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468/mathedu.2011.50.4.507

Trends in Research on Mathematics Curriculum: An Analysis of Research Topics  

Kwon, Na-Young (Inha University)
Kim, Rae-Young (Ewha Womans University)
Kim, Goo-Yeon (Sog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 v.50, no.4, 2011 , pp. 507-52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s can be influenced by the ways in which curriculum is understood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and range. Viewing curriculum as encompassing all activities pertaining to teaching and learning allows u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studi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plores the trends in research on K-12 mathematics curriculum by examining prior studies' research topics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in curriculum studies. In addi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Keywords
K-12 mathematics curriculum; curriculum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tein, M. K., Remillard, J. T., & Smith, M. S. (2007). How curriculum influences student learning.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319-370).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2 Stigler, J. W. (1990). Mathematical knowledge of Japanese, Chinese,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ston, VA: NCTM.
3 Valverde, G. A., Bianchi, L. J., Wolfe, R. G., Schmidt, W. H., & Houang, R. T. (2002). According to the book: Using TIMSS to investigate the translation of policy into practice through the world of textbooks.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4 최승현․황혜정 (2005).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중등학교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7(2), 193-219.
5 최승현․황혜정․신항균 (2002). 수학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예시 평가도구 개발 연구-국민공통교육기간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2(1), 145-162.
6 최택영․함석돈 (2001)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편성,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0(2), 179-194.
7 표용수․이지원 (2007).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문제의 개발과 적용: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1(2), 177-197.
8 한국교육개발원 (1979).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연구, 연구 보고 제 110집.
9 한진규.서종진 (2004). 한국과 미국(North Carolina주)의 확률과 통계 교육 내용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8(1), 89-98.
10 황혜정 (2008). 미국 조지아주와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연구 - 수와 연산 및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29-654.
11 Alexander, R. J. (2001). Border crossing: Towards a comparative pedagogy. Comparative Education, 37(4), 507-523.   DOI   ScienceOn
12 Chavez, O. (2006). From the textbook to the enacted curriculum.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North America XXVIII, Yucatan, Mexico.
13 Ornstein, A. C. (1987). The field of curriculum: What approach? what definition? High school Journal, 70(4), pp.208-216.
14 Remillard, J. T., & Bryans, M. B. (2004). Teachers' orientations toward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Implications for teacher lear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 352-388.   DOI   ScienceOn
15 Remillard, J. T., Herbel-Eisenmann, B. A., & Lloyd, G. M. (Eds.). (2009).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New York, NY: Routledge.
16 Reys, B. J., Reys, R. E., & Rubenstein, R. (Eds.). (2010). Mathematics curriculum: Issues,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Reston, VA: NCTM.
17 Schmidt, W. H., McKnight, C. C., Houang, R. T., Wang, H., Wiley, D. E., Cogan, L. S., & Wolfe, R. G. (2001). Why schools matter: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curriculum and learn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8 이대현․최승현 (2006). 제 7차 수학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2), 231-244.
19 이명희 (2000). 수학 교육 철학적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경향 파악. 한국초등수학회, 4, 39-55.
20 이영하․김미연 (2002). 수학과 7-가 교과서 단원도입활동의 내용소재 변화 및 활용실태 조사 연구-제 6차와 7차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4(3), 375-399.
21 이재돈 (2000). 과거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2000년대 수학교육의 전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0, 441-457.
22 임문규 (2001). 제 7차 교육과저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교재의 문제 만들기 내용 분석 및 학생들의 실태 조사. 학교수학, 3(2), 295-324.
23 정인수 (2007).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안의 특징 및 의의. 교원교육, 23(1), 137-145.
24 장경윤 (2003). 제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과 개선방향: 2005학년도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하여. 학교수학, 5(1), 27-42.
25 장경윤 (2007). ICT 시대의 대수교육의 방향과 과제. 학교수학, 9(3), 409-426.
26 장대흥 (2007). 제 7차 1-6단계 수학과 교육과정 상의 확률과 통계영역 교과서에 대한 통계적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1(3), 361-384.
27 정인숙․류희찬 (2006). Not as easy as it looks: Korean elementary classroom teacher perceptions of mathematics curriculum. 학교수학, 8(4), 365-377.
28 정환옥․노정학 (2005). 한국과 독일의 중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II - 중학교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1), 1-14.
29 조완영․정보나 (2002).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작도영역의 교과서와 수업사례 분석. 학교수학, 4(4), 601-615.
30 최근배․김해규 (2005). 한국과 미국의 초등수학 교과서 (Harcourt Math) 비교 연구 -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179-200.
31 최승현 (2007). 수학과 선택 교육과정 개정 방향 및 주요 특징. 교원교육, 23(1), 163-173.
32 최승현․이대현 (2005).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3), 325-336.
33 최승현․황혜정 (2004a).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정 및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시.도 및 초등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3(4), 321-335.
