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nalysis of Recognition in Mathematics Learning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Kang, Mee Sun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Lee, Chong Hee (Ewha Woma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School Mathematics / v.18, no.3, 2016 , pp. 667-68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Value is an intellectual and an affective concept that influences behavior. It does not exist individually but is conveyed through generation with some system. Korean students showed high achievement scores in spite of low emotion in mathematics learning. The objects of value recognition ought to be extended to social value as well as mathematics for balancing intellectual and affective features. Since the value formed at the first step in mathematics learning keeps its influence even after learning, it is important to form a positive recognition in the valu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appropriate to explain a students' imbalance of intellectu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Second, it is possible that the intellectual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are influenced by the others-oriented value in particular.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have an influence on secondary school learning. Therefore, education for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required. This study can provide a basis on the view of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which influences the educational result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as well. It is expected from the following studies that focus on improv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mathematics learning of Korean students is beneficial.
Keywords
value; mathematics learning valu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수학, 과학, 실과.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구진명(2014). 수학교육 목적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인식 비교.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   DOI
4 Malka, A., & Covington, M. V.(2005). Perceiving school performance as instrumental to future goal attainment: Effects on graded performance.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0(1), 60-80.   DOI
5 McNelis, S., & Dunn, J. A.(1977). Why teach mathem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al in Science and Technology, 8(2), 175-184.   DOI
6 Muller, H. J.(1958). Human Values in Relation to Evolution. Science, 127, 625-629.   DOI
7 Musun-Miller, L. & Blevins-Knabe, B.(1998). Adults's Beliefs about Children and Mathematics: How Important is it and How do Children Learn about it?. Early Development and Parenting, 7, 191-202.   DOI
8 Oishi, S., & Diener, E.(2001). Goals,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12), 1674-1682.   DOI
9 Parsons, J. E., Adler, T. F., & Kaczala, C. M.(1982). Socialization of achievement attitudes and beliefs: Parental influences. Child Development, 53, 310-321.   DOI
10 Perry, R.(1926). General theory of value. Harvard University Press.
11 Rokeach, M.(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Free Press.
12 Schwartz, S. H.(1992). Universal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s of values: Theoretical advances and empirical tests in 20 countries. In M.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5, (pp.1-65). New York: Academic Press.
13 Schwartz, S. H.(1994). Are there universal aspects i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human value?. Journal of Social Issues, 50(4), 19-45.   DOI
14 김명숙(2007).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초등학생용 수학학습동기검사의 동기유형및 양호도 검증. 교육학연구, 45(4), 29-58.
15 Schwartz, S. H.(2002). Human Values. http://essedunet.nsd.uib.no/cms/topics/1
16 Stern, A.(1962). Philosophy of History and The Problem of Values. Mouton & Co.
17 Wigfield, A., & Eccles, J. S.(1992).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Task Values: A theoretical analysis. Developmental Review, 12, 265-310.   DOI
18 권미연․전평국(1999). 초․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형성의 요인 분석-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8, 189-207.
19 김경신(1987). 부모와 대학생 자녀의 가치관과 가치전달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5(3), 95-106.
20 김경희․김수진․김남희․박선용․김지영․박효희․정 송(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3-1.
21 김미영․조지민(2013). TIMSS 결과에 기초한 과학의 정의적 특성 및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46-62.   DOI
22 김부미(1996). 교사변인과 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김부미(2012).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2), 229-259.
24 김선희(2011). 수학에서의 정의적 성취 판단을 위한 기준 점수 설정 및 중2학생들의 성취특성. 한국수학사학회지, 24(3), 145-163.
25 김선희(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학교수학, 15(1), 61-75.
26 김수진․김현경․박지현․김선희․진의남․이명진․안윤경(2012). TIMSS 결과를 통한 교육환경 변화 추이 국제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4-1.
27 김수진․김경희․박지현(2014).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683-701.
28 김주환․신인영․김민규(2011). 소통지능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HCI 2011, 1102-1109.
29 김연신․최한나(2009). Schwartz의 보편적 가치이론의 적용 타당성 연구: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16.
30 김재만(1972). 敎育學의 價値論的基礎小考. 논문집(대구교육대학교), 7, 17-30.
31 김태길(1964). 價値의 本質과 그 實踐的含意. 세대, 2(12), 36-45.
32 박 정(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 19-31.
