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5]-enkephali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소 부신수실 크롬친화성 세포에서 Nicotine의 장기간 자극으로 유발된 Proenkephalin A mRNA의 증가 및 $[Met^{5}]-enkephalin$의 분비 증가가 Lipoxygenase 경로에 의해 매개됨 (The Increases of Proenkephalin A mRNA Levels and the Secretion of $[Met^{5}]-Enkephalin$ Induced by Long-term Stimulation with Nicotine are Mediated by a Lipoxygenase Pathway in Bovine Adrenal Medullary Chromaffin Cells)

  • 서홍원;김영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7-244
    • /
    • 1993
  • 소 부신수실 크롬친화성 세포(BAMC)에서 $[Met^5]-enkephalin$ (ME)의 분비와 Proenkephalin A (proENK) mRNA의 함량에 대한 nicotine의 영향과 이에 대한 indomethacin, nordihydroguaiaretic acid(NDGA) 및 captopril의 작용을 연구하였다. 10 uM Nicotine으로 BAMC 세포를 장기간 자극시 proENK mRNA의 함량과 배양액으로의 ME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BAMC 세포를 NDGA(lipoxygenase 억제제, 10 uM), indomethacin (cyclooxygenase 억제제), captopril (angiotensin 변환효소 억제제)만으로 처리시에는 ME 분비와 proENK mRNA의 함량에 영향이 없었다. Nicotine에 의한 ME 분비와 proENK mRNA 함량의 증가는 NDGA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그러나 indomethacin과 captopril은 nicotine의 작용에 대하여 아무 영향이 없었다. 이들 결과는 nicotine에 의한 ME 분비와 proENK mRNA 함량의 증가가 부분적으로 lipoxygenase 경로에 의해 매개되며, cyclooxygenase 및 내재성 renin-angiotensin 경로는 관련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 PDF

백서의 중추와 말초 Opiate계에 미치는 전기충격의 영향 (Influence of Electroconvulsive Shock (ECS) on the Central and Peripheral Opiate System of the Rat)

  • 권혁일;김기원;곽용근;양원모;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5-178
    • /
    • 1988
  • 백서에서 전기충격 (electroconvulsive shock; ECS)이 뇌내 및 혈중 opiate system에 미치는 효과와 이에 대한 수종의 psychoactive drugs의 영향을 검토코저 1일 1회씩, 1, 3, 7및 14일간 ECS를 가하거나, 14일간 상기 약물과 ECS를 병행처리한 백서의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 Met-enkephalin 함량, ${\beta}-endorphin$ 함량 또는 혈중 ${\beta}-endorphin$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뇌내 Met-enkephalin의 함량은 1회의 ECS에 의해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기간의ECS를 가한 군에서는 최종 ECS 1시간 후부터 유의하게 증가되어 7일후까지 지속되었다. 2. 뇌내 ${\beta}-endorphin$의 함량은 ECS처리 횟수에 관계없이 최종 ECS 1시간후에는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24시간, 3일, 7일 및 14일후의 측정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3. 혈중 ${\beta}-endorphin$의 농도는 ECS처리 친수에 관계없이 최종 ECS 5분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1시간, 24시간, 7일 및 14일후의 측정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4.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의 Bmax는 1회의 ECS에 의해 변동되지 않았으나 장기간의 ECS를 가한 군에서는 ECS 1시간후부터 유의하게 감소되어 7일후까지 지속되었다. 한편 Kd치는 모든 실험군에서 변동되지 않았다. 5. ECS장기처리군에서 ECS 30분전 phenobarbital(100 mg/kg) 전처리는 ECS에 의한 뇌내Met-enkephalin함량증가를 현저히 억제 하였으며, ECS에 의한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의 Bmax감소, 뇌내 ${\beta}-endorphin$ 함량감소와 혈중 ${\beta}-endorphin$ 농도증가에 대해서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6. Imipramine 또는 pargyline 장기처리는 자체로써 뇌내 ${\beta}-endorphin$함량증가, 혈중 ${\beta}-endorphin$ 농도증가,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의 Bmax감소를 일으켰으나 뇌내 Met-enkephalin의 함량과 ECS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7. Reserpine, chlorpromazine 또는 haloperidol 장기처리는 자체로써 뇌내 Met-enkephalin의 함량증가, 뇌내 ${\beta}-endorphin$함량증가, 혈중 ${\beta}-endorphin$ 농도증가,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의 Bmax감소를 일으켰고, ECS효과를 강화시켰다. 8. 장기간 ECS를 가한 백서의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의 Bmax는 뇌내 Met-enkephalin 함량과는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보이 나 뇌내 ${\beta}-endorphin$ 함량과는 관계 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전기충격요법이 생체내에서의 작웅기전에 중추 또는 말초 opiate계가 개입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또한 ECT의 효과가 수종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에 의해 변동될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EFFECT OF PERTUSSIS TOXIN ON THE SECRETION OF $[MET^5]$-ENKEPHALIN AND EXPRESSION OF PROENKEPHALIN A mRNA INDUCED BY NICOTINE, ANGIOTENSIN II, AND PHORBOL MYRISTATE ACETATE IN BOVINE ADRENAL MEDULLARY CHROMAFFIN CELLS