34 최승현․황혜정 (2004b).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초등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6(2), 213-233.
35 방승진․최승오 (2006). 수학과 AP(Advanced Placement) 결과 분석 및 교육과정 연구: 2005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지원 AP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1), 103-115.
36 방정숙․김상화 (2006). 문제해결과 관련된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학교수학, 8(3), 341-364.
37 방정숙․이지영 (2009).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학교수학, 11(4), 723-743.
38 서경혜․유솔아․정진하 (2003a). 초등수학 교육과정 내용 조직 비교 분석: 제 7차 교육과정과 Everyday Mathematics. 교육과학연구, 33(2), 21-55.
39 백대현 (2010).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 사용과 표현의 적절성 고찰. 학교수학, 12(1), 61-77.
40 백석윤․이명희 (2003).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 경향 재고: Ernest의 수학교육 철학적 관점에서. 학교수학, 5(2), 151-165.
41 서경혜․유솔아․정진하 (2003b).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교육과정 내용 체계 분석. 초등교육연구, 16(2), 159-184.
42 송정화․권오남 (2002).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학교수학, 4(2), 161-191.
43 신중필․노영순 (2000). 제 6,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 과정 비교 분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3(1), 165-171.
44 신현성 (2001).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혁변인에 대한 소고.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2), 27-32.
45 신현용 (200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절차에 관한 제언.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169-178.
46 우정호 (2004). 인간 교육을 위한 주요교과로서의 학교수학. 학교수학, 6(4), 313-324.
47 임재훈․이경화․박경미 (2002).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 개발 연구 (1) -남북한 학교 수학 용어 통합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2(4), 493-508.
48 이강섭․김규상 (2003).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확률과 통계' 영역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5, 113-117.
49 이강섭․이민규 (2003).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참신성과 독창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6, 181-190.
50 이경진 (2005). 대학부설 연구소와 초등 교사들의 협력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사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 개발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18(2), 335-361.
51 이대현 (2009). 수학 교과서의 덧셈과 뺄셈 문장제와 그 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분석. 학교수학, 11(3), 479-496.
52 이대현․임재훈 (2005).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성에 관한 학생 의견 조사 연구. 수학교육, 44(4), 509-524.
53 김남희․나귀수․박경미․이경화․임재훈․정영옥․황혜정․고은성 (2005). 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비교. 교원교육, 21(1), 50-68.
54 김상미 (2008).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행에 따른 학년간 내용 이동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1(2), 95-103.
55 김래영 (2010). Non-textual elements as opportunities to learn: An analysis of Korean and U.S. mathematics textbooks. 학교수학, 12(4), 605-617.
56 김민경․노선숙 (2001).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 현황 및 TIMSS 연구결과와의 비교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1(1), 137-156.
57 김부윤․김윤영 (2000). 고등학교 수학에서의 미분 단원 의 내용 구성에 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0, 221-236.
58 김상화․방정숙․정희진 (2005).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분석. 교원교육, 21(2), 58-75.
59 김선희․김경희 (2009). 교육과정에 근거한 TIMSS 2007 공개 추이문항의 정답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1), 99-121.
60 김성준 (2002). 대수 교육과정의 변화에 관한 고찰-패턴에 기초한 대수 도입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2(3), 353-369.
61 김훈․박은영․김종득 (2006). 한국과학영재학교 수학교 과과정 개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1), 75-86.
62 나귀수 (2003). TIMSS-R 국제성취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분석- 교육과정, 교과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3(3), 383-403.
63 노선숙․김민경․유현주․차인숙 (2001). 창조적 지식기반사회의 수학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수학교육목표에 대한 교사.학생의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0(2), 162-177.
64 류희찬 (200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관점, 목표, 형식. 교원교육, 21(2), 76-90.
65 문교부 (1954). 국민학교․중학교․고등학교․사범학교 교육과정 시간배당기준령 (문교부령 제 35호).
66 박경미․김남희․나귀수․방정숙․이경화․임재훈․정영옥․정희진․황혜정 (2000).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교원교육, 21(1), 32-49.
67 박교식 (2001a).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문제해결 관련 내용의 분석. 학교수학, 3(1), 1-23.
68 박교식 (2001b).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용어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3(2), 233-248.
69 박혜숙 (2010).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기본 고려사항.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3), 343-351.
70 강명원․김성호․박지훈․이선준․차용우․고상숙 (2010).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2), 301-323.
71 강현영․박문환․박교식 (2009).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소수 도입에 대한 분석과 비판. 학교수학, 11(3), 463-477.
72 김구연 (2010). The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Addition and subtraction in grade 3. 교육과정평가연구, 13(2), 59-78.
73 김남희 (2005). 제 7차 교육과정의 이산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1), 77-101.
74 김남희 (2001).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7-가] 단계의 변수의 개념 지도에 관한 교수학적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11(1), 6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