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Engineering  

Huh, Jisuk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Ajou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22, no.2, 2019 , pp. 46-5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engineering convergence education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cases of self - design semesters as convergence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 for fostering convergence ability is insufficient for the viewpoint of education. The types of convergence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However, the concept and paradigm of convergence educ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precisely because it is made in a 'top-down' manner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re was a limit of the lack of a foundation to operate the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A university's self-design semester, it shows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the overall convergence ability by giving autonomy and subjectivity to learners and through the acquisition of contextual knowledge and the ability of collaboration.
Keywords
Convergence education; Engineering; Self-design seminar; Convergence capa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성호.강경희(2008). 교양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한양대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2(2). 7-24.
2 김유신(2015). 융합 연구와 교육에서 "융합"의 의미.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81-396.
3 김재득.이희용.윤아영(2015). 국내 대학의 인문예술 융합 교육 실태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83-99.
4 김지현(2009). 학생설계전공의 교육목적과 운영방향: '전공설계' 교과목개발 연구 보고서.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5 김지현.신의항(2017). 대학의 학부 교육. 파주: 교육과학사.
6 김혜영(2013). 융합 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 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교양교육연구, 7(2), 11-38.
7 노상우.안동순(2012). 학문융합 관점에서 본 현대교육의 이론적-실천적 변화 모색. 교육종합연구, 19(1), 67-88.
8 대학뉴스(2018.5.17.). 4대 과학기술원.POSTECH, '무학과 무전공 제도'로 융합형 인재 양성한다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243)
9 민철구.박기범.정승일.정기철(2010). 이공계대학 구조변화 추세 분석과 대학 경쟁력 확보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박구용(2012). 학문횡단형 문제찾기 교양교육의 이념. 인문학연구, 43, 479-481.
11 김대영(2016). 대학 융합 교육의 허와 실. 대학교육, 193, 64-69.
12 박기문 외(2014). 융합인재교육의 핵심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 기술교육학회지, 14(3), 214-234.
13 박성미(2014). 공학 분야의 학문융합 교육 가능성 분석. 공학교육연구, 17(6). 53-61.
14 박수정.송명현.Chen-Peng(2017). 대학의 '학생설계전공'으로서 교육컨설팅 전공 개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6), 57-83.
15 박일우(2016). 한국대학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상과 그 해법. 교양교육연구, 10(1), 349-378.
16 백윤수 외(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7 서덕희.윤아영.이희용(2017). 국내 대학의 사회과학과 예술 융합 교육의 실태. 문화와 융합, 39(4), 101-136.
18 신동주.김학진(2012). 고등교육에서 정부의 융합 교육정책 방향: 공학계열 중심으로. 2012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443-460.
19 서민규.서덕희.이희용(2014). 국내 대학의 인문학 및 사회과학 융합 교육 실태 연구. 교육학연구, 52(2), 81-115.
20 손동현(2009).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교양교육연구, 3(1), 21-32.
21 안동현(2016). 자기설계전공의 가능성: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38(3), 275-300.
22 안지연(2017). 문화.예술 분야 학생설계전공(Student-Designed Major)이 문화.예술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조형교육, 63, 99-113.
23 오헌석(2014). 이공계 융합 연구 수행의 영향요인 및 연구성과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건상(2018). 융합 교과목 개발방법에 관한 연구: 기계공학과 인간운동과학의 융합. 공학교육연구, 21(1), 66-76.
25 이경화.신오순.김대권.태진미(2015). 핵심역량 기반 융합 교육을 위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향 비교. 교육종합연구, 13(2), 1-24.
26 이두휴(2017). 자기설계전공제도의 한계와 가능성 탐색. 교육정치학연구, 24(3), 197-226.
27 이양원(2012). 창의교육활성화를 위한 이공계융합 교육모델 연구. 공학교육연구, 16(6), 92-97.
28 임세영.박윤희.배광민 (2016). 공학과 HRD 융합 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H대학교 재학생의 졸업작품 수행 경험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9(3), 54-64.
29 정성호(2015). 융합 교육의 방향성 탐색: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융합 교육연구, 1, 75-94.
30 조봉수(2017). 미래의 교육. 올린. 서울: 스리체어스
31 진성희.신수봉(2013). 공과대학 융합 교육에 대한 사례조사 및 요구분석. 공학교육연구, 16(6), 29-37.
32 차윤경.안성호.주미경.함승환(2016). 융복합교육의 확장적 재개념화 가능성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9(1), 153-183.
33 한경희.고동현.최문희(2016). 융합시대 공학교육 교육개혁의 방향과 과제. 공학교육연구, 19(2), 14-25.   DOI
34 최미리(2013). 한.미 주요 대학의 학사제도 및 교육과정 변천 연구 : 1996년도부터 2013년도까지의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 275-303.
35 최상덕 외(2011).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 전략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6 최현철(2015). "융합의 개념적 분석", 대학 융합 교육의 새로운 흐름: 진단과 전망. 한국문화융합학회 추계전국학술대회 자료집, 45-55.
37 허영주(2013). 대학 융합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 11(1), 45-79.
38 허지숙(2018). 융합 교육으로서의 자기설계학기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2018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167-198.
39 홍병선(2016). 현행 융합 교육에 대한 진단과 융합역량 제고 방안. 교양교육연구, 10(4), 13-35.
40 홍효정 이재경(2015).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9(2), 163-192.
41 Shoenfeld, Janet D. (1972). Student-Initiated Changes in the Academic Curriculum. Eric,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