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토코페롤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4초

고추씨유, 캡사이신 및 토코페롤의 첨가가 돈지와 대두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 Pepper Seed Oil, Capsaicin, and Alpha-Tocopherol on Thermal Oxidative Stability in Lard and Soy Bean Oil)

  • 이치호;한규호;김아영;이슬기;홍고은;변장원;최강덕;양철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60-6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식용유지로 사용되는 돈지, 대두유 및 고추씨유를 $100^{\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열안정성을 비교하고, 캡사이신의 첨가가 대두유 및 돈지의 산화안정성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돈지>대두유>고추씨유의 순서로 고추씨유가 가장 열에 안정적임을 밝혔다. 가장 열에 안정한 고추씨유를 돈지와 대두유에 혼합했을 때의 저장기간에 따른 산화 정도를 비교하였는데, 돈지에서는 고추씨유 30% 이상에서 산화가 억제되지만, 대두유에서는 그보다 많은 60% 이상이 혼합되어야 산화가 억제되었다. 또한 고추씨유의 주요 성분인 캡사이신을 고추씨유에 함유된 양만큼을 대두유와 돈지에 각각 첨가하여 열처리 했을 때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200 ppm과 2,400 ppm의 캡사이신, 또는 0.3% 알파-토코페롤을 대두유에 첨가하였을 때 캡사이신은 대두유의 산화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알파-토코페를은 오히려 산화를 촉진시켰다. 하지만 돈지에 동량의 캡사이신이 첨가되었을 때에는 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추씨유 또는 캡사이신은 돈지를 소재로 하는 튀김유나 분말유지의 가공에 이용하면 매우 좋은 산화억제 효과를 얻을 것으로 사료된다.

리놀레산 함유 고형 모델시스템의 산화에 미치는 토코페롤 및 베타 카로틴의 영향 (Effect of Tocopherols and $\beta$-Carotene o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Mixture in the Solid Model System)

  • 김명;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7-73
    • /
    • 1995
  • Effects of tocopherols and $\beta$-carotene on the oxidation of the solid model system of a free fatty acid mixture (64.5% of linolic acid ; 26.4% of oleic acid ; 5.0% of palmitic acid) with tocopherols and $\beta$-carotene were studied. $\alpha$-tocopherol revealed an antioxidant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below 0.05%, however, it showed a prooxidant activity when th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0.05%.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amma}$ -tocopherol was not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s in the range of 0.01~0.10% in the model and ${\gamma}$-tocopherol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at of $\alpha$-tocopherol. It seemed that $\alpha$-tocopherol was unstable compared to ${\gamma}$-tocopherol during oxidation. $\beta$-carotene showed a weak antioxidative activity at the initial stage of this system while $\beta$-carotene showed a prooxidant activity in the presence of tocopherol. $\beta$ -carotene was highly susceptible to autoxidative degradation during oxidation.

  • PDF

배추의 조리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카로티노이드와 토코페롤 함량 변화 (Different Cooking Methods for Korean Cabbage and Their Effe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arotenoid and Tocopherol Contents)

  • 황은선;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3-721
    • /
    • 2011
  • Korean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ssp.pekinensis) is one of the major cruciferous vegetables. Cruciferous vegetables contain a rare series of secondary metabolites of amino acids called glucosinolates, as well as carotenoids, tocopherol, vitamin C and fiber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common cooking methods (boiling, microwaving, steaming and frying) on the phytochemical content (lutein, ${\beta}$-carotene, ${\gamma}$-tocopherol, and ${\alpha}$-tocopherol),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cabbages, determined by DPPH assay and ABTS assay. Boiling caused a decrease in carotenoids, lutein and tocopherols. Microwaving and steaming were relatively good cooking methods for maintaining lutein, ${\beta}$-carotene, ${\gamma}$-tocopherol, and ${\alpha}$-tocopherol.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some domestic cooking procedures, specifically microwave and steaming, increased the bioaccessibility of carotenoids and tocopherol, highlighting the positive role of the nutrition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국내산 땅콩의 일반 품종과 고올레산 품종에 대한 지용성 영양성분과 산화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lipid constituents and oxidative properties between normal and high-oleic peanuts grown in Korea)

