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_4)_2SO_4$

검색결과 1,074건 처리시간 0.029초

Rhizopus oryzae의 균체생산 및 세포벽제거 (Biomass Production and Cell Wall Lysis of Rhizopus oryzae)

  • 남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3-89
    • /
    • 1981
  • 식품가공이나 유기산 생산공업 등에 널리 사용되는 Rhizopus oryzae를 대상으로 하여 균체생산을 목적으로 각종 유기산, alcohol, aromatic 화합물과 당류 등의 탄소원들을 조사한 바 Na-acetate가 1% 이하의 농도에서는 glucose와 마찬가지의 좋은 탄소원으로서는 ammonium태나 질산태질소 그리고 유기질소 화합물 모두 대체로 같은 정도로 잘 이용될 수 있음을 알았으며 무기질소태질소 중에서 (NH$_4$)$_2$SO$_4$가 그중 가장 좋은 질소원으로 사용되었다. 이 Rhizopus oryzae는 또 yeast extract와 같은 미량영양원소를 요구하지 않았으므로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성의 배지로 배양하였다. Na-acetate 1 %, (NH$_4$)$_2$SO$_4$ 0.2%, $K_2$HPO$_4$ 0.05%, MgSO$_4$.7$H_2O$ 0.01%, NaCl 0.01% (PH 5.5)의 배지상에서 생육한 균사체를 Strepzyme 115-5를 사용하여 견고한 세포벽을 제거하는 실험에서 pH 6.5와 온도 5$0^{\circ}C$에서 최적조건을 나타내었다. 이 때 세포벽 제거에 따른 protoplast의 생성은 효소 처리 10분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처리 4시간 후에는 거의 모든 균사체가 작용받았음을 알았다.

  • PDF

가축분에 몇가지 석회 화합물 처리에 의한 질소손실 경감과 $NH_3$ 가스 발생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me Compounds on the Reduction of Ammonia Gas Formation and Nitrogen Loss During the Formation of Poultry Manure-Sawdust)

  • 박창규;양장석;조광래;원선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6
    • /
    • 2000
  • To reduce loss of nitrogen and generation of ammonia gas during composting, poultry manure and sawdust were mixed at the equivalent ratio and calcium chloride, fused superphosphate and vermiculite were added. Ammonia and sulfurous gas during composting, and NH4-N and NO3-N contents of composts were periodically measured. With the treatments of 0.5∼3% calcium chloride and 3% fused superphosphate, ammonia and sulfurous gas during composting significantly decreased, and especially generation of gases sharply reduced and a increase of calcium chlorde. Extractable NH4-N content in composts treasted with calcium chloride and fused superphosphate were high but extractable NO3-N markedly decreased.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he additon of 1∼3% calcium chloride or 3% fused superphosphate to reduce loss of nirogen and generation of offensive odor during composting of poultry manure mixed with sawdust.

  • PDF

호알칼리성, 고온성 Bacillus sp. TA-11의 분리와 $\beta$-galactosidase의 생산 (Isolation of Alkalophilic, Thermophilic Bacillus sp. TA-11 and Production of $\beta$-Galactosidase)

  • 이종수;곽인영;금종화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47-52
    • /
    • 1992
  • $\beta$-galactosidase를 강력하게 생산하는 호알칼리성, 고온성 세균 TA-11를 부엽토에서 분리하여 Bacillus sp. TA-11로 동정 하였다. Bacillus sp. TA-11에 의한 $\beta$-galactosidase 생산은 lactose 1.5%, peptone과 yeast ext. 각각 0.4%, $MgSO_4$ 0.2%, $NH_4$CL 0.05% 및 NaCl 0.2% 등을 함유한 배지의 pH를 10.0으로 하여 시험균을 접종한후 $50^{\circ}C$에서 2일간 진탕배양 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 PDF

Streptomyces chibaensis가 생산(生産)하는 Inulase에 관한 연구(硏究) - 제2보(第二報). Streptomyces chibaensis의 Inulase 생산조건(生産條件)에 대(對)하여 - (A study on the Inulase of Streptomyces chibaensis - Part II. Culture conditions for the Inulase Production by Streptomyces chibaensis -)

