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설문해자익징"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금석학(金石學)의 성취에 대한 재평가 - 박선수(朴瑄壽)의 금석학을 중심으로 - (A Revaluation of the Korean Epigraphy's Achievement-Focused on Park Seon-su's Epigraphy)

  • 문준혜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361-384
    • /
    • 2018
  • 본고는 금석학의 관점에서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說文解字翼徵)"을 소개하고, 그것을 한국 금석학의 연구 성과에 포함시키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한국의 금석학은 19세기 초 추사 김정희(金正喜)에 의해 하나의 학문 분야로 발전되었다. 이 때문에 한국의 금석학은 대체로 김정희를 기점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시기를 구분한 뒤, 중요한 저작이나 연구자를 소개하는 형식으로 기술되었다. 기존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한국의 금석학은 금석문을 수집하고 한 데 묶어 편찬한 자료집 성격의 서적이 금석문을 해독하고 고증한 연구서 성격의 서적보다 많다는 특징이 있다. 또 저자의 국적에 관계없이 한국의 금석문을 수록한 책은 모두 한국 금석학의 범위에 포함시켰고, 종교적 이유로 편찬된 책도 금석문을 수록하고 있다면 금석학의 범위에서 제외하지 않았다. 이는 한국 금석학의 범위가 매우 넓게 설정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 후기에 금석학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던 박선수의 연구 성과가 누락된 것은 "설문해자익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은 금석문을 이용하여 "설문해자"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려는 목적으로 편찬된 문자학 저작이다. 박선수는 금석문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이를 문자 연구에 활용하는 방법론을 개척했으며, 금석문을 분석하고 해독하는 등의 금석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은 한국 금석학의 연구 성과에 포함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잘 알려지지 않은 연구자와 연구 성과를 발굴하여 한국 금석학의 성취에 대한 새로운 기술과 평가가 필요하다.

"설문 해자익징" 연구 (A Study of the Sulmunhaejaikjing)

  • 김순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9-88
    • /
    • 1996
  • 본 논문은 조선말의 공증학자인 박선수가 저술한 $\ulcorner$설문 해자익징$\lrcorner$에 대하여 저자 및 저작 배경, 체재와 구성 문자해설 방식 등을 고찰하고 정조의 대표적인 설문학 저술과 비교 연구하였다. $\ulcorner$설문 해자익징$\lrcorner$은 허진의 $\ulcorner$설문 해자$\lrcorner$의 오류를 수정 보완하고자 저술된 것으로 문자 해설 순서는 $\ulcorner$설문 해자$\lrcorner$의 14권 540부를 그대로 따르고 있으나 고찰의 대상으로 삼은 문자에는 차이가 있다. 즉 허진은 소전을 대상으로 한 반면, 박선수는 소전 이전의 문자인 고대한자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이다. 설문학 분야 저술중 가장 주목되는 은옥재의 $\ulcorner$설문해자주$\lrcorner$는 허진의 해설을 대부분 수용하면서 그것을 주석하는데 역점을 두었으므로 박선수의 문자 해설과는 차이가 보인다. 허진과 마찬가로 은옥재도 소전이전의 고대한자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대한자에 관한여 크게 관심을 갖고 저술된 저작으로는 오대징의 $\ulcorner$설문고적보$\lrcorner$가 있다. 글나 오대징은 설문해자의 해설을 수정하는데 중점을 두기보다는 $\ulcorner$설문 해자$\lrcorner$에서 해설한 문자 중에서 확인 가능한 고대한자들을 모두 수록하는데 목적이 있었으므로 각각의 운자에 대하여 독자적인 해설은 미흡하다. 비록 박선수가 근거로 제시한 문자의 수는 오대징보다는 적지만 신빙할 수 있는 자료를 근거로 깊이 연구하여 독자적인 방식으로 새로운 해설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보다 발전적인 면모를 갖고 있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