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0807/ksms.2020.23.1.002

A Study of the Representation and Algorithms of Western Mathematics Reflected on the Algebra Domains of Chosun-Sanhak in the 18th Century  

Choi, Eunah (Woosu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23, no.1, 2020 , pp. 25-4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presentation and algorithms of western mathematics reflected on the algebra domains of Chosun-Sanhak in the 18th century. I also analyzed the co-occurrences and replacement phenomenon between western algorithms and traditional algorithms. For this purpose, I analyzed nine Chosun mathematics books in the 18th century, including Gusuryak and Gosasibij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identified the process of changing to a calculation by writing of western mathematics, from traditional four arithmetical operations using Sandae and the formalized explanation for the proportional concept and proportional expression. Second, I observed the gradual formalization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f the solution for a simultaneous linear equation. Lastly, I identified the change of the solution for square root from traditional Gaebangsul and Jeungseunggaebangbeop to a calculation by the writing of western mathematics.
Keywords
Chosun-Sanhak in the 18th century; Western mathematics; traditional algorithms; calculation by writ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우정호 (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 우정호 (2018). 학교수학의 역사-발생적 접근.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 유인영, 허민 (2006). 묵사집산법(천)(지)(인). 서울: 교우사.
4 장혜원 (2006). 청소년을 위한 동양수학사. 서울: 두리미디어.
5 정해남, 허민 (2006). 구수략(건)(곤). 서울: 교우사.
6 조태구 (2015). 주서관견 (안나미 역).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원저 1728년 출판).
7 최석정 (1700). 九數略.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http://www.krpia.co.kr.
8 최은아 (2013). 조산산학의 교수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양성현 (2018). 조선 후기 산학서에 수록된 망해도술(望海島術)의 내용 분석 및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수학교육학연구, 28(1), 49-73.
10 최은아 (2017). 원주율에 대한 심화학습을 위한 조선산학의 활용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87(4), 811-831.
11 허민 (2005). 산대셈과 수판셈, 한국수학사학회지, 18(1), 49-66.
12 허민 (2009). 산학계몽(상)(중)(하). 서울: 소명출판.
13 홍대용 (미상). 籌解需用. 담헌서. http://db.itkc.or.kr.
14 홍성사, 홍영희 (2008), 이상혁의 차근방몽구와 수리정온. 한국수학사학회지, 21(4), 11-18.
15 홍성사, 홍영희, 이승온 (2012), 천원술과 기수법. 한국수학사학회지, 25(4), 1-10.
16 황윤석 (미상). 算學入門.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http://www.krpia.co.kr.
17 山原秀城 (2017). 조선수학사 주자학적 전개와 그 종언 (안대옥 역). 서울: 예문서관. (원저 2010년 출판)
18 강신원, 장혜원 (2006). 구일집(천)(지)(인). 서울: 교우사.
19 강신원, 장혜원 (2006). 이수신편 제21권, 제22권 산학입문. 서울: 교우사.
20 교육부 (2015).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21 구만옥 (2010). 마테오 리치(利瑪竇)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 한국실학연구, 20, 301-355.
22 경선징 (미상). 黙思集算法.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http://www.krpia.co.kr.
23 김래영, 김혜영, 이현희 (2017). 수학 교육에의 조선 산학 활용 방안: 닮음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1(2), 71-83.   DOI
24 김영욱 (2019). 정약용의 구고원류, 한국수학사학회지, 32(3), 97-108.
25 김용운, 김용국 (2009), 한국수학사: 수학의 창을 통해 본 한국인의 사상과 문화, 파주: 살림출판사
26 김창일, 윤혜순 (2009), 조선산학의 방정식 해법, 한국수학사학회지, 22(4), 29-40.
27 서명응 (1771). 攷事新書. http://kyujanggak.snu.ac.kr.
28 서명응 (미상). 攷事十二集. 보만재총서. http://kyujanggak.snu.ac.kr.
29 서유구 (2017). 임원경제지 유예지1 (임원경제연구소 역). 서울: 풍석문화재단. (원저 출판년도 미상)
30 Arcavi, A. (1991), Two benefits of using history,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1(2), 11.
31 Ascher, M. (1991), Ethnomathematics : a multicultural view of mathematical ideas, NY: Chapman & Hall.
32 Bishop, A. J. (1988), Mathematics Education in its cultural contex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9(2), 179-191.   DOI
33 Boyer, C. B. & Merzbach, U. C. (2000), 수학의 역사 (양영오.조윤동 역). 서울:경문사. (원저 1968년 출판).
34 D'Ambrosio, U. (1985), Ethnomathematics and its place in history and pedagogy of mathematic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5(1), 41-48.
35 Eves, H. (1995), 수학사 (이우영.신항균 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539년 출판).
36 Gulikers, I. & Blom, K. (2001), A historical angles', A survey of recent literature on the use and value of history in geometrical educ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7, 223-258.   DOI
37 Needham, J. (2000), 중국의 과학과 문명: 수학, 하늘과 땅의 과학, 물리학 (이면우 역). 서울: 까치글방. (원저 1959년 출판).
38 Siu, M. K. (2006). 수학교육에서 역사 활용하기(하) (계영희 외 역). 서울: 교우사. (원저 2000년 출판).
39 Tzanakis, C. & Arcavi, A. (2000), Integrating history of mathematics in the classroom: An analytic survey, In J. Fauvel, & J. van Maanen (Eds.), History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ICMI Study, 201-240, Dordrecht: Klu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