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ea Wave Experimental Module for the Gifted Students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Lee, Heui-Tae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him, Kew-Cheol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Kongju National University)
Kim, Yeo-Sang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Kongju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18, no.1, 2008 , pp. 139-16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ea wave experimental module for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 potential of its application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Sea wave experimental module for the gifted was characteristics by five phases: Engagement, Exploration, Explanation, Elaboration, and Expansion. Subjects were 16 gifted students, who were 10th graders and have been taught in the adjacent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of Education Districts,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changes of inquiry ability and knowledge achieve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of experimental report and pre-test and post-test. Experimental module for the gifted was very effective on inquiry skills as follows: control of variables, experimental designing, and selecting tools of experimental process. And also it was positively effective on achiev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experimental module for the science gifted should be very meaningfully to improve scientific ability of them,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xperimental module for the science gifted be needed for them.
Keywords
Science gifted students; Earth science; High school; Sea wave; Experimental modul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동효관, 홍준의, 신영준, 김경호, 이길재 (2002). 과학사를 이용한 과학영재 생물 교수학습 모듈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4). 363-373
2 심규철 (2004). 과학영재 교수.학습프로그램 개발 방향. 21세기 인적자원 개발을 위 한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 직무연수 자료집. 대전교육연수원
3 심규철, 소금현, 육근철 (2007). 프로젝트 기반의 과제 수행을 통한 초등학생의 창의 력 신장 방안 모색.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1). 61- 69
4 육근철, 이군현, 박정옥, 김명환, 하종덕 (1998).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 경연대회 평 가 연구. 영재교육연구. 8(2). 31-67
5 이현미, 김성하, 차희영, 이길재, 정완호 (2002). Rapid-Cycling Brassica rapa를 이용한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광합성 실험 모듈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4). 289-300
6 전경원 (2000). 한국의 새천년을 위한 영재 교육학. 서울: 학문사
7 한종하 (1987). 과학영재교육론. 서울: 학연사
8 Trefz, R. (1996). Maximizing your classroom time for authentic science: Differentiating science curriculum for the gifted. ED 400 188. Paper presented at the Global Summit o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San Francisco, CA
9 허 명 (1984). 과학 탐구 평가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 57-65
10 정현철 (2005). 과학영재의 자율연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전략 탐색 및 교수.학습모형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CR 2005-37
11 심규철, 소금현, 김현섭, 장남기 (2001).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1. 영재와 일반학생의 비교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22-134
12 장성진, 정미선, 박원혁 (2005).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적용효과 생물의 특성을 주제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12
13 김종순 (2001).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11(2). 1-21
14 유진상, 심규철 (2007). 과학탐구대회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분 석 연구.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2). 109-116
15 주희영, 동효관, 김성하, 김희백, 이길재 (2006).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 장을 위한 발생학 수업 프로그램 적용 효과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 (2). 257-268
16 Hansen, J. B. & Feldhusen, J. F. (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15-121   DOI
17 조석희 (2004). 영재교육백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M2004-64
18 Trowbridge, L. W., Bybee, R. W. & Powell, J. C. (2000).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 strategies for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Prentice-Hall, New Jersey, USA, pp. 243-249
19 심규철 (2006).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충남교육청 영재교육 담당교사 직무연수교재, 공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 동효관 (2002). 과학 영재의 특성에 기초한 수업 프로그램이 유전 개념 변화와 창의 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1 조석희, 시기자, 지은림 (1997). 과학영재판별도구개발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CR 97-51, 112 p
22 조한국, 한기순, 박인호 (2001). 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을 통한 영재들의 과학하기. 영재교육연구. 11(3). 23-44
23 VanTassel-Baska, J., Bass, G., Ries, R., Poland, D., & Avery, L. (1998). A national study of science curriculum effectiveness with high ability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2(4). 200-211   DOI
24 이재기, 박기석, 전미란, 김규태, 전상학 (2007). 중학교 과학 영재를 위한 유전 심화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초파리(돌연변이체)를 중심으로-. 한국생물교 육학회지. 35(2). 236-252
25 Heller, K. (2002). Identifying and nurturing the gifted in math, science, and technology.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pp. 51-90).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Seoul
26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헌 (1996). 과학영재판별도구 개발연구 I. 한국교육개발 원 연구보고서, CR 96-27
27 Stepien, W., & Gallagher. S. (1993). Problem-based learning. As authenic as it gets. Educational Leadership (April). 25-28
28 장지은,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 (2005). 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생물 분 류 단원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4). 505-516
29 이국행, 강현아, 서정모, 이영환, 이정원, 최영희 (2004). 전라북도 영재교육기관 평가 보고서. 전라북도교육청 보고서
30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379-484
31 박성익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