,000, 2,000ppm 군에서는 셀렌을 첨가했을때 비첨가군에 비해 그 활성이 증가되었다. 간장중의 ALAD효소 활성도 혈액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납함량이 즐가될수록 감소되었으나, 혈액에서 보다는 ALAD 활성 감소가 적었으며 셀렌을 첨가한 경우 모든 식이군에서 비첨가군에 비래 ALAD 활성이 증가되었다. 5. 뇨중의 ALA 배설량은 ALAD활성과는 반대로 식이내 납함량이 높을수록 그 배설량이 증가되었고, 셀렌 첨가군에서는 그 배설량이 감소되었다.

  • PDF

Effect of N-Methylmesoporphyrin IX on the Branch Point of the Tetrapyrrole Pathway in Pea (Pisum sativum L.) Chloroplasts

  • Yu, Gyung-Hee
    • BMB Reports
    • /
    • 제28권6호
    • /
    • pp.523-526
    • /
    • 1995
  • Administering ${\delta}-aminolevulinic$ acid (ALA) to isolated pea (Pisum sativum L.) chloroplasts resulted in an increase of heme synthesis in the heme branch of the tetrapyrrole pathway. At 0.1 mM ALA, in the presence of 1 mM $FeSO_4$ heme synthesis was stimulated up to 7 fold of that in the absence of $FeSO_4$. N-Methylmesoporphyrin IX (NMMP), a powerful inhibitor of ferrochelatase, inhibited heme synthesis by 95% at one micromolar concentration. The addition of A TP to the chloroplasts caused not only heme synthesis, but Mg-protoporphyrin IX synthesis in the chlorophyll branch of the tetrapyrrole pathway. In the presence of NMMP, however, inhibition of Mg-protoporphyrin IX synthesis was not observed whereas heme synthesis was inhibited completely.

  • PDF

d-주석산이온과 라세미코발트(III) 착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유발원편광이색성 Spectra와 크로마토그래피 (Induced Circular Dichroism Spectra and Chromatography by Interaction of Some Racemic Cobalt (III) Complexes and d-Tartrate$^2$- in Aqueous Solution)

  • 오창언;강대호;신갑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06-310
    • /
    • 1981
  • 라세미코발트(III)착물인 $[Co(en)_3]^{3+},\;[Co(tn)_3]^{3+},\;cis-[Co(NH_3)(en)_2]^{3+},\;[Co({\beta}-ala)(en)_2]^{2+},\;[Co(gly)(en)_2]^{2+}$ 및 [Co(acac)(en)$_2]^{2+}$을 실온에서 d-주석산염의 수용액에 녹여 원편광이색성 spectra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모든 착물에 대해서 가시부영역 (400∼500nm)에 한개의 음의 CD spectrum이 관측되었다. 이것은 d-주석산이온과 ${\Lambda}$-및 ${\Delta}$-거울상이성질체의 상호작용에 대한 차에의한 것이라고 해석되었다. 즉 ${\Lambda}$-및 ${\Delta}$-거울상이성질체에 d-주석산이온을 각각 부가했을때 ${\Lambda}$-거울상이성질체는 크게 변하였고 ${\Delta}$-거울상이성질체는 약하게 변하여 그 결과 유발원편광이색성 spectrum으로 나타났다. 이온교환 관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 용리제와 더 강하게 회합하는 거울상이성질체가 관으로부터 더 빨리 용출된다. 만일 chiral음이온과 착물과의 더 강한 상호작용이 착물의 원래 부호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의 용리순서를 예측할 수가 있고, 실험결과 용리순서는 측정된 모든 착물에 대하여 유발 원편광이색성 spectrum의 부포로부터 예측된 거울상이성질체의 절대구조와 완전히 일치하였다.

  • PDF

형질전환 균체로부터 생산된 $\delta$-aminolevulinic acid의 대량 정제 조건

  • 김두상;배문철;강도영;성한기;오명주;김형락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24-225
    • /
    • 2001
  • $\delta$-Aminolievulinic acid (ALA)는 대부분의 생물에 필수적인 tetrapyroll 화합물의 생합성 전구체로 최근 들어 다양한 의학적 용도 (피부암 치료제, 화상치료제, 면역증 강제 등)가 밝혀짐에 따라 이의 생산 및 사용범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Elfsson, 1998). 또한 양식어의 사육시 그 피해가 심각한 바이러스(이리도바이러스, 버나바이러스, 및 새우의 백점바이러스 등)와 원생충에 의한 감염성질병에 대하여 탁월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저 농도의 경구투여에 의하여 항바이러스성 및 면역활성 유발 기능이 확인되어지는 등, 질병 관리를 위한 새로운 기능이 확인되었다. (중략)

  • PDF

Regulation of $[^3H]Norepinephrine$ Release by Opioids in Human Cerebral Cortex

  • Woo, Ran-Sook;Shin, Byoung-Soo;Kim, Chul-Jin;Shin, Min-Soo;Jeong, Min-Suk;Zhao, Rong-Jie;Kim, Kee-W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1호
    • /
    • pp.1-3
    • /
    • 2003
  • To investigate the receptors mediating the regulation of norepinephrine (NE) release in human cerebral cortex slic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opioid agonists for ${\mu}$-, ${\delta}$-, and ${\kappa}$-receptors on the high potassium (15 mM)-evoked release of [$^3H$]NE. [$^3H$]NE release induced by high potassium was calcium-dependent and tetrodotoxin-sensitive. [$D-Pen^2$, $D-Pen^5$]enkephalin (DPDPE) and deltorphin II (Delt II) inhibited the stimulated release of norepinephrine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yr-D-Ala-Gly-(Me)Phe-Gly-ol and U69,593 did not influence the NE release. Inhibitory effect of DPDPE and Delt-II was antagonized by naloxone, naltrindole, 7-benzylidenaltrexone and naltrib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delta}_1$ and ${\delta}_2$ receptors are involved in regulation of NE release in human cerebral cortex.

