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3103/JFHS.2012.27.4.366

An Analysis of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Reports Regarding to Pathogenic E. coli Outbreaks in Korea from 2009 to 2010  

Lee, Jong-Kyu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Hanyang Women's University)
Park, In-He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Hanyang Women's University)
Yoon, Kis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hee University)
Kim, Hyun Jung (Safety, Distribution and Marketing Research Group,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Cho, Joon-Il (Food Microb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Lee, Soon-Ho (Food Microb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wang, In-Gyun (Food Microb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v.27, no.4, 2012 , pp. 366-37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Recently pathogenic E. coli is one of the main foodborne pathogens resulting in many patients in Kore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thogenic E. coli outbreaks in Korea,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reports of pathogenic E. coli outbreak in 2009 (41 reports) and in 2010 (27 reports) were collected in the web site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viewed and analysed in this study. The main places of the pathogenic E. coli outbreaks were food catering service area (64.8%) and restaurants (25.0%). The main type of the pathogens were EPEC (44.7%) and ETEC (34.2%). EAEC and EHEC was responsible for 10.5 and 9.2%, respectively. Eight of 68 outbreak cases were caused by more than 2 types of pathogenic E. coli which implicates the complicated contamination pathways of pathogenic E. coli. The incidence rate of pathogenic E. coli was $33.6{\pm}30.5%$ and the main symptoms were diarrhea, stomach ache, nausea, vomiting, and fever etc. The two identified food sources were identified as frozen hamburger pattie and squid-vegetable mixture. To improve the food source identification by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food poisoning notification to the agency should not be delayed, whole food items attributed the outbreak should be collected and detection method of the various pathogenic E. coli in food has to be improved.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HEC outbreaks in the western countries and the EPEC or ETEC outbreaks in Korea needs to be distinguished to prepare food safety management pla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trace back system to find the contamination pathway with the improved detection method in food and systemic and cooperative support by the related agencies are necessary.
Keywords
pathogenic E. coli outbreak;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Korea; characteristic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KFDA: Available from http://e-stat.kfda.go.kr/ accessed Oct. 19, 2011 (2011).
2 윤장원: 국내 시가독소원성 대장균 감염증 관련 연구에 관한 제언, SAFE FOOD 4(1), 33-36 (2009).
3 KFDA: 장출혈성대장균 예방요령: Available from http:// kfda.go.kr/fm/index.do?nMenuCode=115&mode=view& boardSeq=46003 accessed Oct. 19, 2011 (2011).
4 고주원, 홍종해: 도체표면의 분변 오염과 verotoxin 생성 Escherichia coli O157:H7 분리에 관한 연구. J. Fd Hyg. Safety 12(1), 78-82 (1997).
5 곽효선, 차진, 강길진, 김훈, 박선희, 김창민: 국내 유통식품에서 분리된 verotoxin생성 Escherichia coli의 특성. J. Fd Hyg. Safety 15(3), 241-247 (2000).
6 함희진: 시판 해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월별, 산지별 분포. J. Fd Hyg. Safety 23(1), 15-18 (2008).
7 Lee GY, Jang HJ, Hwang IG, Rhee MS: Prevalence and classification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resh beef, poultry, and pork in Korea. Int. J. Food Microbiol., 134(3), 196-200 (2009).   DOI   ScienceOn
8 유영아, 김무상, 김경식, 박선희, 정성국: 서울시내 유통식품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 및 내성 유전자. J. Fd Hyg. Safety 25(3), 220-225 (2010).
9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 보고서: Available from http:// www.cdc.go.kr/ accessed Sep. 20, 2011 (2011).
10 경기화성시일개음식점병원성대장균유행 2009.1.26.
11 강원양양군G고등학교병원성대장균유행 2009.3.17
12 광주광산구발생장소가확인되지않은장출혈성대장균(EHEC) 유행 2009.4.12
13 경기 남양주시 가정집 장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4.19.
14 대구 수성구 D중학교 장독소대장균(ETEC)유행 2009.4.13
15 경남 양산시 일개 초등학교 장흡착성대장균(EAEC) 유행 2009.4.19.
16 대구 북구 OO고등학교 장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
17 서울 도봉구 일개 음식점 병원성대장균 유행 2009.4.15.
18 서울 서대문구 일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병원성대장균 (EAEC) 감염증 유행 2009.4.24.
19 울산 남구 G고 병원성대장균(EAEC) 감염증 유행 2009.4.20.
20 울산 중구 일개 고등학교 병원성대장균(EAEC) 유행 2009.
21 대구 수성구 일개 고등학교 장독소대장균(ETEC) 유행 2009.5.12.
22 경남통영시일개음식점병원성대장균, 노로바이러스유행 2009.5.21
23 충남연기군 일개 고등학교 장관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5.21.
24 충북 음성군 일개 연수원에서 발생한 장독소대장균(ETEC) 유행 2009.5.18
25 부산기장군일개공장에서발생한장병원성대장균(EPEC)유행 2009.5.26
26 충남보령시일개고등학교장병원성대장(EPEC)유행 2009.6.4.
