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7/jkase.2012.32.4.641

The Effects of Coteaching Science Instruction in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upon Students' Concept Application Ability and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  

Im, Ah-Reum (Gajwa Elementary School)
Kang, Hun-Sik (Chuncheon Natiov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32, no.4, 2012 , pp. 641-65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teaching science instruction in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upon students' concept application ability and their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 Fifth graders (N=37) from two science-gifted classes in two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control (n=19) and coteaching instruction (CI, n=18) groups. Two teachers prepared, executed, and evaluated together the instructions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during twelve classes in the CI group, and so did one teacher with the same programs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structions, the students in the two groups were administered with a test of concept application ability. All students in the CI group were also administered with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 and were deeply interview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ose in the CI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the test on concept application ability. Many students in the CI group perceived the coteaching science instruction positively upon verbal interaction, class management, and cognitive/affective aspects. However, some of them also pointed a few disadvantages of the instruc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coteaching in science-gifted education; concept application ability; percep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2 김윤화, 김현주 (2010). 지역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학생들의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192-205.
3 김홍원 (2003). 초등 영재학생의 지적 및 정의적 행동특성과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3-25.
4 노태희, 김영훈, 양찬호, 강훈식 (2011).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214-1228.
5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6 박수경 (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학회, 26(1), 30-40.
7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8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 (2005).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22-131.
9 서혜애, 이윤호 (2003). 영재교육기관의 교수.학습실태 분석. 중등교육연구, 51(2), 69-86.
10 손영완, 최도성 (2010). 초등과학영재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68-93.
11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12 윤지현, 노태희, 한재영 (2008). 코티칭에서 나타난 의사소통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59-168.
13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4 임숙영, 여상인, 임희준 (2005). 초등학교 과학 협동학습에서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초등과학교육, 24(5), 595-601.
15 임희준 (1998). 과학수업에서의 협동학습: 교수 효과와 소집단의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정금순, 강훈식 (2011). 초등 과학영재수업에서 코티칭의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39-255.
17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18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 (2007).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892.
19 최선영 (2007). 초등과학 영재학급 담당 교사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6(3), 252-259.
20 최선영 (2008).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영재 학급에 대한 효과성 조사. 초등과학교육, 27(4), 437-445.
21 한재영 (2005). 코티칭(coteaching): 새로운 교육 실습 방식. 교육연구논총, 26(3), 49-69.
22 한재영 (2008). 코티칭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대한화학회지, 52(4), 404-411.
23 한재영, 윤지현 (2009). 중등 과학에서의 코티칭 수업 과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1), 152-163.
24 한재영, 윤지현, 노태희 (2008). 예비 교사 교육방안으로서 코티칭의 유용성.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117-136.
25 홍준의, 이인호, 전영석 (2007). 초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탐구 수행 능력 분석. 초등과학교육, 26(3), 267-275.
26 Roth, W.-M. (2002). Being and becoming in the classroom. Westport, CT: Ablex Publishing.
27 Roth, W.-M., & Tobin, K. (2002). At the elbow of another: Learning to teach by coteaching. New York: Peter Lang.
28 Roth, W.-M., & Tobin, K. (2005). Teaching together, learning together. New York: Peter Lang.
29 Tobin, K., & Roth, W.-M. (2006). Teach to learn: A view from the field.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30 Tanne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John Wiley.