33 남윤정․송영무(2008).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본질과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연구. 학교수학, 10(4), 649-669.
34 박경미․이환철․김선희(2014).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를 위한 공개 토론회. (2014.7.13).
35 박두찬․송진웅(2009). 학생들은 어떤 과학 수업에 호응하는가? : 학교 과학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가치 인식과 호응 양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593-610.
36 박선화․김명화․주미경(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0-9.
37 박선화․상경아(2011).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학교수학, 13(4), 697-716.
38 박철영(2012). 수학 인식론적 신념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9 방정숙․정유경․김상화(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육 목적 인식 실태 조사. 초등수학교육, 14(3), 277-291.
40 배민정(2013). 중등 과학교사의 학습동기 증진전략 사용 인식 및 교과 가치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0(2), 383-411.
41 서지영․정영숙(2012). 연령에 따른 가치구조의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2), 21-44.
42 양윤진(2014). 서울 지역 중학생의 수학의 문화성과 가치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이미경․곽영순․민경석․채선희․최성연․최미숙․나귀수(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2-1.
44 이연승(1986). 아동의 가치명료화에 관한 기초 연구. 부산산업대학교 논문집, 7, 403-420.
45 임은미(1998). 부모의 자율성증진행동과 청소년 자녀의 학업성취도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6, 133-150.
46 정범모(1977). 価値教育方法의 問題. 한국교육학회 학술세미나, 1-8.
47 정종진(2008). 한국사회와 교육적 성취: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 한국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요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s), 167-186.
48 정용재․송진웅(2002). 계통도 분석법을 통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과학 학습의 필요성' 에 대한 관점 조사. 한국과학학회지, 22(4), 806-819.
49 정인석(1985). John Dewey 교육적 가치론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 3, 39-92.
50 정정인(2004).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1 조용진(1989). 행동과학 및 사회과학의 가치론. 교육발전논총, 10(1), 1-19.
52 조현철(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53 최성연․김성연․김성원(2007). 학생과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학회지, 27(3), 272-284.
54 최승현․구자옥․김주훈․박상옥․오은순․김재우․백현아(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8.
55 최혜진․이혜은(2005). 학습자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유아수학능력 발달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25(2), 27-46.
56 최효정․정정희(2007). 유아교사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이 유아의 수 개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7(4), 377-399.
57 한종화(2008). 가정수학활동의 현황과 어머니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2(3), 5-24.
58 홍세희(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59 Becker, H.(1950). Through Values to Social Interpretation: Essays on Social Contexts. Actions, Types, and Prospects.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60 Allport, G. W.(1956).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ocial Psychology: In Lindzey (ed.)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61 Furstenberg, F.(1971). The transmission of mobility orientation in the family. Social Forces, 49, 595-603.   DOI
62 DeGroot, J. I. M. & Steg, L.(2008). Value orientations to explain beliefs related to environmental significant behavior: How to measure egoistic, altruistic, and biosphere value orientations. Environment and Behavior, 40(3), 330-354.   DOI
63 Eccles, J., Adler, T. F., Futterman R., Goff, S. B., Kaczala, C. M., Meece, J. L., & Midgley, C. (1983). Expectancies, values, and academic behaviors. In J. T. Spence (Ed.), Achieve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es (pp. 75-146). San Francisco: Freeman.
64 Eccles, J., Wigfield, A., Harold, R. D., & Blumbenfeld, P.(1993).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self-perceptions during the elemantary school. Child development, 64(3), 830-847.   DOI
65 Hessen, J.(2010). 철학에세이 제 2편 가치론. (이강조 역). 서울: 서광사. (원저출판:1959).
66 Hoge, D. R., Petrillo, G. H., & Smith. E. I.(1982). Transmission of religious and social values from Parents to Teenage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3). 569-580.   DOI
67 Hurst, J., Kinnet, M., & Weiss, S.(1983).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11(3).
68 Kluckhohn, C., & Murry. A.(1949). Personality: In Nature, Society and Culture. Knopf.
69 Jang, H.(2008). Supporting student's motivation, engagement, and learning during an uninteresting less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4), 798-811.   DOI
70 Kluckhohn, C.(1951). Values and value orientation in the theory of action: An exploration in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In T. Parsons & E. Shils(Eds.), Toward a general theory of action (pp.388-433).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