  • 정구영;박성오;이계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4호
    • /
    • pp.211-217
    • /
    • 1980
  • 강력(强力)한 inulin 분해력(分解力)을 가진 Streptomyces chibaensis균주(菌株)를 이용하여, 효소생산(酵素生産)에 효과적인 배양조건 및 배지조성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효소생산배지(酵素生産培地)의 최적 초기 pH는 7.5였으며, 이 조건하에서 $30^{\circ}C$에서 84시간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효소역가를 나타냈다. 2. Inulase를 다량생산(多量生産)하기 위한 배지의 탄소원(炭素源)으로서는 다른 탄소원(炭素源)에 비하여 inulin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3. 무기질소원(無機質素源)으로는 $(NH_4)_2HPO_4$가 inulase생산(生産)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고, 유기질소원(有機窒素源)으로는 corn steep liquor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4. 무기염(無機鹽)으로 KCI 0.01%, $MgSO_4$ 0.05%, 그리고 $FeSO_4$ 0.0001% 첨가하였을 때 가장 효과가 컸다. 5. 탄소원(炭素源)(inulin) 1%와 질소원(窒素源)(corn steep liquor) 2%의 비율(比率)로 혼합(混合)하여 만든 배지(培地)에서 가장 효소생산(酵素生産)이 높았다.

  • PDF

김해평야(金海平野)의 관개수(灌漑水) 오염(汚染)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rrigation Water Pollution of the Gimhae Plain)

  • 하호성;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2-30
    • /
    • 1982
  • 본 조사(本 調査)는 김해평야(金海平野)외 농업용수(農業用水)로 사용(使用)하고 있는 낙동강지류(洛東江支流)의 수질(水質)을 주요(主要) 양수장부근(揚水場附近) 6척지점(個地點)(대저, 식만, 봉림, 녹산, 마찰, 장유)에서 1981년(年) 5월(月), 7월(月) 및 10월(月)의 3회(回)에 걸쳐 채수분석(採水分析)함으로서 수질보전대책(水質保全對策)과 이 지역(地域)의 농업(農業)에 참고자료(參考資料)를 제공(提供)코자 하였다. 시기별(時期別) 각(各) 지점(地點)의 수온(水溫), 탁도(濁度), 증발잔류물(蒸發殘留物), pH, BOD, COD, DO, 경도(硬度), $Cl-,\;SO_4--,\;PO_4---,\;NH_4+,\;NO_3-,\;K+,\;Na+$, 일반세균(一般細菌), 대장균(大腸菌), 중금속(重金屬)(Cd, Pb, Cr, Fe, Zn)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시기별(時期別) 모든 지점(地點)의 평균치(平均値)는 pH 7.8, BOD 6.3 ppm, COD 6.5 ppm, DO 6.4 ppm, 경도(硬度) 231 ppm, Cl- 582 ppm, $SO_4--\;412\;ppm,\;PO_4---\;2.32\;ppm,\;NH_4+$ 3.8 ppm, Na+ 478 ppm, 대장세균(大腸細菌) 2964개(個)/100ml, Cd 0.0040 ppm, Pb 0.006 ppm이었다. 2) 지점별(地點別) 오염도(汚染度)가 가장 높은 곳은 식만 양수장부근(揚水場附近)이었고 그 다음이 대저, 봉림, 녹산이었으며 비교적 오염도(汚染度)가 덜한 곳은 마찰, 장유양수장(揚水場) 부근(附近)이었다. 3) 오염도(汚染度)가 가장 높은 식만양수장(揚水場) 부근(附近)의 수질(水質)은 약간의 취기(臭氣)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外觀上) 약간의 흑색(黑色)을 띄고 있었고, 분석평균치(分析平均値)는 pH가 8.0, BOD 8.1 ppm, COD 8.2ppm, DO 5.3ppm으로 농업용수기준(農業用水基準)의 한계(限界)에 도달(到達)하고 있었다. 이곳이 오염도(汚染度)가 높은 것은 김해시(金海市)의 주요(主要) 공장폐수(工場廢水)가 이곳으로 집중(集中) 배출(排出)되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4) 시기별(時期別) 각(各) 성분(成分)의 차리(差異)는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으며 다만 DO가 10월(月)이 5월(月) 및 7월(月)보다 높게 나타났고 $NH_4+$는 10월(月)이 5월(月) 및 7월(月)에 비(比)해서 낮게 나타났을 뿐이다. 5) 각(各) 지점(地點)이 $NH_4+$함양(含量)이 높아 실소질비료(室素質肥料)의 시비(施肥)에 이를 고려(考慮)해야 할 것이며, Cl- 및 Na+함양(含量)은 평수시(平水時)에는 별문제(別問題)가 없을 것이나 갈수기(渴水期)에는 관개(灌漑)에 주의(注意)를 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재난을 대비한 새만금지역의 강우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in Saemangeum)