  • 임호정;김미소;김다솜;김회성;배석복;김재겸;신의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5-241
    • /
    • 2017
  • 본 연구는 가열 산화에 따른 일반 및 고올레산 땅콩 유지의 화학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땅콩 유지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80^{\circ}C$에서 25일간 가열 산화시켜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 식물스테롤 및 산화안정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일반 및 고올레산 유지의 주요 지방산은 올레인산과 리놀레산으로 이들의 비율(O/L)은 일반 품종 2.75, 고올레인산 품종 5.23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동안 가열산화에 의해 리놀레산이 파괴되어 단일불포화지방산 및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일반 품종이 고올레산에 비해 리놀레산의 감소량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안정성을 나타내는 과산화물가와 산가를 측정한 결과 두 가지 유지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일반 품종은 과산화물가와 산가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올레산 품종은 상대적으로 다소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가열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토코페롤과 식물스테롤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일반품종에서 감소되는 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났다. 고올레산 품종의 경우 높은 올레인산 비율과 낮은 리놀레산의 비율로 인해 일반 품종보다 우수한 산화안정성을 보였으며, 지방산 조성뿐 만 아니라 토코페롤과 식물스테롤의 함량 변화 역시 고올레산 품종에서 더 높은 잔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산 참깨기름과 중국산 참깨기름의 토코페롤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Tocopherols on Korean Sesame oil and chinese Sesame oil)

  • 신묘란;주광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1-57
    • /
    • 1994
  • Six sesame oils prepared from Korean and Chinese sesame were oxidized at 40$^{\circ}C$ for 16 weeks in a dark place. Effects of oxidative stability on tocopherols of those sesame oils were studied in related to chemical changes in the oils. All oil samples showed that the rate of tocopherol reduction was increased by the storage time. The changes of peroxide value, free fatty acid, carbonyl content were not caused in direct relation to the tocopherols oxidation. The amount of total tocopherol in the Korean sesame oil ranged from 48.7-50.3mg/100g and Chinese seseame oil ranged from 42.4-44.7 mg/100g According to the three individual tocopherols remaining content after 16weeks, ${\gamma}$-,${\alpha}$-,${\beta}$- tocopherol showed 70%, 30%, 20% of initial concentrations in the oils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 except the higher total amount of the tocopherol in Korean sesame oil than that of Chinese.

건조 다래순의 조리 중 라디칼 소거 활성과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의 변화 (Changes i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Dried Daraesoon (Shoot of Hardy Kiwi, Actinidia arguta) during Cooking)

  • 김정하;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8-213
    • /
    • 2016
  • 다래순 묵나물을 찬물에 16시간 불리고, 30분 삶은 후 1시간 찬물에 불리는 재수화 과정을 거친 후 다래순의 라디칼 소거 활성과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활성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재수화된 다래순을 $180^{\circ}C$에서 10분 또는 20분 동안 가열 조리한 경우 들기름 첨가와 관계없이 라디칼 소거활성은 증가하였으나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은 들기름을 첨가하고 가열 조리한 경우에만 증가하였다. 다래순의 라디칼 소거 활성과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 변화는 색소보다는 산화방지제, 플라보노이드 또는 토코페롤보다는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변화와 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결과는 다래순 묵나물의 재수화 또는 가열 조리 시 산화 방지, 항당뇨 등 건강기능성 개선을 위해 폴리페놀 화합물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하였다.

국내 시판 포도씨유의 비타민 E,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조성 비교 (Comparison of Vitamin E, Phytostero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Commercially Available Grape Seed Oils in Korea)

  • 위민정;성지혜;전건욱;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53-956
    • /
    • 2008
  • 국내 시중에서 유통되는 포도씨유 10종에 대한 비타민 E,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E는 $\alpha$-토코페롤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10.1{\sim}44.8\;mg/100\;g$이었다. 또한 다른 식물성 유지에서 분석되지 않거나 함량이 낮은 $\alpha$-T3와 $\gamma$-T3가 비교적 높은 함량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성스테롤 함량 분석에서 10종의 유지 모두 $\beta$-sitosterol($63.9{\sim}119.3\;mg/100\;g$)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의 비율은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가 주요 지방산으로 분석되었다. 포도씨유 10종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 성분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나 그 함량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각각의 포도씨유 생산에 사용된 포도씨 품종의 차이와 서로 다른 품종의 포도씨의 혼합여부 그리고 생산과정 중의 차이에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

저장 중 양식 뱀장어뼈튀김의 산화 안정성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The Change in Fatty Acid and Oxidative Stability of Frying Cultured Eel Bone during the Storage)

