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22.15.2.263

The Effect of Astronomical Field on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on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ask Commitment  

Lee, Yong-Seob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5, no.2, 2022 , pp. 263-27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veloping and applying a program in the field of astronomy that can improve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ask commitment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students in the advanced course in the elementary science gifted class affiliated with the Gifted and Talented Center of University B. In order to improve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ask attachment to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class, a total of 12 educational learning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terpreted as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stronomy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improvement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Second, the astronomy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task commitmen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Third, astronomy clas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patial perception than improving task commitment. Since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are selected with excellent intelligence, creativity, and task commitment,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EP) is developed and applied to better express their potential giftedness. In addition, in order to express more in-depth giftedness in gift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express individual gifted characteristics.
Keywords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 spatial perception ability; task commit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기수, 유미현(2013). '과학사 기반 화학자 탐구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 과학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7(6), 821-829.   DOI
2 박미진, 이용섭(2011). 과학영재학생의 학습동기와 과제집착력과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4), 961-977.
3 신명렬, 이용섭(2011a). 과학영재 학생을 위한 RSM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천문학적 공간개념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21(4), 993-1009.
4 신명렬, 이용섭(2011b). 천문영역의 효과적인 교수전략 수립을 위한 천문학적 공간개념 및 천문학에 대한 태도 조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9(2), 177-185.
5 유아미, 염시창(2016). 초등학교 수학.과학영재 판별용 과제집착력 검사 개발. 교육연구, 39, 43-60.
6 유주미, 최선영(2018).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취 동기와 과제집착력 비교. 생물교육, 46(3), 390-397.   DOI
7 이경미, 성승민, 장낙한, 여상인(2015).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과학교육연구지, 39(3), 307-320.   DOI
8 이봉우, 심규철, 김희백(2017) 과학교육에서 발명교육에 관한 과학 교육자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7-24.   DOI
9 이용섭, 신명렬(2013). UCC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인지와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4(1), 271-290.
10 장재철, 박경애, 최도영(2018).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활용한 과학 영재 대상 해수면 온도 산출 R&E 프로그램 개발. 현장과학교육, 12(1), 113-126.   DOI
11 장정은, 정윤숙, 최양희, 김성원(2013).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1-16.   DOI
12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13 전경필, 강호감(2016). 초등과학영재의 공간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초등교육, 27(4), 165-190.   DOI
14 최미연(2004).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서 남녀 차의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Anderson, J. R. (1993).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memory.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22, 261-295.   DOI
16 Gazzaniga, M. S. (1983). Right Hemisphere language following brain bisection: A twenty year perspective. The American Psychologist, 38, 525-537.   DOI
17 Han, K. S. (2007).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A look at the ISEP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8(3), 450-463.   DOI
18 Renzulli, J. S. (2000).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9(2), 95-114.   DOI
19 Lubinski, D., & Benbow, C. P. (2006). Study of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 after 35 years: Uncovering antecedent for the development of math-science expertis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1, 316-345.   DOI
20 Plucker, J. A., Callahan, C. M., & Tomchin, E. M. (1996). Wherefore art thou, multiple intelligences? Alternative assessments for identifying talent in ethnically diverse and low income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0, 81-91.   DOI
21 문지영, 배진호, 소금현(2014). 과흥분성 조절 전략을 적용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의 과제 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3(3), 536-548.
22 김소영, 변정호, 이일선, 권용주(2013). 과학영재 판별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과제집착력 측정도구 개발. 생물교육, 41(3), 421-434.   DOI
23 김형욱, 정소진, 정소리, 문성윤(2018).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연구, 12(1), 37-48.
24 남승인(2003). 수학 퍼즐을 이용한 영재학습 자료의 개발-공간 감각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17, 97-114.
25 이경미(2015).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박성선(2012).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 능력 및 수학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27 신명렬, 이용섭(2013). UCC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인지와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 24(1), 271-290.   DOI
28 Guilford, J. P. (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29 이용섭, 김순식(2012). 과학기반 STEAM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공간지각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3), 297-306.   DOI
30 장정은, 김성원(2014). 과학 영재의 과제집착력 특성 수준 측정을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57-666.   DOI
31 조석희(2000). 영재교육 중장기 종합 발전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RM 2000~12, 3-30.
32 Gallagher, J. J. (2002). Society's role in educating gifted students: The role of public policy. Senior Scholars Series.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