  • Hong W. Suh;Kim, Yung H.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87-194
    • /
    • 1993
  • [Met5]-Enkephalin (ME) secretion and the expression of proenkephalin A (proENK) mRNA were studied following long-term exposure of bovine adrenal medullary chromaffin (BAMC) cells to pertussis toxin. Prolonged (24 hr) stimulation of BAMC cells with pertussis toxin increased the secretion of ME as well as proENK gene expression. BAMC cells were also incubated with pertussis toxin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ther secretagogues such as nicotine, angiotensin II and phorbol myristate acetate.

  • PDF

선천성 고혈압쥐에서의 Opioid에 의한 진통작용과 Proenkephalin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Antinociception Induced by Opioids and the Proenkephalin Gene Express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서홍원;이태희;송동근;최성란;정전섭;김영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26
    • /
    • 1995
  • 8주, 18주, 그리고 32주된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과 Wistar-Kyoto Rats(WKY)과의 blood pressure(혈압)를 측정하여본 결과 SHR 그룹이 WKY에 비해 19에서 70 mmHg 차이로 SHR 그룹이 WKY group에 비하여 혈압이 높았다. 18주된 SHR과 WKY에서 제 3 뇌실내 (intraventricular)로 투여된 morphine과 ${\beta}-endorphin$의 진통작용을 검색하여 보았다. WKY group에 비하여 SHR group에서 뇌실내로 투여된 ${\beta}-endorphin$은 진통작용에 있어서 상승작용 (potentiation)을 보임을 발견하였고 뇌실내로 투여된 morphine은 SHR group에서 약간만 상승작용을 보였다. SHR과 WKY group간에 opioid의 진통작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Midbrain과 Medulla (pons), 그리고 spinal cord (척수)의 lumbar부위의 $[Met^5]-enkephalin$과 proenkep-halin A mRNA level을 측정하여 보았다. SHR과 WKY group간의 $[Met^5]-enkephalin$과 proenkephalin mRNA의 양은 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때 SHR group에서 뇌실내로 투여된 ${\beta}-endorphin$은 그의 진통효과에 있어서 보인 상승작용은 척수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opioid deptide의 양이 변해서가 아니라 다른 기전에 의하여 조절되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횐쥐 부신에서 Opioid가 니코틴 수용체를 통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ioid on Nicotinic Receptor-Mediated Catecholamine Secretion in the Rat Adrenal Gland)

  • 임동윤;이종진;최철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1-190
    • /
    • 1992
  • 흰쥐 적출관류 부신에서 선택적인 nicotine 수용체 효능약인 DMPP(1,1-dimethyl-4-phenylpiperazinium)와 acetylcholine(ACh)의 카테콜아민(CA) 분비작용에 대한 opioids의 영향을 연구하고자 시행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Methionine-enkephalin$(9.68{\times}10^{-6}\;M)$으로 전처치시 DMPP(100 uM)과 $ACh(50\;{\mu}g)$에 의한 CA 유리작용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basal CA release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Morphine$(1.73{\times}10^{-5}\;M)$으로 전처치시 DMPP 및 excess $K^+$의 CA 분비작용은 뚜렷이 약화되었다. Morphine 역시 그자체는 basal CA release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Opiate 수용체 길항제인 naloxone$(1.22{\times}10^{-7}\;M)$은 DMPP 및 ACh에 의한 CA 분비작용을 현저히 차단 하였으나 basal CA release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보아, 흰쥐 관류 부신에서 니코틴 수용체에 의한 CA 분비작용은 내인성 opioid peptide에 의해서 억제되며, 이는 부신에 존재하는 opiate 수용체 흥분작용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fluence of Naloxone on Catecholamine Release Evoked by Nicotinic Receptor Stimulation in the Isolated Rat Adrenal Gland