  • 임익현;황의진;류지협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5-72
    • /
    • 2011
  • 본 연구는 새만금지역에서 재난관리 및 우수이용을 목적으로 강우를 채취하여 pH 측정과 이온성분을 분석하고 강우의 특성 파악과 용수부족에 따른 수자원 대체 가능성 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새만금지역의 강우시료 채취를 위해 안정적 시료 채취와 장비관리의 효율성, 접근성이 높은 지점을 선정하여 1개소의 측정소(수동형 우수채취기(R-100형) 2기 설치)를 운영하였다. 시료채취의 기간은 강수량이 풍부한 2009년 3월부터 2009년 9월까지로 7차에 걸쳐 월별로 1회 이상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강우시료의 음이온 분석결과, 음이온은 $SO{_4}^{2-}$>$NO_3{^-}$>$Cl^-$ 순으로 강우의 pH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이온은 $Ca^{2+}$>$K^+$>$NH_4{^+}$>$Na^+$>$Mg^{2+}$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g^{2+}$이온은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우중 이온성분의 농도는 초기강우에서 높게 나타났고,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중 이온성분이 감소되어 중기 이후 강우는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의 월별 pH는 5월이 가장 낮고 다음은 3월로 나타났으며, 황사가 발생한 4월과 강우량과 강우빈도가 높은 6월, 7월 8월과 건조한 9월의 pH는 모두 유사한 분포특성을 나타내었다. 새만금지역의 강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으로 pH 5.6이하로 약산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econnaissance Study for the Impact Evaluation of Acid Pollution at Miomotegawa River

  • Yang, Hyung-Jae;Park, Jung-Min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4호
    • /
    • pp.31-36
    • /
    • 2008
  •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anion and cation concentrations of Miomotegawa river since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almon rivers in Japan. A great number of salmons have returned to the river, and it was expected to contain relatively lower cation concentrations since granite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river catchment area. The anion and cation concentrations of station 1 except $NH_4{^+}$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ations. The concentrations of $Na^+,\;K^+,\;Mg^{2+},\;Ca^{2+}$, and $Cl^-$ at station 2 were 8.61, 1.06, 1.84, 4.47, and 14.5mg/l, respectively. In the case of $NH_4{^+},\;NO_3{^-}$ and ${SO_4}^{2-}$, they were 0.04, 2.99 and 5.31mg/l, respectively at station 2 of down stream. However, at station 5 of upstream, they were 0.01, 1.37 and 4.08mg/l, respectively, which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downstream.

黃砂現象時 粉塵의 粒度分布와 化學組成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Size Distribution and Chemical Component of Suspended Particulate during the Period of Sandy Dust Phenomena)

  • 이민희;한의정;신찬기;한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7-66
    • /
    • 1988
  • Sandy dust phenomena was observed from April 19 to 23, 1988 in Seoul and suspended particulate was collected by Andersen air sampler during this period.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16 components $(SO_n^{2-}, NO_3^-, Cl^-, PO_4^{3-}, NH_4^+, F^-, Al, Fe, K, Cu, Mn, Na, Pb, Mg, Ca, Cd)$. The conclusions are as follwes: 1. Total suspended particulate concentation during the period of sandy dust phenomena was 489 $\mug/m^3$ (ordinary times: 140-125 $mug/m^3$) 2. The water - soluble ion component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during the period of sandy dust phenomena was few and the metal concentration of that was more than that of ordinary times. 3. The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ulates in logarithmic diagram did not show similar to normal log distribution during the period of sandy dust phenomena. 4. $SO_4^{2-}, NO_3^-, Cl^-, and PO_4^{3-}$ was onsided to coarse particle, and $NH_4^+$ and F to fine particle in the size distribution of water - soluble ion components during the period of sandy dust phenomena. 5. Metal concentration was high and Al, Fe, Cu, Mn, Na, Mg, and Ca was onsided to coarse particle, and K, Pb, and Cd to fine particle in the size distribution of metal components. 6. During the period of sandy dust phenomena the quantity of respirable particle (< 1 $\mum$) was about 3 times and that of metal components were about 2 - 11 times than that of ordinary times. 7. The concentrations of $NO_3^-, Cl^-, NH_4^+$ at ordinary times were 1.1 - 4 time than that of the period of sandy dust phenomena.