  • 홍선표;김선영;정은정;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97
    • /
    • 2005
  • 본 연구는 양식 뱀장어뼈튀김의 저장 중 저장온도 및 포장방법에 따른 지질의 산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뱀장어뼈튀김은 $40^{\circ}C$$20^{\circ}C$에서 60일 동안 저장하면서 산가, 과산화물가,지방산 조성 등을 조사하였는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지질의 산패는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 중 $20^{\circ}C$보다 $40^{\circ}C$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circ}C$$40^{\circ}C$에서 저장한 뱀장어뼈튀김의 산화억제에는 탈산소제 처리구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그 다음이 질소가스, BHA, 토코페를 순이었다. 뱀장어뼈튀김의 지방산 조성은 단일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고도불포화지방산 순으로 많았으며 주요 구성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등이었다. 저장 중 저장온도가 높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포화지방산은 증가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여러 처리구중 탈산소제를 동봉하여 포장한 뱀장어뼈튀김의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 토코페롤, BHA, 질소가스 처리구에 비하여 변화가 가장 적었다. 관능검사에서 색상, 향, 맛,조직,전반적이 기호도 등은 탈산소제 처리구가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이 BHA, 질소가스, 토코페롤 대조구 순으로 나타났다.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함유한 기능성 저트랜스 유지의 효소적 합성 및 이화학적 특성 연구 (Enzymatic Synthesis of Low-trans Fats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s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남하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52-760
    • /
    • 2008
  • One liter stirred-tank batch reactor에서 기질들의 부피 비율을 1:2:7(fully hydrogenated soybean oil : SL-olive+CLA : palm oil)하고 RM IM lipase를 사용하여 CLA를 함유한 재구성 지질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재구성지질은 총 CLA를 7.6 area% 함유하였고,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38.1 area%), palmitic acid(33.1 area%), stearic acid(12.2area%) 및 linoleic acid(7.3 area%)로 분석되었으며 트랜스지방산은 분석한계 미만(0.1 area%)으로 검출되었다. Reversed-phase(RP) HPLC 분석 결과, 재구성 지질의 TAG 형태는 PN=44(1.52 area%), PN=46(21.79 area%), PN=48(53.71 area%) 및 PN=50(11.1 area%)의 범위로 나타내었다. 합성된 지질의 토코페롤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alpha}$, ${\gamma}$-토코페롤이 각각 4.7, 1.0 mg/100 g로 반응기질보다 감소하였고, 이의 산가, 비누화가, 요오드가의 측정 결과는 각각 0.4, 173.9, 59.0이었다. 재구성 지질의 융점은 세 개의 피크를 보이며 각각 8.7, 25.3 및 $40.9^{\circ}C$으로 나타났고 결정화점은 각각 0.7, $18.2^{\circ}C$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체지 함량은 31.8%($25^{\circ}C$), 22.3%($30^{\circ}C$), 13.9%($35^{\circ}C$)를 나타내어 상업적인 쇼트닝과 유사한 물성을 보였다. 재구성 지질의 녹는점은 $39.8^{\circ}C$로 측정되었고, hardness value는 63.8 g로 분석되었다.

파프리카 급여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alpha$-Tocopherol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on Serum Lipid Profile and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 박재희;노상규;김창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1-317
    • /
    • 2010
  • 본 연구는 추출물 형태에 따른 파프리카 첨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alpha$-tocopherol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rague-Dawley 수컷 25마리를 대조군(NC), 고콜레스테롤군(HC), 고콜레스테롤+동결건조 파프리카 분말 섭취군(HC-FD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물 추출물 섭취군(HC-WE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에탄올 추출물 섭취군(HC-EEP)으로 나누어 실험 식이를 6주간 공급하였다. 6주 후 HC군과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체중 증가는 각각 85.2%와 65.5~68.88%로 HC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내장지방 무게는 HC군보다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파프리카 급여군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과 atherogenic index 역시 HC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파프리카 급여군들 중에서는 HC-EEP 군이 혈청지질농도 감소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alpha$-tocopherol 농도는 HC-EEP에서 $30.5{\pm}0.6\;{\mu}mol/{\el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HC-WEP($30.0{\pm}0.8\;{\mu}mol/{\ell}$)>HC-FDP($29.1{\pm}0.5\;{\mu}mol/{\ell}$)>HC($27.7{\pm}0.3\;{\mu}mol/{\ell}$)이었다. 이는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혈청 $\alpha$-tocopherol이 소모되는 것을 파프리카 급여로 절약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파프리카는 혈중 지질 농도 저하 효과를 보였고, $\alpha$-tocopherol 절약 작용을 통해 체내 항산화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