  • Kim Ok-Min;Lim Geon-Han;Lim Dong-Y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6호
    • /
    • pp.699-708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loxone, a well known opioid antagonist, on the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evoked by cholinergic stimulation and membrane-depolarization in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s, and to establish its mechanism of action. Naloxone ($10^{-6}\~10^{-5}$ M), perfused into an adrenal vein for 60 min, produced dose- and time-dependent inhibition of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5.32\times10^{-3}$ M), high K+ ($5.6\times10^{-2}$ M), DMPP ($10^{-4}$ M) and McN-A-343 ($10^{-4}$ M). Naloxone itself also failed to affect the basal CA output. In adrenal glands loaded with naloxone ($3\times10^{-6}$ M),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Bay-K-8644, an activator of L-type $Ca^{2+}$ channels, and cyclopiazonic acid, an inhibitor of cytoplasmic $Ca^{2+}$-ATPase, were also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met-enkephalin ($5\times10^{-6}$ M), a well known opioid agonist,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Bay-K-8644 and cyclopiazonic acid were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loxone greatly inhibits the CA secretion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both nicotinic and muscarinic) receptors as well as that by membrane depolarization. It seems that these inhibitory effects of naloxone does not involve opioid receptors, but might be mediated by blocking both the calcium influx into the rat adrenal medullary chromaffin cells and the uptake of $Ca^{2+}$ into the cytoplasmic calcium store, which are at least partly relevant to the direct interaction with the nicotinic receptor itself.

Naltrexone Inhibits Catecholamine Secretion Evoked by Nicotinic Receptor Stimulation in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 Yu, Byung-Sik;Min, Seon-Young;Seo, Yoo-Seok;Choi, Cheol-Hee;Lee, Eun-Hwa;Lim, Dong-Y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4호
    • /
    • pp.223-230
    • /
    • 200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naltrexone, an opioid antagonist, on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evoked by cholinergic nicotinic stimulation and membrane-depolarization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and to establish the mechanism of its action. Naltrexone $(3{\times}10^{-6}M)$ perfused into an adrenal vein for 60 min produced time-dependent inhibition in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5.32{\times}10^{-3}M)$ , high $K^+$ $(5.6{\times}10^{-2}M)$ , DMPP ($10^{-4}$ M) and McN-A-343 $(10^{-4}M)$ . Naltrexone itself did also fail to affect basal CA output. In adrenal glands loaded with naltrexone $(3{\times}10^{-6}M)$ ,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Bay-K-8644, an activator of L-type $Ca^{2+}$ channels and cyclopiazonic acid, an inhibitor of cytoplasmic $Ca^{2+}-ATPase$, were also inhibited. However, in the presence of met-enkephalin $(5{\times}10^{-6}M)$ , a well-known opioid agonist,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Bay-K-8644 and cyclopiazonic acid were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Collectively, thes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naltrexone inhibits greatly CA secretion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both nicotinic and muscarinic) receptors as well as that by membrane depolarization. It seems that this inhibitory effect of naltrexone does not involve opioid receptors, but might be mediated by blocking both the calcium influx into the rat adrenal medullary chromaffin cells and the uptake of $Ca^{2+}$ into the cytoplasmic calcium store, which are at least partly relevant to the direct interaction with the nicotinic receptor itself.

흰쥐 관류부신에서 Pentazocine의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의 기전 (The Mode of Action of Pentazocine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 임동윤;김봉한;허재봉;최철희;김진호;장영;이재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9-311
    • /
    • 1994
  • Pentazocine은 opioid 수용체에 대한 흥분작용과 길항작용을 겸유한 opioid계 약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흰쥐 적출 관류부신으로 부터 pentazocine의 catecholamine(CA) 분비작용을 관찰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고 또한 다른 opioid의 작용과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ntazocine$(30{\sim}300\;ug)$을 부신정맥내에 주사하였을때 현저한 용량의 존성의 CA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Pentazocine의 이러한 CA 분비작용은 chlorisondamine $(10^{-6}\;M)$, naloxone $(1.22{\times}10^{-7}\;M)$, morphine $(1.73{\times}10^{-5}\;M)$, enkephalin $(9.68{\times}10^{-6}\;M)$, nicardipine $(10^{-6}\;M)$ 및 TMB-8$(10^{-5}\;M)$등의 전처치로 뚜렷이 억제되었으나 pirenzepine (2과$10^{-6}\;M)$의 전처치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Ca^{++}$-free Krebs 용액으로 30분간 관류한 후에 pentazocine의 CA 분비작용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었다. Pentazocine $(1.75{\times}10^{-4}\;M)$을 20분간 관류시킨 후에 ACh $(5.32{\times}10^{-3}\;M)$과 DMPP $(10^{-4}\;M)$에 의한 CA 분비작용이 의의 있게 감약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pentazocine은 횐쥐 적출 관류부신에 투여시 현저한 CA 분비작용을 일으키고 있는 칼슘의존성 exocytotic mechanism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pentazocine의 CA 분비작용은 부신 chromaffin cell에 있는 opioid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하여 나타나며, 또한 부신의 nicotine 수용체의 흥분작용과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