  • PDF

제주지역 TSP 이온성분 농도의 장기 변화 (Long-term Variation of Ionic Constituent Concentrations in TSP at Jeju Island)

  • 고희정;강창희;김원형;이순봉;강화숙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0-431
    • /
    • 2010
  • The water-soluble components have been analyzed from the total suspended particulate (TSP) collected at Gosan site of Jeju Island for ten years (1997~2006), and the long-term variations of ionic constituent concentrations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aerosols. Their mean concentrations were in the order of nss-${SO_4}^{2-}$ > $Na^+$ > ${NO_3}^-$ > $Cl^$ > ${NH_4}^+$ > nss-$Ca^{2+}$ > $K^+$ > $Mg^{2+}$. The ${NO_3}^-$ concentrations had increased somewhat smoothly compared to those of ${SO_4}^{2-}$ for the past 10 years, possibly indicating the recent energy consumption pattern changes in China. The concentrations of ionic aerosol components showed mostly higher values during the Asian Dust storm periods, and the concentration ratios of nss-$Ca^{2+}$, ${NO_3}^-$, and nss-${SO_4}^{2-}$ between the Asian Dust and Non-Asian Dust periods were 6.9, 2.4, and 1.3, respectively. The anthropogenic nss-${SO_4}^{2-}$, ${NO_3}^-$, ${NH_4}^+$ and the soil originated nss-$Ca^{2+}$ components showed high concentrations as the air parcels were moved from the Asia continent, on the other h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relatively low as moving from the Northern Pacific into the Gosan area.

Entrobacter agglomerans에 의한 D-Galactose로부터 D-Tagatose 생산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D-Tagatose Production from D-Galactose by Enterobacter agglomerans.)

  • 오덕근;노회진;김상용;노봉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0-256
    • /
    • 1998
  • D-Tagatose의 생산 가능성이 있는 미국 종균협회(ATCC)와 한국 유전자은행(KCTC)에서 구입한 균주 35 종류를 사용하여 D-galactose로부터 D-tagatose의 생산을 조사하였다. 여러 균주 중에 발효시간이 짧고 D-tagatose의 생산량이 높은 Enterobactor agglomerans ATCC 27987을 D-tagatose 생산 균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균을 사용하여 D-tagatose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배양 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여러 가지 탄소원 중에서 D-galactose가 D-tagatose의 생산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D-galactos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tagatose의 생산량과 균체농도가 증가하였다. 20 g/l의 D-galactose 배지에서 여러 가지 질소원이 D-tagatos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D-tagatose의 생산량은 유기 질소원의 경우 yeast extract가 가장 높았고 무기 질소원의 경우 (NH$_4$)$_2$SO$_4$가 높게 나타났다. D-Tagatose의 생산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질소원인 yeast extract를 선택하여 농도별 실험을 수행하여 최적 yeast extract의 농도를 5.0 g/l로 결정하였다. (NH$_4$)$_2$SO$_4$를 yeast extract 5.0 g/l가 함유된 배지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2.0 g/l에서 최대 D-tagatose의 생산량을 얻었다. 또한, 무기염의 영향을 조사하여 KH$_2$PO$_4$ 5.0 g/l, $K_2$HPO 5.0 g/l, MgSO$_4$.7$H_2O$ 5.0 mg/l의 최적 D-tagatose 생산 조건을 결정하였다. 배지최적화를 통하여 최적 배지로 D-galactose 20 g/l, yeast extract 5.0 g/l, (NH$_4$)$_2$SO$_4$ 2.0 g/l, KH$_2$PO$_4$ 5.0 g/l, $K_2$HPO$_4$ 5.0 g/l, MgSO$_4$.7$H_2O$ 5 mg/l를 선정하였다. 최적 배지에서 배양 환경이 D-tagatos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초기 pH 6.0, 배양 온도 3$0^{\circ}C$, 교반속도 150 rpm의 최적 배양 조건을 결정하였고 이 조건에서 배양시간 24시간에 D-galactose 20 g/l로부터 D-tagatose의 0.41 g/l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