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22.15.2.273

A Narrative Inquiry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Online Class Experiences  

Kim, Yoon-Kyung (Heungdo Elementary 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5, no.2, 2022 , pp. 273-28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ac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eachers'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rough science and online classes based on data collected for 4 months from 4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science subject online classes among homeroom teachers in the 3rd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D c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narrative inquiry. As a result of conducting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online class experiences of the Earth Science Unit of the study subjects, and conducting field classes with related documents such as online class-related materials and teacher journals,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take online classes compared to traditional face-to-face classes. They spent more time preparing and showe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new medium used in online classes. In addition, they demanded the provision of scientific materials produced in a pandemic situation and a teaching platform for smooth class oper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xperimental classes, there is a burden of completing the planned curriculum, and in a pandemic situation, students felt the need for individual experimental tools for intensive science class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blended learning learning system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as a new class form for the transition to futur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pandemic. Continuous teacher research on the format and online class experience is required.
Keywords
elementary school; science online classes; narrative inquir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성운, 양일호, 임성만(2020). COVID-19 상황에서 초등과학 전담 교사의 수업 운영 실태 및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317-329.   DOI
2 김영천(2012). 질적연구 방법론 1: Bricoleur. 경기: 아카데미 프레스.
3 김주현, 홍영일, 최인철(2021). 코로나 기간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과 교사의 행복.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753-776.
4 김철주(1997). 정보화시대의 원격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4(2), 5-12.
5 김필성(2015).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색.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혜란, 최선영(2020).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 초등과학교육, 39(4), 522-532.
7 김혜진(2020). 코로나19에 따른 초등교사의 온라인수업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613-639.
8 노자헌, 손준호, 김종희(2021). 온라인 과학 수업에서 실험활동과 상호작용의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2), 159-172.   DOI
9 문현진(2021).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초등사회과 수업 사례 연구. 사회과교육, 60(1), 1-28.
10 서봉언(2020).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학업열의, 디지털기기, 피드백의 상호작용.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 2020, 111-133.
11 송신철(2019).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3~4학년군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47(3), 310-323.   DOI
12 안서헌, 김준, 이정표(2021). 초등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1385-1410.
13 염지숙(2003).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한국교육인류학회지, 6(1), 119-140.
14 오재호(2020).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이슈&진단, 421, 1-25.
15 김상미(2020).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언론보도기사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지, 21(6), 1091-1100.
16 이쌍철(2017). 교과선택권 확대를 위한 온라인수업 운영 현황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17 강미애, 남성욱(2020). 코로나19로 인한 쌍방향 원격수업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89-116.
18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19 권점례(2020). COVID-19 대응 온라인 개학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원격수업실태 및 개선 방향 탐색(RRC 2020-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권정민(2021). 코로나 시대 초등원격수업이 부실한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초등교육, 32(1), 399-424.   DOI
21 하명정(2020). 구글 미트와 연동한 구글 클래스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문화와 융합, 42(10), 223-252.
22 이예슬, 신범철, 정양순(2021). 코로나 19에 따른 학교 교육에서의 패러독스 현상. 한국교육학회지, 59(1), 131-165.
23 이윤미, 김순미(2021). 한 초등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의 원격수업 경험 및 인식 연구. 초등교육연구, 34(1), 1-28.
24 이준희(2020). 과학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인식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임성만(2020).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449-463.
26 장원형, 최민지, 홍훈기(2020).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937-966.
27 Chase, S. E. (2005). Narracive inquiry.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London: Sage Publications.
28 Clandinin, D. J. (2011). 내러티브탐구를 위한 연구방법론. 강현석, 소경희, 박민정, 박세원, 박창언, 염지숙, 이근호, 장사형, 조덕주 역, 교육과학사.
29 Clandinin, D. J. (2015).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염지숙, 강현석, 박세원, 조덕주, 조인숙 역, 교육과학사.
30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