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17.10.1.17

The Effect of STEAM Program on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ae, Sung-Hee (Kongju National University)
Kim, Hee-Soo (Kongju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0, no.1, 2017 , pp. 17-2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ogical thinking when applying STEAM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you're creative, framework governing the conditions and be present, creative design of the emotional experience of class under the procedures of the program from a program by previous studies. STEAM improve program is entirely logical thinking to determine that 47 2nd grade in middle school student radio sampling four weeks, six round of poetry classes. Awareness stage after the program STEAM improved but there was little change in logical thinking and appears to be effective, particularly in conservation, combined logic.(p<0.05)
Keywords
STEAM program; logical thinking; cognitive sta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좌택, 이상봉 (2004). 문제기반 학습에 대한 로봇제어 프로그래밍 수업이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65-282.
2 임강숙, 김희수 (2014). 융합인재교육(STEAM)이 고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180-191.   DOI
3 임해미, 최인선, 노선숙 (2014). 논리.비판적 사고 신장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의 수학교육 적용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53(3), 413-434.   DOI
4 조희형, 최경희 (2001). 과학교육총론. 교육과학사.
5 채동현, 문병찬, 김은정 (2014). 초등과학교육에서 차시대체형 STEAM 수업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3), 327-337.   DOI
6 최병순, 허명 (1987).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내용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9-32.
7 홍혜인 (2015).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 강화 탐구 교수 전략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Roadrangka, V., Yeany, R. H., & Padi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group asse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Annual meeting of the NARST.
9 강순희 (2010).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평가 도구와 평가 준거. 이화교육총서. 교과교육연구소 2002-13,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10 고한범 (2014).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중학교 2학년 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12 김순화, 함성진, 송기상 (2015). 컴퓨팅 사고력 기반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8(3), 105-114.
13 권재술, 최병순, 허명 (1987).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그 운영진단(II)-지적발달수준과 학업성취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2), 1-14.
14 김경규, 이종연 (2016). 컴퓨팅 사고력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의 효과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1), 27-39.
15 김경미 (1999). 완본과 축소본 GALT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태훈, 김병수, 김종훈 (2014). 센서 기반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8(1), 65-74.
17 노정원 (1997). 과학 교육 연구에 사용된 GALT 완본과 축소본에 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정미, 강오한 (2013). 스크래치를 활용한 STEAM 교육이 초등정보영재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7(2), 187-190.
19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최종현 (2012). 융합인재교육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 신상철 (2003). 비구조적 문제해결을 위한 웹기반 문제 중심 학습 환경이 개념이해 및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우정애, 남영숙 (2012). 기후변화 교육 방안 개발-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적용 가능한 방안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25(1), 117-133.
2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융합인재교육(STEAM) 성과발표회 자료집. 한국과학창의재단.
23 윤일규 (2010). 정보 교육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상권, 김선영 (2011). '생각하는 과학'활동이 중학생들의 기체 분자 운동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과 그 활동에 대한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5(1), 68-79.
25 이상균, 이하룡 (2013). 프로젝트 기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7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