Conjugates of Enkephalin Analogs: Synthesis and Discrimination of μ and δ Opioid Receptors Based on Membrane Compartment Concept

  • Hong, Nam-Joo;Jin, Dong-Hoon;Hong, Eun-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599-607
    • /
    • 2009
  • A series of conjugated cyclic and linear enkephalin analogs, Tyr-c[D-A2bu-Gly-Phe-Asp(NH-X)], where X = methyl, stearyl or$ PEG_350$, and Tyr-D-Ala-Gly-Phe-Cys(S-X), where X = methyl, octyl, or farnesyl, were synthesized in solution to investigate the receptor selectivity of opioids based on Schwyzer's membrane compartment $concepts.^{5,6}$ Cyclizations of the target compounds were achieved in high yields (> 60%) employing BOP, $NaHCO_3$ in DMF despite the steric hindrance of the bulky pendant groups. In the binding assay, the hydrophobic fatty acyl conjugates retained $\mu$-receptor selectivity. The unsaturated farnesyl conjugate exhibited the increased binding affinity than the saturated stearyl conjugate for both $\mu$-and $\delta$-opioid receptors. The PEG conjugates displayed the $\delta$-receptor selectivity. The low molecular weight $PEG_350$ conjugate exhibited the increase selectivity than the high molecular weight $PEG_5000$ conjugate to the $\delta$-recep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membrane compartment concepts.

Effects of a ${\delta}-opioid$ Agonist on the Brainstem Vestibular Nuclear Neuronal Activity of Rats

  • Kim, Tae-Sun;Huang, Mei;Jang, Myung-Joo;Jeong, Han-Seong;Park, Jong-Se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3호
    • /
    • pp.137-141
    • /
    • 200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la^2$, D-Leu^5$]-enkephalin (DADLE) on the spontaneous activity of medial vestibular nuclear neurons of the rat. Sprague-Dawley rats, aged 14 to 16 days, were anesthetized with ether and decapitated. After enzymatic digestion, the brain stem portion of medial vestibular nuclear neuron was obtained by micropunching. The dissociated neurons were transferred to a recording chamber mounted on an inverted microscope, and spontaneous action potentials were recorded by standard patch-clamp techniques. The spontaneous action potentials were increased by DADLE in 12 cells and decreased in 3 cells. The spike frequency and resting membrane potential of these cells were increased by DADLE. The depth of afterhyperpolarization was not affected by DADLE. The potassium currents were decreased in 20 cells and increased in 5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DLE increases the neuronal activity of the medial vestibular nuclear neurons by altering resting membrane potential.

반복되는 복통과 고혈압을 동반한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증 1예 (Acute Intermittent Porphyria Presented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and Hypertension)

  • 박미란;서정기;고재성;장주영;양혜란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1호
    • /
    • pp.81-85
    • /
    • 2011
  • 16세 여아에서 복통, 구토, 고혈압, 경련 및 고지혈증을 보였던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복통에 고혈압, 경련 등 특징적 포르피리아 증상이 동반된 경우에 반드시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증을 고려해야 한다.

미생물을 이용한 저식염 멸치젓의 속성발효에 관한 연구 -2. 젓갈에서 분리한 단백질분해효소의 열역학적 특성-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rapid fermented anchovy prepared with low salt contents by adapted microorganism. -2.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extracellular protease isolated from fermented fish paste-)

  • 차용준;이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325-329
    • /
    • 1990
  • 젓갈에서 분리한 B. subtilis p-4와 B. licheniformis p-5 프로테아제의 기질(카제인)에 대한 친화도를 측정한 결과 각각 0.38mM, 0.18mM이었고 열변성에 의한 특성을 반응속도론적으로 검토한 결과, p-4 프로테아제는 $50^{\circ}C$에서 80분 열처리할 때 20%의 잔존 활성을 보였고, p-5 프로테아제는 거의 실활되었는데 일차반응식을 따랐다. 그리고 p4, p-5 프로테아제의 변성 속도 상수는 각각 $40^{\circ}C$에서 $12.2{\times}10^{-5}/sec,\;19.0{\times}10^{-5}/sec,\;50^{\circ}C$에서는 $35.7{\times}10^{-5}/sec,\;46.3{\times}10^{-5}/sec$였다. 또 활성화 에너지는 p-4프로테아제가 19.6Kca1/mole, p-5 프로테아제는 15.2Kcal/mole로 p-5 프로테아제가 열변성에 민감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활성화 자유에너지는 p-4, p-5 프로테아제 모두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는데 $40^{\circ}C$에서 각각 23.21, 22.93Kcal/mole, $50^{\circ}C$에서는 23.28, 23.11Kcal/mole이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p-4 프로테아제의 경우 151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가졌으며, 이중 glycine, glutamic acid, proline이 많았고, p-5 프로테아제는 247개의 잔기에 glyc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가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