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7/jkase.2012.32.5.928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on the Revised 2009 Curriculum  

Kim, Jiyou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an, Jae-Eu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ark, Jongseok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32, no.5, 2012 , pp. 928-93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on the revised 2009 curriculum. It also compared them to th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which were published by the same companies. The results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activities and rate of inquiry activities per total pages were quite different from each publisher, and all of them decreased. Second, there were too many activities for specific inquiry process elements. Third,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differ slightly between each publisher. Experimenting and thinking were the most used while practicing was the least. Fourth, in the inquiry context, activities in scientific context were prevalent and activities in usual context were the second most common. Comparing to the text book on the 7th curriculum, the use of technical-social context increased, however, the technical-social context as well as the natural-environmental context were not used enough, as they constitute less than 10% of the activities. From these results, chemistry teachers should introduce a variety inquiry activities in chemistry curriculum for resolving those problems. Also, textbook developer should accommodate the results of research about science textbooks.
Keywords
inquiry activity; chemistry II textbook; revised 2009 curriculu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조희형 (1992). 과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분석 및 탐구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61-73.
2 조희형, 박승재 (1999). 과학 교수-학습. 교육과학사.
3 허명(1984). 과학 탐구 평가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 57-63.
4 AAAS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Washington, DC: author.
5 Harms, N. C., Yager, R. E. (1980).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Vol.3 : Science education information report (ED205367).
6 Klopfer, L. E. (1969). The teaching of science and history of science. JRST, 6(1), 87-95.
7 Suchman, J. R. (1966). Developing Inquiry. Science Research Associated; Chicago.
8 Trowbridge, L. W., & Bybee, R. W. (1996). Becoming a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6th ed. Columbus, OH: Merill Publishing Company.
9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교육과정 고교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10 김범기, 김영민, 윤상학 (1994). 학생 과학탐구 시범대회의 평가. 제1회 학생과학탐구올림픽대회 평가 연구보고서, 113-147.
11 김영애, 성민웅 (2003).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탐구상황 요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47-56.
12 김희준, 김호성, 이보경, 이수미, 이영식, 이정희, 이진승, 이희나, 조향숙 (2011). 고등학교 화학 II. 상상아카데미.
13 김희준, 윤경병, 이준용, 황성용, 이복영, 전화영 (2003). 고등학교 화학 II. 천재교육.
14 노태희, 최성신, 강성진, 이순영, 배병일, 고숙영, 주 영, 최숙영 (2011). 고등학교 화학 II. 천재교육.
15 배지현, 이준상, 김대재 (2007). 제7차 교육과정 9학년 과학 교과서의 멘델 유전 탐구활동 비교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4), 536-551.
16 박금홍, 구양삼, 최병순, 신애경, 이국행, 고석범 (2008).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MBL 실험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331-339.
17 박성희, 조규성 (2006). 제7차 교육과정 10학년 과학교과서'지구'영역의 탐구활동 분석. 전북대학교 과학교육논총, 31, 75-82.
18 박종석, 김재현, 류해일 (2003). 7차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과학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물질영역 중심으로-. 대학화학회지, 47(1), 67-71.
19 박종석, 윤 용, 정지오, 조은미, 류시경 (2011). 고등학교 화학 II. 교학사.
20 박종윤, 홍지혜 (2007). 고등학교 화학 II 수업에 적용한 Small-Scale Chemistry 실험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318-327.
21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 (2002). 제 7차 교육과정 7학년 과학 교과 생명 영역의 탐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50-559.
22 유은희, 임희영, 강성주, 최병순 (2008). MBL을 활용한 산-염기 적정 실험에서의 학생 간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67-74.
23 윤용, 정지오, 박종석, 김영호 (2004). 고등학교 화학 II. 교학사.
24 여성희, 김희령, 김미경 (200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 탐구 과정과 학생들의 과학탐구 능력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 214-223.
25 이주연 (2004).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고등학교 과학(화학부분)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단국대 석사 학위 논문.
26 이진형, 고석범 (2007).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 비교 분석 -탐구 활동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과학교육논총, 32, 91-102.
27 이화국, 김창렬 (1987), NAEP와 APU의 과학 성취도 평가틀의 분석과 적용 연구, 전북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2,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