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22.15.2.213

Analyzing Inquiry Activities and Exploring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5-6  

Chae, Dong-Hyun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hin, Jung-Yun (DaejeonBaeul Elementary School)
Kim, Eun-A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5, no.2, 2022 , pp. 213-22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essential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5-6, and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teachers have in the actual teaching process. To this end, the essential research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 were analyzed into six types: experimentation/observation, investigation/discussion and presentation, data interpretation, discussion/discussion, simulation activity, and expression. In addition, 10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suitability of inquiry activity achievement standards, suitability at the student's level, student interest, and difficulty in teaching instruction.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the most frequently suggested type was the experiment/observation type, followed by simulation activity type and data interpretation type.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discussion/discussion type in the 5th grade textbooks, and the 6th graders did not present research activities that correspond to the research/discussion/presentation type and the expression type in the textbook. In the results of teachers' responses to the suitability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and the suitability of the student's level, 5th graders showed lower average scores than 6th graders, and showed similar average scores in student interest and instructional difficulty. Also, it was confirmed that improvement was required for a total of 17 inquiry activities. Specifically,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guiding inquiry activities when the experimental results did not appear as intended in the textbook, when students' interest in inquiry activities was low, and when students and teachers had low understanding of related science concepts. Teachers pointed out practical problems such as difficulties in long-term observation in astronomy-related units, and students in upper elementary school not actively participating in dynamic play activities.
Keywords
inquiry; types of inquiry activities; difficulties in teaching inquiry activitie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2 이현동(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과 탐구 활동의 개선 방안 조사-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4(3), 300-317.   DOI
3 임청환, 채동현(2018).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237-243.   DOI
4 채동현, 양일호, 정성안(2011). 초등학교 5, 6학년 과학교과서 집필자가 겪은 어려움과 대처 방법: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21-1144.   DOI
5 Ackerson, V. L., Morrison, J. A., & McDuffie, A. R. (2006). One course is not enoug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tention of improved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 194-213.   DOI
6 Chiappetta, E. L., & Koballa Jr, T. R. (2002).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7 Hodson, D. (1993). Re-thinking old ways: Towards a more critical approach to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2, 85-142.   DOI
8 Roseman, J. E., Kulm, G., & Shuttleworth, S. (2001). Putting textbooks to the test. ENC Focus, 8(3), 56-59.
9 Valverde, G. A., Bianchi, L. J., Wolfe, R. G., Schmidt, W. H., & Houang, R. T. (2002). According to the book: Using TIMSS to investigation the translation of policy into practice through the world of textbooks. Dordrecht: Kluwer.
10 오현석, 이기영(2018).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학습 발달과정 탐색: 천문학적 시스템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9(1), 103-116.
11 이동승, 박종석(2022). 과학적 탐구 수행에서 초등교사가 겪은 어려움과 성장으로 탐색한 교사의 과학적 지식 향상 방안. 대한화학회지, 66(1), 42-49.   DOI
12 임성만(2018).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및 탐구 활동 요소 비교 분석: 지질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38-54.   DOI
13 임성만(2020).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449-463.
14 권치순, 정은숙(2011). 과학수업에서 실험관찰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방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12-19.   DOI
15 김경호, 심규철(2019).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과학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성취기준 및 탐구 활동 비교 분석. 생물교육, 47(4), 552-560.   DOI
16 김지영, 한재은, 박종석(2012).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I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928-937.   DOI
17 송신철(2019).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탐구 활동 유형 분석-3~4학년군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47(3), 310-323.   DOI
18 노자헌, 손준호, 김종희(2020).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74-89.   DOI
19 박재근(2017).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6(1), 43-60.
20 손미현, 정대홍, 손정우(2018). 지식정보처리역량 관점에서 중학생들의 과학탐구활동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 441-449.   DOI
21 송신철, 심규철(2019). 초등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38(4), 453-464.
22 송신철, 심규철(2020).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나타난 과학 탐구 기능 요소 분석-5~6학년군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48(4), 546-558.   DOI
23 신명경, 이수정(2013). 과학탐구의 핸즈온 활동 내용, 사고 활동 내용, 논리적 구조 측면에서의 초등 과학 교과서 분석-지구와 우주 영역의 사례-. 교과교육학연구, 17(4), 1483-1499.   DOI
24 신정윤, 박상우, 정현지, 홍미나, 김현재(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물체의 무게'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307-324.
25 Bell, R. L., Blair, L. M., Crawford, B. A., & Lederman, N. G. (2003). Just do it? Impact of a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87-509.   DOI
26 조성호, 임지영, 이정아, 최근창, 전경문(2016). 과학 공학적 실천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35(2), 181-193.
27 태진순, 윤은정, 박윤배(2015). 한국, 미국, 싱가포르 물리 교과서의 학습목표에 사용된 서술어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375-382.   DOI
28 한화정, 심주혜, 심규철(2019).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의 생명과학의 이해 관련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생물교육, 47(2), 236-250.   DOI
29 Rillero, P. (2010). The rise and fall of science education: A content analysis of science in elementary reading textbooks of the 19th centu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Journal, 110(5), 277-286.   DOI
30 조성민, 백종호(2015). 예비 과학교사의 탐구지도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탐구의 인식과 실천 사이의 딜레마 해소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73-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