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데이비드 보드웰, 오영숙, 유지희 옮김, 영화의 내레이션2, 서울: 시각과 언어, 2007.
|
2 |
시모어 채트먼, 한용환 옮김,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3.
|
3 |
아리스토텔레스, 최상규 옮김, 시학, 예림기획, 2002.
|
4 |
조남현, 소설원론, 고려원, 1995.
|
5 |
조셉 캠벨, 이윤기 옮김, 천의 얼굴을 한 영웅, 민음사, 1999.
|
6 |
크리스토퍼 보글러, 함춘성 옮김,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무우수, 2005.
|
7 |
피터 브룩스, 박혜란 옮김, 플롯 찾아 읽기: 내러티브의 설계와 의도, 강, 2011.
|
8 |
R. S. 크레인, 최상규 옮김, 현대 소설의 이론, 예림기획, 2007.
|
9 |
S. R. Turner, Minstrel: A computer model of creativity and storytelling,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A, 1993.
|
10 |
공현희, 시리즈애니메이션 등장인물의 역할 및 욕구변화에 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43호(2016, 6), pp.77-102.
|
11 |
류철균, 정유진, 디지털 서사도구의 인과율 개념 연구, 인문콘텐츠 , 제22호(2011,9), pp. 183-207.
|
12 |
Craig Batty, The physical and emotional threads of the archetypal hero's journey: proposing common terminology and re-examining the narrative model, Journal of Screenwriting, Vol.1 No.2, 2010, pp.291-308.
DOI
|
13 |
E. M. 포스터, 이성호 옮김,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3.
|
14 |
Frank Kermode, The Sense of an Ending: Studies in the Theory of Narrative Fi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