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468/mathedu.2012.51.4.317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in mathematics courses  

Han, Hyesook (Dankook University)
Hong, In Suk (Dankook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Lee, Soon Yong (Dankook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Yoo, Gi Jong (Dankook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Kim, Ji Yeon (Dankook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 v.51, no.4, 2012 , pp. 317-3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in mathematics course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ive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nd 338 10th graders and 87 11th graders in 2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is more appropriate to the subjects which require less time allotment or practical exercise than mathematics courses.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in mathematics courses, first of all, enough time allotment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should be guaranteed. Otherwise, the system can make students feel more burden of learning due to increase in learning volume of mathematics courses.
Keywords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mathematics courses; block-time system; time allot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경기도교육청 (2010).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모형. 경기: 경기도교육청.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 총론, 특별활동. 광주광역시: 한솔사.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 2009-41.
4 김재춘 (2010).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의 가능성과 한 계 탐색, 교육과정연구 28(3), 57-83.
5 김진숙 (2009). 교육과정 집중이수의 정책의 현황과 과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대전문화여자중학교 (2010). 기본교과 강화모형 적용을 통한 학력신장 방안. 대전: 대전광역시교육청.
7 도고초등학교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통한 소규모 농촌학교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충남: 아산교육교육청.
8 박선화 (2009). 학교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학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세미나.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이경아 (2010). 집중이수제 시행에 따른 중학교 미술교과 운영방안, 미술교육논총 24(3), 127-158.
10 이미숙.김진숙.권점례.김혜숙.이영섭.조강영.안연숙 (2011). 중학교 교과 집중이수 모형 연구 세미나.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이종일 (2011). '집중이수제'기간제교사 양산 불러. 기호일보 2011년 12월 26일.
12 정광순.박창언.이민정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학교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과 관심 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349-372.
13 홍후조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집중이수의 실행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40, 53-79.
14 홍후조.김대석 (2008). 학교시간운영의 효율화와 이수과 목수의 적정화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6(4), 72-101.
15 학교알리미(2011). http://www.schoolinf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