27 전남 장성군 일가족에서 발생한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EPEC) 유행 2009.6.27.
28 경기 고양시 덕양구 가정집에서 발생한 장출혈성대장균 (EHEC) 유행 2009.5.24
29 서울시 용산구 일개 음식점 장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6.5
30 서울 구로구 일개 고등학교 장병원성대장균(EPEC) 감염증 유행 2009.6.11
31 경기 구리시 발생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장출혈성대장균감 염증(EHEC) 유행 2009.6.29
32 경기 용인시 기흥구 OO고등학교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EPEC) 유행 2009.6.25
33 서울 강서구 일개고등학교 장독소형대장균(ETEC)유행 2009.7.8.
34 전남 영광군 일개 중학교 장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7.6
35 경기 안양구 동안구 발생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장독소형 대장균(ETEC) 유행 2009.7.16
36 경기 평택시 발생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병원성대장균 유행 2009.7.28.
37 경기 고양시 덕양구 발생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병원성대장균유행 2009.8.4
38 경기수원시팔달구발생장소가확인되지않은병원성대장균유행 2009.8.15
39 강원 정선군 발생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장병원성대장균 (EPEC) 유행 2009.8.14
40 충남 천안시 한 고등학교의 장독소성대장균(ETEC)감염증 집단발생 2009.8.19
41 경기 군포시 한 고등학교 장독소성대장균(ETEC) 집단발생 2009.8.26.
42 경기 수원시 권선구 일개 정육점 장독소성대장균(ETEC) 유행 2009.8.29
43 서울 송파구 한 유치원 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09.9.3.
44 광주 광산구 일개 중학교 장독소성대장균(ETEC) 유행 2009.9.5
45 전남 구례군 일개 고등학교 장독소성대장균(ETEC) 유행 2009.9.7.
46 서울 강서구 일개 음식점 장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9.10.
47 서울 강서구 일개 고등학교 병원성대장균 유행 2009.9.4
48 전라남도 해남군 한 중고등학교 장독소성대장균(ETEC) 감염증 집단발생 2009.11.30.
49 용인시 기흥구의 발생장소를 알수 없는 노로바이러스, ETEC 감염증 집단발생 2010.2.26.
50 전남 나주시 한 공장의 장독소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09.12.9
51 안산시 단원구 한 고등학교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 발생 2010.4.14
52 충남 태안군 한 학교의 수학여행후 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5.25.
53 경기도 시흥시 한 고등학교의 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 집단 발생 2010.6.3
54 대전유성구한음식점의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집단발생 2010.6.27.
55 부산시 진구 한 학원의 장흡착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6.22
56 서울시 노원구 한 음식점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 발생 2010.7.5
57 충남 당진군 소재 한 학교 기숙사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7.2
58 충북 단양군 체험학습장 방문 후 한 중학교의 장병원성대 장균감염증 집단발생 2010.7.2
59 장소불명의 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 집단발생 2010.7.8.
60 장소불명의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6.25
61 장소불명의 장출혈성감염증 집단발생 2010.7.11.
62 장소불명의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7.14
63 광주 동구 소재 한 음식점의 병원성대장균감염증 집단발생 2010.7.29
64 대구달서구소재한학교의병원성대장균감염증집단발생 2010.8.1.
65 충남논산시소재한회사의병원성대장균감염증집단발생 2010.8.12
66 전남 영암군 소재 한 학교의 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 발생 2010.8.20
67 전북 익산시 소재 한 음식점의 장독소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8.23.
68 장소불명의 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8.15
69 광주 북구 한 학교의 장독소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8.29
70 서울 동작구 한 음식점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9.1.
71 서울 도봉구 소재 한 학교의 장독소성대장균과 바실루스 세레우스 감염증 집단발생 2010.9.9
72 장소불명이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7.4
73 대전 서구 소재 한 음식점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9.13.
74 울산 남구 소재 한 학교의 장독소성대장균감염증 집단발생 2010.10.1
75 대전 유성구 소재 한 음식점의 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 집단 발생 2010.11.4
76 경기도시흥시소재한학교의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집단발생 2010.9.8
77 식품위생법 제 88조: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 fm/index.do?nMenuCode=108&mode=view&boardSeq=3158 accessed Oct. 20, 2011 (2011).
78 윤기선: 식중독균미생물의위해평가를위한종합계획및예측 모델링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청 보고서 (2010).
79 식품의약품안전청: 병원성대장균 Risk profile: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 Accessed Oct. 19, 2011 (2011).
80 FDA BAM methods.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od/ scienceresearch/laboratorymethods/bacteriologicalanalyticalmanualbam/ ucm070080.htm accessed Oct. 17, 2011 (2011).
81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2010). Available from http:/ /fse.foodnara.go.kr/residue/mobile/index.jsp Accessed Oct. 19, 2011 (2011).
82 경기 수원시 권선구 OO초등학교 병원성 대장균 유행 2009.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